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의미망분석을 활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943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유수
연구수행기관 인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의 질병과 질환의 증세를 의미론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의료서비스 상품에 대한 요구명세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온라인상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이 포스팅한 메시지 텍스트들의 분석을 통해 가능하다. 텍스트들에서 빈도 높은 단어들을 추출하고 그 단어들을 수리적으로 처리하면 내포된 의미를 알 수 있다. 예컨대 ‘골반이 결리고 아프다’, ‘골반 고관절에서 쿡쿡 쑤시고 아프다’, ‘골반이 아릿하게 아프다’ 라는 텍스트들을 수리적 처리하게 되면 ‘골반-고관절’로 통증부위의 계층화와 ‘아프다-결리다/쿡쿡 쑤시다/아릿하다’라는 증상이 계층화된다. 대용량의 빅데이터(big data)가 될수록 의미는 명확해질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이 남긴 증세에 관련된 빅 데이터를 처리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론에 집중한다.
    둘째, 수검자의 만족도가 높은 건강검진 서비스 항목의 구성 방법론을 마련한다. 건강검진 항목은 기초적인 신체계측, 체력측정부터 종양표지자검사에 이르기까지 11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항목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공공 건강검진 서비스는 이 중 일부 검진항목만을 일괄적으로 수검자에게 실시하고 있으며 민간 건강검진은 종합검진, 특화검진, 추가검진 항목 등으로 나누어 불필요한 항목들이 포함된 패키지 형태로 제공한다. 일괄적 진료항목의 선정과 비용 등의 장애로 수검자들의 불만이 높다. 또한 현재 수검자의 수검은 새로운 질병, 질환의 발견 보다는 수검자가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질병과 질환의 진행 확인의 의도가 강해 건강검진의 의료서비스 상품으로서의 높은 만족도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따라서 수검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검진을 의료서비스 상품의 시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전략적으로 의료서비스 상품으로서 건강검진 항목을 조합하고 소비자들이 만족하고 임상적으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건강검진 서비스 구성 방법론을 제시한다.
    셋째, 의료서비스 구매의도를 분석한다.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 질병 증세에 대한 의미를 파악하고 그에 맞춘 건강검진 항목들로 상품을 구성한 뒤 임상적으로 일치하는 증상을 가진 소비자를 군집화하여 각 집단별로 새롭게 구성한 건강검진 서비스 항목에 대해 구매의도를 파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새롭게 제시된 연구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성공적인 추진 시 기대되는 학문발전의 기여도 및 학문적 파급효과는 다음과 같이 예상한다.
    첫째, 건강검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발신한 메시지의 진의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서비스를 재배치하는 과정은 임상부분과 경영부분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로 의해 학재 간 융합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의료서비스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의학적 시각에서의 결과 해석의 문제로 연구 결과에 대한 편향성 문제에서 자유롭지 않다. 그러나 의미망분석의 연구방법론은 연구대상의 발화된 메시지만을 분석하기 때문에 연구자의 이론적인 주관을 최대한 배재시켜 편향성의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
    셋째, 질환이나 질병의 의증은 AIDA(attention-interest-desire-action)에서 주목이나 흥미의 단계에 해당한다. 소비자행동 연구에서는 대체로 소비자를 욕구나 행동단계까지 견인한 주목, 흥미의 요인이 무엇이냐에 대한 집중이 많았으나 욕구, 행동 이전 단계에 주목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행동에서의 연구의 폭을 늘려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넷째, 현재 의료경영과 의료행정은 교육 커리큘럼, 연구 분야 등이 서로 중첩되어 학문적 발전이 더디고 인력 등의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각자의 전문적 영역을 지향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의학용어, 병리학, 보건정책, 보건통계, 의료마케팅, 병원회계 등의 세부 분야의 구분이 불분명한 실정이다. 나아가서 본 학문을 수학한 학생들의 진로 영역도 병원 원무과, 코디네이터 등 특정 직업군으로 겹쳐지게 되는데 이는 해당 직업군의 전문성 강화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의료경영이 지향해야 하는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다섯째,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실무적 교육커리큘럼으로 활용하여 기업이 원하는 실무역량을 가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온라인상의 텍스트를 수집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어를 추출하고 의미를 추론하는 과정은 간명하여 학습에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의 정성적 반응을 정량적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기업이 요구하는 학생들의 실무적 역량의 강화도 가능하다.
    여섯째, 산학협동의 좋은 매개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소비자들은 병원들이 행하는 마케팅에 충분히 반응하고 있으며 특히 의료수가로부터 자유로운 비보험 진료과목의 경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과, 피부과, 성형외과 등의 미용, 기능개선 의료서비스의 경우 마케팅이 필수적인 부분이며 따라서 이는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운용이 함께 시너지를 발휘 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학협동의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배경
    우리나라의 의료서비스는 의료서비스 가격인 의료수가가 건강보험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에 소비자들이 비교적 자유롭게 병원 선택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병원 간 경쟁이 심화되어 병원들의 양극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환자노령화와 의료서비스의 건강증진 기능강화 등으로 환자들의 질환이 만성질환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경쟁우위 확보의 도구로 소비자 지향적인 의료서비스 상품이 필요하다.
    한편 병원 수익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의료수익 의료이익률이다. 건강검진은 개인의 의료비지출의 중요한 증가요인이다.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건강검진 상품은 병원의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된다. 다만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건강검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지된 혜택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2) 연구의 필요성
    첫째, 전반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병원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에 경쟁우위를 점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상의 정보를 의료마케팅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격진료나 인터넷을 이용한 의료상담의 진행을 위해서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주장하는 증상들을 정확하고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증상자체를 구조화하고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연구문제
    첫째, 의료서비스 상품의 관점에서 건강검진의 만족요인이 무엇인지를 찾는다.
    둘째, 소비자들의 주관적 표현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도출해 낸다.
    셋째, 소비자들의 정성적 요구를 정량화하여 객관화한다.
    넷째, 소비자만족 연구틀에서 의미망 분석의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기존의 연구 방법론과 부합하는지 검증한다.

    4) 연구내용
    첫째, 병원의 건강검진이 서비스상품으로써 가치를 가지는지 파악한다. 더불어 기존의 병원들이 어떠한 서비스 상품전략을 구사하였는지 살펴본다.
    둘째, 의료서비스 상품전략이 병원의 수익창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다.
    셋째, 수집한 자료를 통해 소비자들이 원하는 바를 파악한다.
    넷째, 파악된 소비자들의 진의를 바탕으로 건강검진이라는 의료서비스 상품을 구상한다.
    다섯째, 제안된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만들어진 건강검진이 실제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에게 구매의도를 가지는지를 규명한다.

    5) 연구방법
    첫째, 연구의 전반적인 기조를 잡고 이론적 배경을 확립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우선적으로 실시한다.
    둘째,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건강검진 서비스의 구성을 의미망분석을 활용하여 모색하고자 한다.
    셋째, 연구방법론을 통해 구성된 건강검진 의료서비스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의도를 측정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의미망 분석을 활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Ⅰ. 서론
    건강검진은 수검자에 내재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초기 단계에서 치료하기 위한 선별검사(screening)이다. 우리나라의 국가검진은 한정적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간검진 역비용으로 인해 검진항목의 선택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한편 질병의 조기 발견과 유병률 및 사망률의 저하를 꾀하고 의료서비스 소비자 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건강검진 항목의 근거를 마련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필요하다.

    Ⅱ. 연구목적 및 배경
    우리나라의 건강검진은 크게 건강보험 급여로 제공되는 국가검진과 제도 외 검진으로 개인이 비용을 지불하는 민간검진으로 나누어진다. 최근의 국가검진은 연령별, 성별에 따라 검진항목이 일부 조정되어 있으나 전반적으로 검진항목에 대한 근거가 정확하지 않다. 따라서 체계적인 검진 항목 근거가 뒷받침되어 수진자의 특성에 맞춘 검진이 시행되어야 한다. 민간검진 역시 지나친 상업화로 인해 검진항목 근거가 약하며 평가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략적으로 의료서비스 상품으로서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소비자들이 만족하고 임상적으로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건강검진 서비스에 대한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의료서비스 소비자인 수검자가 원하는 건강검진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며 둘째, 수검자의 만족도가 높은 건강검진 서비스 항목의 구성 방법론을 모색한다.

    Ⅲ. 연구내용 및 방법(범위)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검진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한다. 둘째, 온라인 상의 건강정보들을 분석한다. 셋째, 정제된 데이터(형태소)들의 공출현빈도(co-occurrence)를 계산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의미망을 도출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내용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된 연구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요한 텍스트 정보들을 스스로 수집하는 웹 크롤러(web crawler)를 제작한 뒤 수집된 텍스트들을 대상으로 형태소 단위로 분류하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술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에서 의료와 관련된 명사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형태소에서 연어(collocation)를 찾아 핵심어(key word)를 도출하고, 분류된 형태소들을 바탕으로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을 발견하기 위한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발견된 연관규칙으로 형태소들의 공출현빈도(co-occurrence)계산, 각 형태소 간 네트워크 연결구조와 연결강도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를 작성하였다.

    Ⅳ. 연구결과
    자료의 수집은 의료서비스 생산자 컨텐츠인 의료포털 사이트의 2003년 1월 14일부터 2016년 1월 18일까지 암과 관련된 기사 1002건과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의료상담사이트에 남긴 상담 1000건을 크롤러가 실시하였다. 수집된 기사와 상담은 자연어 처리를 통해 형태소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형태소를 바탕으로 연어를 분석한 결과 암과 관련된 기사는 ‘발암물질’, ‘자궁경부’, ‘유방재건’, ‘방사선치료’, ‘항암치료’의 연어가 추출되었으며 의료상담 텍스트에서는 ‘비만 다이어트’, ‘지방분해’, ‘척추측만’, ‘항문 가려움’, ‘만성피로’, ‘검진결과’와 같은 연어가 추출되었다.
    암에 관련된 기사의 연관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주요암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암 발병 이후 치료 방법에 대한 기사도 추출되었다. 유방암에 대한 기사의 연관성도 높게 나왔다. 의료상담 텍스트의 연관분석을 통해서는 근골격계, 건강검진 결과의 피드백, 비만, 치질 등의 문제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미망 분석 결과 암에 관련한 건강검진은 성별에 따른 특화된 검진이 필요하며 특히 40대 이후의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에 대한 집중적인 암 검진 항목 도입의 타당성이 나타났다. 한편, 의료상담에 대한 의미망 분석 결과 청소년기의 근골격계, 비만, 노화로 인한 관절통증,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수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Ⅴ. 연구결과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를 이용한 가설검정이 아니라 기계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이므로 소비자의 욕구 반영을 위한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의미망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학제 간 이견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의료와 경영 두 부분이 동시에 고려되는 학문 간 융합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상담은 주목(attention)이나 흥미(interest)의 단계에 해당되므로 본 연구는 소비자행동에서의 연구의 폭을 늘려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의료경영 연구 방향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실무적 교육커리큘럼으로 활용하여 기업이 원하는 실무역량을 가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할 수 있다. 셋째, 산학협동의 좋은 매개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 영문
  • A Study on Composition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Ⅰ. Introduction
    Medical examination is a screening for detecting diseases hidden in the examinees and treating in the early stages. National medical examination of Korea is composed of limited items, and a problem of selecting items of medical examination is raised due to the costs for private medical examination.
    Accordingly, a new study methodology is necessary to prepare the basis of medical examination items for seeking the early detection of diseases and decline of prevalence rate and death rate while maximizing medical service consumers’ satisfaction.

    Ⅱ. Purpose and Background of Study
    Medical examination of Korea is divided largely into national examination provided by health insurance benefits and private examination that individuals pay costs as examination outside of the system. Although examination items are partially adjusted by age and gender in recent national examination, the basis of examination items is unclear in general. Therefore, systematic basis of examination items should be supported for implementation of examination customiz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The basis of examination items for private examinations is also weak and evaluation is not properly implemented as well. Thus, this study is suggesting a study methodology for medical examination service that consumers can be satisfied and effect can be maximized clinically as a strategic medical service product. Through this study, First,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medical examination desired by examinees who are the medical service consumers is conducted and Second, this study seeks a composition methodology for items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that examinees are highly satisfied with.

    Ⅲ. Contents and Methods of Study(Scop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siders a medical examination program by and large. Second, this study analyzes online health information. Third, this study calculates co-occurrence of refined data (morphemes) and produces a semantic network based on the foregoing.
    Study methods used for proceeding with aforementione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manufacturing a web crawler designed to collect necessary text information by itself, this study used text mining technology that classifies collected data as a unit of morpheme. Through the foregoing, this study extracted medical-related nouns from the texts. Second, this study conducted association analysis to draw kew words by finding a collocation from extracted morphemes and discover an association rule. Third, this study calculated co-occurrence of morphemes based on the discovered association rule, and framed a network on the basis of structure and strength of network connection between morphemes.

    Ⅳ. Results of Study
    Crawler conducted data collection targeting 1,002 cancer-related articles and 1,000 cases of counseling request medical service consumers left on the medical consulting site from January 13, 2003 through January 18, 2016. Collected articles and counseling requests were extracted as morphemes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collocations based on the extracted morphemes, collocations such as ‘carcinogenic substance’, ‘uterine cervix’, ‘breast reconstruction’, ‘radiotherapy’ and ‘anticancer therapy’ were extracted from cancer-related articles, and collocations like ‘obesity diet’, ‘adipolysis’, ‘scoliosis’, ‘itchy anus’, ‘chronic fatigue’ and ‘examination result’ were extracted from medical consultation texts.
    As a result of association analysis on the cancer-related articles, major cancers according to the gender had high percentage, and articles on the methods of therapy after cancer incidence were also extracted. Association of articles on the breast cancer turned out to be high as well. Association analysis on the medical consultation texts shows that many people have problems such as musculoskeletal disease, feedback on the result of medical examination, obesity, hemorrhoids etc.
    As a result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medical examination related to cancer needs a particularized examination for different gender, and validity of introduction of intensive cancer screening items for medical service consumers in their 40s or over was shown. Meanwhile, result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on the medical consultation showed the necessity of demand for medical examination items such as muscloskeletal disease and obesity in the adolescent period, and joint pain or respiratory disease due to aging etc.

    Ⅴ. Expected Effect of Study Results and Application Plan
    Academic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it is a mechanical data analysis method, not hypothesis test using statistics, this study suggested a study methodology which is best fitted for studies for reflecting consumers’ demands. Second, interdisciplinary different views on the study results can be narrowed through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ird, an opportunity for convergence between studies that both medical and management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is expected to be prepared. Fourth, medical service consumers’ request for consultation fall under the purview of the stage of attention or interest, so this study can be a good example that widens the scope of studies on consumer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guidelines for the direction of studies on the medical management.
    Second, the foundation for training human resources with practical competence desired by companies can be established using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Third,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good medium for academic-industrial collabor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의미망 분석을 활용한 건강검진 서비스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ion of Medical Examination Service by Semantic Network Analysis


    초록
    건강검진은 수검자에 내재된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여 초기 단계에서 치료하기 위한 선별검사(screening)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검진 항목 근거가 뒷받침되어 수진자의 특성에 맞춘 검진이 시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상의 건강정보와 의료상담 게시물들에 대해 의미망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암에 관련한 건강검진은 성별에 따른 특화된 검진이 필요하며 특히 40대 이후의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에 대한 집중적인 암 검진 항목 도입의 타당성이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기의 근골격계, 비만, 노화로 인한 관절통증,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수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자료의 수집은 의료서비스 생산자 컨텐츠인 의료포털 사이트의 2003년 1월 14일부터 2016년 1월 18일까지 암과 관련된 기사 1002건과 의료서비스 소비자가 의료상담사이트에 남긴 상담 1000건을 크롤러가 실시하였다. 수집된 기사와 상담은 자연어 처리를 통해 형태소로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형태소를 바탕으로 연어를 분석한 결과 암과 관련된 기사는 ‘발암물질’, ‘자궁경부’, ‘유방재건’, ‘방사선치료’, ‘항암치료’의 연어가 추출되었으며 의료상담 텍스트에서는 ‘비만 다이어트’, ‘지방분해’, ‘척추측만’, ‘항문 가려움’, ‘만성피로’, ‘검진결과’와 같은 연어가 추출되었다.
    암에 관련된 기사의 연관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주요암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으며 암 발병 이후 치료 방법에 대한 기사도 추출되었다. 유방암에 대한 기사의 연관성도 높게 나왔다. 의료상담 텍스트의 연관분석을 통해서는 근골격계, 건강검진 결과의 피드백, 비만, 치질 등의 문제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의미망 분석 결과 암에 관련한 건강검진은 성별에 따른 특화된 검진이 필요하며 특히 40대 이후의 의료서비스 소비자들에 대한 집중적인 암 검진 항목 도입의 타당성이 나타났다. 한편, 의료상담에 대한 의미망 분석 결과 청소년기의 근골격계, 비만, 노화로 인한 관절통증,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수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를 이용한 가설검정이 아니라 기계적인 데이터 분석 방법이므로 소비자의 욕구 반영을 위한 연구에서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둘째, 의미망 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학제 간 이견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의료와 경영 두 부분이 동시에 고려되는 학문 간 융합의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의료서비스 소비자의 상담은 주목(attention)이나 흥미(interest)의 단계에 해당되므로 본 연구는 소비자행동에서의 연구의 폭을 늘려주는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의료경영 연구 방향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연구방법론을 실무적 교육커리큘럼으로 활용하여 기업이 원하는 실무역량을 가진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할 수 있다. 셋째, 산학협동의 좋은 매개체로 활용이 가능하다.
  • 색인어
  • 건강검진, 의료서비스, 의미망 분석, 텍스트 마이닝, 병원경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