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n School-Based Resilience Enhance Model for Health Impairment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087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임혜경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어렵게 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짚어보고 적응유연성을 강화하는 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밝히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신체적, 학업적,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을 그들 학교에 기반을 두고 개인적, 가족적, 학업적, 환경적 차원에서 각각 조명해 볼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개인적 요소, 가족적 요소, 학업적 요소, 환경적 요소의 4가지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이들 요소들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첫째, 국내외 정책자료, 서적, 논문 분석을 통해 건강장애학생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확인하여 적응유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추출할 것이다. 둘째, 국내외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모델 관련 서적, 논문, 정책자료 분석을 통해 건강장애학생에게 적용 가능한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개념, 유형을 분류하고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를 추출할 것이다. 셋째,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원적학교, 병원학교, 화상강의기관, 순회교육 담당교사), 병원 관계자, 지역사회 관계자, 건강장애를 전공한 특수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전국을 3개 권역별로 나누어 각각 1회씩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할 것이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학교 차원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성요소들을 분류할 것이며,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중점 요소들을 추출할 것이다. 넷째, 선행연구 분석과 포커스그룹 면담 자료를 토대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내용체계를 구성하여 설문지를 구안한 다음,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다섯째, 취합된 모든 자료를 수정․보완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모델을 개발할 것이다. 여섯째, 부가적으로 건강장애학생 교육지원과 관련된 학회 참여를 통해 최신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연구방법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것이며, 관련 전문가들과의 교류를 통한 정보 교환을 이어갈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개발하게 되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은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체계 간의 관계가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형태로 순환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지원체계 구축 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은 후속 연구에서 프로그램으로 실행되어 효과 검증을 위해 적용 가능할 것이며, 정책적․교육적 지원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활용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
  •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은 장기간에 걸친 치료 경험으로 인해 적극성, 자주성, 사회성이 결핍되기 쉽다.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이러한 경향을 최소화시키고 전인적 성장을 촉진시켜주는 개인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강장애학생은 치료가 종료되고 원적학교에 복귀한 후에도 신체적 증상 조절과 생활습관 조절에 실패하여 재입원하는 사례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질환 증상에 따른 생활습관 유지능력이 일반화될 수 있으므로 건강관리능력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건강장애학생은 질환에 대한 불안과 가족과 친구로부터 분리되는 고립감 등으로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기 쉽고 이로 인해 건강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욕이 감퇴되기도 한다. 그들 가족 또한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할수록 건강장애학생이 질환으로부터 회복될 것이라는 평가 수준이 낮아지며 가족의 강인성이 약화되는 경향이 있어 심리적인 적응 수준이 낮아진다. 이 경우에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통한 가족지원은 건강장애학생과 가족들이 심리 내적인 힘(가족 내구력)을 높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강화시켜 줄 것이다. 이를 통해 건강장애학생은 장기적인 투병생활을 순조롭게 이겨낼 수 있고, 다른 가족들도 정상적인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적응력을 향상시켜줌으로써 건강장애학생의 가족적 역량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사춘기 건강장애학생들과 학부모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이 경제적 지원보다 절실하다는 요구도 있고, 교사가 받는 심리적 충격 완화를 위한 소진방지 프로그램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이 경우에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은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도 있고, 교사 연수 시 자료집으로 활용할 수도 있어 교사, 동료교사를 포함한 학교 관계자, 학급 급우들에게 건강장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건강장애학생은 가정과 학교 내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되어 치료효과가 증진될 뿐 아니라 학교생활에 보다 잘 적응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넷째, 건강장애학생은 치료 상황의 변화에 따른 학습 환경의 전이가 잦은 편인데 전출기관과 전입기관에서 모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매뉴얼의 부재로 어려움이 많다. 의료진이 경험적으로 볼 때 학교교육을 받고 있는 건강장애학생의 경우에 치료적 효과가 좋고 퇴원 후 적응도 빠르며 재발 빈도도 낮다는 평가를 한다. 이 경우에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건강장애학생이 입원 중이거나 정기적인 외래진료를 받고 있는 병원의 관계자, 사회복지사, 지역사회 건강장애 관련 협회 관계자와 공유함으로써 공통된 의사소통 채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건강장애학생의 치료 환경의 질을 향상시켜주어 치료적 효과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이고, 가정-학교-병원-지역사회 차원에서 건강장애학생의 신체적, 학업적, 심리정서적 지원 역량을 강화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2005년 교육인적자원부는 특수교육대상자 범주에 건강장애를 추가하여 다양한 교육적, 의료적 지원을 해 오고 있다. 이처럼 건강장애학생의 신체적 질환으로 인한 생활기능상의 어려움과 교육적, 의료적 지원에 대한 관심이 주목받은 지 10여년이 되었지만 건강장애학생이 투병생활 중에는 물론이고 학교복귀 후 겪는 어려움에 대한 지적은 끊이지 않고 있으며,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여전하다. 뿐만 아니라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는 학교-교육청-병원-가정-지역사회 간의 연계 프로그램이 부족하다는 평가마저 받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져온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건강장애학생 또는 그들 가족의 어려움을 파악하는 연구,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건강장애학생의 심리정서적 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 연구에 머물고 있다. 이제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해 보다 실질적인 방안 모색이 절실하다는 각계각층의 우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며, 연구 방향도 기존의 연구의 틀을 확장하여 건강장애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에 와 있다. 즉, 건강장애학생이 소속되어 있는 다원적인 교육환경(원적학교, 병원학교, 화상강의기관, 특수교육지원센터, 가정 등)과 다양한 인적환경(원적학교 담임교사, 병원학교 담임교사, 화상강의기관 담당교사, 순회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 담당자, 병원관계자, 사회복지사와 건강장애 관련 협회 관계자 등)에 의한 교육과 치료, 복지지원을 받는 다층적인 교육 구조적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학교생활 적응을 비단 학교 환경에 국한해서 해석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장애학생의 신체적, 학업적,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학교에 기반을 둔 개인적, 가족적, 학업적, 환경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총체적 접근방법에 의해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고자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설계는 하나의 연구 안에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혼합한 통합접근 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칠 것이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이 겪고 있는 신체적, 학업적,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 자료, 서적과 논문을 분석하여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개념, 유형을 분류하고 구성요소를 추출할 것이다.
    둘째,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원적학교, 병원학교, 화상강의기관, 순회교육 담당교사), 병원 관계자, 지역사회 관계자, 건강장애를 전공한 특수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전국을 3개 권역별로 나누어 각각 1회씩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건강장애학생이 직면한 어려움과 학교생활 적응을 위해 지원되어야 중점 요소들을 추출하고 분류할 것이다.
    셋째, 선행연구 분석과 포커스그룹 면담자료를 토대로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내용체계를 구안하여 유층표집방법으로 균등하게 선정한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넷째, 최종적으로 모든 자료를 취합한 다음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주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첫째, 건강장애학생이 각급 교육환경으로 복귀 시에 지원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성공적인 복귀지원을 해줄 것이다.
    둘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지원 방안과 심리정서적인 지원서비스 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셋째, 가정-학교-병원-지역사회 차원에서 건강장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어 사회적 지지망을 확장해줄 것이다.
    넷째, 가정-학교-지역사회 체제 개선을 통해 건강장애학생의 교육과 심리정서적 지원서비스를 위한 국가 지원을 요청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다섯째, 교육계-의료계-지역사회 협력팀 간 팀-어프로치를 통해 교육과 심리정서적 지원서비스 연계방안을 구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해줄 것이다.
    여섯째, 가정-학교-병원-지역사회간의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협력체계를 구안하여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복귀지원, 학교생활 적응 지원, 치료지원, 가족지원, 사회적응 지원방안 모색 시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과학기술의 첨단화와 의료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건강장애학생의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으나 안정적인 학교복귀와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은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해냄으로써 그들의 성공적인 학교복귀와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지침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방향을 설계하였다.
    첫째, 학교-기반 적응유연성과 관련 있는 문헌분석을 통해 개발하고자 하는 모델의 개념도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 출판되어 있는 도서, 연구논문, 정책보고서, 토론회 자료집 등을 분석하여 건강장애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되고 있는 어려움과 이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에 주안점을 두고 문헌을 탐색하였다.
    둘째,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건강장애학생 및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전문가를 중심으로 포커스그룹 토의를 실시하였다. 면담 설계는 Strauss와 Co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에 따라 구성하였으며,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13명~17명씩 총 45명의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축 코딩(axial coding)기법을 활용하여 총 24개의 대주제가 도출하였으며, 중복되는 주제는 통합하여 개인적(5개), 가족적(6개), 학업적(4개), 환경적(4개) 요소의 총 19개 요소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약 50명씩 총 150명의 건강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최종 개발하게 될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모델은 건강장애학생은 물론이고 그들 가족의 긍정적 심리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성공적인 학교복귀와 학교생활 적응, 사회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줌으로써 교육현장 및 학계에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문
  • Modernized science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increased survival rate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However, solutions including supports in school reentry and schoo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 is still limitied.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school-based resilience advance model. This model could ultimately suggest comprehensive guidelines which supports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successful school reentry, school adaptation, and society adaptation. In order to actualize this purpose, this study designed the directions of research.
    Firstl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research in relation to school-based resilience and constructed model's concept map. Researcher analyzed native and foreign book, research paper, policy report, materials from debate and explored difficulties and need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for their school adaptation.
    Secondly,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mponents of school-based resilience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researchers conducted focus group discussion which includes parents of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teachers, commmunity experts. Interview was planned baed on ground theory which was suggested by Strauss and Cobin(1990). We divided South Korea in 3 area and 13~17 people participated in each area. Overall 45 students, parents, teachers, community experts participa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xial coding method, and total 24 main subject were emerged. After researchers combined duplicated subjects, a model which includes total 19 components(personal(5), familial(6), academical(4), environmental(4)) were developed.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school-based resilience advance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developed in this study, researchers plans to conduct a questinnaire survey focused on 150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Final development of school-based resilience advance model for students with health impairments will support students and their family in emotional aspects. Also, this can suggest base line data which support their successful school reentry, school adaptation, society adaptation. Finally,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seful in establish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과학기술의 첨단화와 의료기술의 진보에 힘입어 건강장애학생의 생존율은 높아지고 있으나 안정적인 학교복귀와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체제 구축은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을 개발해냄으로써 건강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학교복귀를 지원하기 위한 포괄적인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입각하여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개념도를 구성하였으며,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전문가 등 총 45명으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토의를 실시하여(PNU IRB/2014-71-HR) 건강장애학생이 겪고 있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였다. 면담 설계는 Strauss와 Co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를 위한 기준에 준거하여 구안하였으며, 면담은 2015년 1월~4월 중에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13명~17명씩 총 45명의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수집된 면담 자료는 축 코딩(axial coding)기법을 활용하여 총 24개의 대주제가 도출하였으며, 중복되는 주제는 통합하여 개인적(5개), 가족적(6개), 학업적(4개), 환경적(4개) 요소의 총 19개 요소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장애학생의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권역별로 약 50명씩 총 150명의 건강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PNU IRB/2015-96-HR). 설문지 구성내용은 자신의 기초배경 정보(4), 자신의 건강관련 배경 정보(4), 자신의 학업관련 배경 정보(5),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 개발을 위한 타당도 검증(19)의 총 28문항으로 구성할 것이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2월(심의 직후)부터 3월 말까지 약 2개월이 소요될 것이며, 자료의 수집방법은 설문조사의 목적과 방법, 작성요령을 포함한 안내문을 첨부하여 직접방문, 우편(반송용 봉투 동봉) 등을 통해 발송하고 회수할 것이다, 설문조사 대상자 모집은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경인지부, 충청지부, 부산지부)의 협조를 얻어 공고문 부착을 통해 자발적으로 조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건강장애학생을 중심으로 선정할 것이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최종 모델이 구안되면, 교육현장 및 학계에서 실질적인 교육계획을 위한 방안 모색 시 기초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후속연구를 위한 기본모델로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결과로 도출된 내용을 정리하여 국내 학술대회 발표 1건, 워커숍 발표 1건 등 총 2건의 가시적 성과를 낸 바 있으며, 향후 계획하고 있는 연구진행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연구인 포커스그룹 면담자료 중에서 3권역(부산, 울산, 경남지역) 자료 일부를 축약하여 2015년 한국특수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주제: 특수교육학 연구의 분화와 통합과정에서의 자기 성찰) 지체․중복․건강장애 분과에서 ‘건강장애 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 개발 기초연구’라는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하였다. 발표일시와 장소는 2015년 5월 30일 토요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12동 401호와 로비에서 각각 진행되었다. 금번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교육현장과 건강장애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으며,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사회적응을 위한 거시적인 기틀을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2015년 전국병원학교 관계자 워크숍(주제: 건강장애학생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 마련)에서 건강장애학생이 겪고 있는 심리정서적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원방안 모색이 절실하다는 점에 대한 주제 발표를 하였다. 발표일시와 장소는 2015년 9월 3일(목)~4일(금), 부산 한화리조트에서 실시되었으며, 건강장애학생(병원학교 또는 화상강의 담당자) 및 교육 관계자 약 150명이 참여하였다. 금번 워크숍에서는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감정코칭의 실제’ 라는 제목으로 포커스그룹 토의를 통해 도출된 결과에 기반하여 건강장애학생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또한, 건강장애학생의 교육 일선에 있는 병원학교 교사의 어려움을 함께 고민해보고 다층적이고 다각적인 지원방안 모색을 강구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협의를 얻어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를 통해 건강장애학생의 학교복귀 프로그램의 중요성, 학교복귀 및 학교복귀 후 지원방안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탐색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 다양한 학교(원적학교, 병원학교, 화상강의시스템 등) 교사가 갖고 있는 어려움과 지원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졸업 후 계속교육과 또 다른 사회적응을 위한 방안이 사전에 계획되어야 한다는 점에 대한 합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향후 2차 연구를 거쳐 최종 개발하게 될 모델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마치고 나면 건강장애학생의 교육지원 요구에 대한 구체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교육현장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물로 발표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지원과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하게 될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은 학교복귀를 준비하거나, 학교복귀 후 학교생활 적응을 지원할 때, 학교졸업 후 사회적응을 고민할 때 유용한 길잡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간에 걸친 치료 경험으로 약화된 건강장애학생의 자존감, 자립성, 사회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질병 재발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돕고 학교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질병 진단과 힘든 치료과정을 경험한 건강장애학생과 가족을 위한 내구력, 응집력, 강인성 향상은 물론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건강장애학생의 질병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방안 모색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모델이 제시하는 특징 중 하나인 ‘건강관리코디네이터’ 활용은 건강장애학생과 학부모-학교-병원-지역사회가 갖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를 해결하고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건강장애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성공적으로 이끌어줄 수 있는 교량적 역량을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건강장애학생의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체계적 접근을 계획할 때 중요한 자료 제시를 해줄 것이며, 가정-학교-병원-지역사회 간 유기적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 조성 시에도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색인어
  • 건강장애학생, 학교-기반 적응유연성, 강화 모델, 개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