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대상어와 관련 ...
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대상어와 관련어를 통해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성별의 차이와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 대상이 되는 성별 대립어를 선정하고 이들의 관련어를 추출하여 대상어들 사이에 공유되는 관련어와 하나의 대상어에서만 나타나는 관련어를 구분하여 대상어간의 의미관계를 설명한다. 관련어의 추출은 대상어와 동일 문맥에서 공기하는 단어들의 상관관계를 상호 정보량으로 계산한 후 도출한다. 그리고 관련어들 사이의 의미부류를 고찰하는데 여기에는 R 통계 프로그램의 분석 기법 중 하나인 군집분석을 이용한다. 'man/woman' 또는 ‘male/female, boy/girl, mother/father’등과 같이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는 사람의 집단을 구분하는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그 집단의 구성원을 설명하는 근본적인 기능을 한다. 영어에서는 'gender'와 ‘sex'의 두 가지 용어로 성을 구분한다. ‘sex’는 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남자와 여자를 뜻한다. 그러나 ’gender'는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회 문화적 차이에 근거한 구분으로 생애 주기를 걸쳐 배우게 되는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구분이다. 성별 대립 명사중 대립적인 의미관계와 유의적인 의미관계에 기반하여 대상어를 정해 그들의 관련어를 살펴 볼 것이다. 코퍼스에서 ‘여성’에 해당하는 대상어와 ‘남성’에 해당하는 대상어의 사용 분포를 확인할 것이며 유의관계를 가진 대상어쌍과 대립관계를 갖고 있는 대상어쌍에 대한 관련어를 비교한다. 여러 대상어들과 관련어의 관계성을 정리하기 위해 Pajek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COCA)는 신문을 포함하여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특히 신문은 당시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요 사건들이 기술되는 매체이다. 1990년 이후 2012년까지 축적된 신문 기사와 다른 장르에 나타난 언어 사용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별 대립어가 사용되는 문맥을 확인하고 이들 대립어의 관련어 변화 양상을 분석한다. 성별 대립어와 함께 나타나는 관련어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제시하는 Pajek(버전 2.05)과 통계 프로그램인 R(버전 3.0.2)을 이용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관련어의 의미군집을 제시한다.
기대효과
이 연구는 크게 대상어 간의 의미관계, 관련어 사이의 의미관계와 의미부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언어 자료도 현대 영어와 통시적 영어를 함께 사용하여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한 의미 ...
이 연구는 크게 대상어 간의 의미관계, 관련어 사이의 의미관계와 의미부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언어 자료도 현대 영어와 통시적 영어를 함께 사용하여 공시적 연구와 통시적 변화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한 의미군집 형성하는 등 통계적 방법론 도입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의미부류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COCA 자료는 1990년 이후 발간된 신문을 비롯하여 구어, 소설, 잡지, 그리고 학술서적을 포함하고 있다. 신문 기사는 당시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요 사건들이 기술되는 매체이다. 장기간 축적된 신문 기사에 나타난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대립 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이나 이들 명사의 관련어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신문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또한 신문 외의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각 장르에 따라 성별 대립어들이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인 COHA(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를 이용하여 10년을 주기로 한 연대별 관련어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남성 또는 여성이 신문이나 기타 문서에서 어떻게 기술되는지 관찰함으로써 시대에 따른 사회적, 문화적 성별의 역할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 코퍼스에서 언급되는 ‘남성, 여성’류의 대상어들에 대해 생물학적인 의미가 어떻게 기술도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위나 역할 또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기술이 관련어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여러 대상어들과 관련어의 관계성을 정리하기 위해 Pajek 프로그램과 군집분석을 위하여 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시각화된 자료로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요약
이 연구에서는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성별 명사의 관련어를 통해 대상어의 의미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와 공기하는 단어들을 살펴본다. 둘째, COCA를 통해 한 대상어와 신문, 소설, 구어에서 공기하는 단어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
이 연구에서는 코퍼스에서 나타나는 성별 명사의 관련어를 통해 대상어의 의미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와 공기하는 단어들을 살펴본다. 둘째, COCA를 통해 한 대상어와 신문, 소설, 구어에서 공기하는 단어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COHA를 통해 여러 해 동안 출현하는 관련어를 추출하여 함께 나타나는 단어의 변화 추세를 살펴봄으로써 어휘 사용의 변화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코퍼스에서 다뤄지고 있는 관심의 변화를 추정해 볼 수 있다. 그리고 한 대상어와 대립되는 명사 사이에 공유하는 관련어(상호적 관련어)와 독자적으로 나타나는 관련어(배타적 관련어)를 살펴보고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본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제시하는 Pajek(버전 2.05)과 통계 프로그램인 R(버전 3.0.2)을 이용한다. 개별 단어의 속성만으로는 어휘들의 의미 관계를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상호적 / 배타적 관련어는 동일 문맥에서 함께 사용되는 단어를 통해 대상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맥락 정보를 제공하므로 대립 명사들의 의미 관계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하나의 맥락에서 동시에 출현하는 관련어를 분석함으로써 단어의 개별적 속성보다 관계성에 초점을 두어 어휘의미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군집분석은 대상들이 지니고 있는 다양한 이질적인 특성을 유사성(similarity)을 바탕으로 동질적인 집단으로 묶어 주는 방법으로서, 대상들의 명확한 분류기준이 존재하지 않거나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즉 군집내의 관측치들은 가급적 유사하게, 그리고 군집들 간에는 가급적 상이하게 대상들을 그룹핑하는 분석이다(Gries 2013, Johnson 2008). 이 연구에서는 군집분석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고 유사성 거리측정 방법에 따라 다양한 기법들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계층적 군집분석을 사용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 한 ...
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 한국어 코퍼스 자료와 비교를 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유사점과 차이점도 고려해 보고자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단어나 범주에 대한 사용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코퍼스를 이용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문어 자료 가운데 신문은 우리 사회의 일상을 사실에 입각하여 잘 기술하고 있다. 언어 사용을 관찰하여 사회에서 인식되는 또는 그려지는 성별의 역할과 성별에 따른 관심을 연구하는 데에는 신문 기사가 유용할 것이다. 언론사나 기자에 따라서 같은 현상을 보는 시각이나 태도는 달라질 가능성은 있다. Bell(1991)은 신문이나 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 상의 언어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로 ‘미디어는 사람들의 태도와 언어의 사용을 반영하는 동시에 영향을 준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른 인물 지칭어가 우리 일상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이 연구에 신문이 포함된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성별 대립 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이나 이들 명사의 관련어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신문이 포함된 미국 현대 영어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제시하는 Pajek(버전 4.04)과 통계 프로그램인 R(버전 3.0.2)을 이용한다. ‘man/woman’ 또는 ‘male/female, boy/girl, mother/father’등과 같이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는 사람의 집단을 구분하는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그 집단의 구성원을 설명하는 근본적인 기능을 한다. 어떤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때 사전적 정의만으로는 그 언어적 사용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단어는 그 자체로 의미가 드러나기 보다는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분명해진다. 한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단어가 관련되어 있지 않은 단어들보다 더 자주 동일 문맥 내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 동일 문맥 안에 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은 상하관계, 유의관계, 부분-전체관계와 같은 치환적이면서 결합적인 어휘 관계도 형성할 수 있다(Cruse 2000, 강범모 2010).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성별 대립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 단어들과 동일 맥락에서 함께 나타나는 단어(co-occuring word)를 관련어로 고려하여 대상어들이 어떻게 문맥 내에서 기술되는지 고찰한다. Finegan(2007)은 의미를 언어학적 의미(linguistic meaning), 사회적 의미(social meaning), 그리고 감정적 의미(affective meaning)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언어학적 의미는 뜻(sense)과 지시체(reference)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의미는 화자의 말을 통해서 화자의 사회적 위치, 그가 속한 사회적 특성 그리고 그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알게 되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감정적 의미는 단어와 발화에 암시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상황을 묘사한다 해도 화자의 긍정적/부정적 태도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언어 사용의 의미적 변화는 문화, 역사, 그리고 사람들의 감정과 태도를 반영한다(Odenstedt 2000). 영어에서는 ‘gender’와 ‘sex’의 두 가지 용어로 성을 구분한다. ‘sex’는 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남자와 여자를 뜻한다. 그러나 ‘gender’는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회 문화적 차이에 근거한 구분으로 생애 주기를 걸쳐 배우게 되는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구분이다. 대상어가 어떤 관련어들과 함께 사용이 되는지, 관련어들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이나 의미부류 그리고 어휘 의미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대상어에 대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신문 기사를 통해 인물 지칭어가 어떤 의미로 기술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 주체성이 나타나는 명사를 선정하여 그 명사와 한 문장 내에서 함께 사용되는 관련어를 추출하여 의미 영역을 통해 성별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대상어로 선정된 남녀 성별 지칭어와 관련어 추출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코퍼스에서 추출된 관련어를 통해서 성별 지칭어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영역을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Pajek(ver. 4.0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련어들의 목록을 제시한고 관련어의 의미영역을 살펴봄으로써 연구 대상이 되는 지칭어의 특징을 논의한다. 인물 지칭 명사와 관련된 향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보고서를 마무리한다.
영문
This study aims to study gender roles and status described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and Korean news article corpus by examining gender-specific words and their related words. Gender is a socio-cultural component of female and mal ...
This study aims to study gender roles and status described in 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and Korean news article corpus by examining gender-specific words and their related words. Gender is a socio-cultural component of female and male identity that shaped how a person lives and interprets the world around them. A gender-specific word refers to a word relating only either to males or to females, such as 'man, woman, male, female, father, mother, son, daughter.' Based on the gender referring words and their co-occurring words in a given context, we seek to study the concepts of gender described in the corpora. We first compare related words from synonymous gerder-referring words. We also consider antonymous gender-specific words and their related words. We compare a group of male and female to show general roles portrayed in the corpus for each gender too. While inclusive related words show common properties of target words, exclusive related words represent unique properties of the target word. We classify related words with semantic domains distributed by SIL international (Moe 201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gender roles and status in the corpu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 한 ...
이 연구는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 COCA)와 통시적 미국 영어 코퍼스(The Corpus of Historical American English)의 언어 자료를 기반으로 ‘man/woman’과 같은 성별 대립어와 관련어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다. 이 과정에 한국어 코퍼스 자료와 비교를 하여 영어와 한국어의 유사점과 차이점도 고려해 보고자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특정 단어나 범주에 대한 사용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코퍼스를 이용하고 있다. 여러 종류의 문어 자료 가운데 신문은 우리 사회의 일상을 사실에 입각하여 잘 기술하고 있다. 언어 사용을 관찰하여 사회에서 인식되는 또는 그려지는 성별의 역할과 성별에 따른 관심을 연구하는 데에는 신문 기사가 유용할 것이다. 언론사나 기자에 따라서 같은 현상을 보는 시각이나 태도는 달라질 가능성은 있다. Bell(1991)은 신문이나 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 상의 언어를 연구해야 하는 이유로 ‘미디어는 사람들의 태도와 언어의 사용을 반영하는 동시에 영향을 준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성별에 따른 인물 지칭어가 우리 일상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이 연구에 신문이 포함된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성별 대립 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이나 이들 명사의 관련어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신문이 포함된 미국 현대 영어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효과적인 분석을 위하여 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제시하는 Pajek(버전 4.04)과 통계 프로그램인 R(버전 3.0.2)을 이용한다.
‘man/woman’ 또는 ‘male/female, boy/girl, mother/father’등과 같이 성별을 나타내는 명사는 사람의 집단을 구분하는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그 집단의 구성원을 설명하는 근본적인 기능을 한다. 어떤 단어의 의미를 이해할 때 사전적 정의만으로는 그 언어적 사용을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단어는 그 자체로 의미가 드러나기 보다는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분명해진다. 한 단어와 의미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단어가 관련되어 있지 않은 단어들보다 더 자주 동일 문맥 내에서 출현할 가능성이 높다. 동일 문맥 안에 출현할 수 있는 단어들은 상하관계, 유의관계, 부분-전체관계와 같은 치환적이면서 결합적인 어휘 관계도 형성할 수 있다(Cruse 2000, 강범모 2010).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성별 대립어를 대상으로 하여 이 단어들과 동일 맥락에서 함께 나타나는 단어(co-occuring word)를 관련어로 고려하여 대상어들이 어떻게 문맥 내에서 기술되는지 고찰한다.
Finegan(2007)은 의미를 언어학적 의미(linguistic meaning), 사회적 의미(social meaning), 그리고 감정적 의미(affective meaning)란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언어학적 의미는 뜻(sense)과 지시체(reference)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의미는 화자의 말을 통해서 화자의 사회적 위치, 그가 속한 사회적 특성 그리고 그 사회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알게 되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감정적 의미는 단어와 발화에 암시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상황을 묘사한다 해도 화자의 긍정적/부정적 태도가 전달될 수 있다. 즉 언어 사용의 의미적 변화는 문화, 역사, 그리고 사람들의 감정과 태도를 반영한다(Odenstedt 2000).
영어에서는 ‘gender’와 ‘sex’의 두 가지 용어로 성을 구분한다. ‘sex’는 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남자와 여자를 뜻한다. 그러나 ‘gender’는 남자와 여자 사이의 사회 문화적 차이에 근거한 구분으로 생애 주기를 걸쳐 배우게 되는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구분이다. 대상어가 어떤 관련어들과 함께 사용이 되는지, 관련어들 사이의 의미적 유사성이나 의미부류 그리고 어휘 의미 관계를 관찰함으로써 대상어에 대한 특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사회 현상을 반영하는 신문 기사를 통해 인물 지칭어가 어떤 의미로 기술되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성 주체성이 나타나는 명사를 선정하여 그 명사와 한 문장 내에서 함께 사용되는 관련어를 추출하여 의미 영역을 통해 성별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대상어로 선정된 남녀 성별 지칭어와 관련어 추출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코퍼스에서 추출된 관련어를 통해서 성별 지칭어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영역을 알아본다. 이를 위해서 Pajek(ver. 4.0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련어들의 목록을 제시한고 관련어의 의미영역을 살펴봄으로써 연구 대상이 되는 지칭어의 특징을 논의한다. 인물 지칭 명사와 관련된 향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과 계획을 제시함으로써 보고서를 마무리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는 성별 지칭 명사와 동일문장 내에서 함께 나오는 관련어를 조사하여 각 성별 명사가 어떤 의미영역에서 사용되는지 탐색한다. 기본적인 성별 대립 명사인 ‘man, woman’의 대립적인 의미관계에 기반하여 대상어와 한 문장에서 공기하는 단어들의 상관관계를 계산 ...
이 연구는 성별 지칭 명사와 동일문장 내에서 함께 나오는 관련어를 조사하여 각 성별 명사가 어떤 의미영역에서 사용되는지 탐색한다. 기본적인 성별 대립 명사인 ‘man, woman’의 대립적인 의미관계에 기반하여 대상어와 한 문장에서 공기하는 단어들의 상관관계를 계산한 후 관련어를 도출하였다. 관련어 분석은 개별 단어의 속성만으로 어휘들의 의미 관계를 설명하는 데 발생하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호적/배타적 관련어는 하나의 맥락에서 출현하는 단어를 분석함으로써 단어의 관계적 속성에 초점을 두어 계열적/통합적 어휘 의미를 볼 수 있다. 구어와 문어 그리고 문어 내에서도 신문, 학술, 소설 등 장르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는 단어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남성, 여성’은 생물학적인 의미보다 사회적 지위나 역할 또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관련어와 함께 사용된다. 대상어 간의 의미관계, 관련어 사이의 의미관계와 의미부류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 대상이 되는 언어 자료인 현대 영어 내에서 장르별 단어 사용의 특징을 확인함으로써 영어 교육에 이용할 수 있다. 군집분석을 통한 의미군집 형성하는 등 통계적 방법론 도입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의미부류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객관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 코퍼스에서는 ‘여성/남성’에 속하는 대상어들이 어떤 빈도로 어느 문서에서 많이 언급되어 왔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mom, mother'처럼 유의관계를 가진 단어쌍과 ’mom/dad, mother/father'의 대립관계를 갖고 있는 단어쌍이 빈도상 어떤 분포로 상호 관련어를 공유하는지도 확인 가능하다. ‘father, dad' 또는 ’mother, mom'과 같이 의미가 유사한 단어들이 실제 문맥 내에서 어떤 단어들과 함께 사용되는지 알 수 있다. 유의어들이 레지스터에 따라 다른 단어가 선택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밝혀진 바 있지만 실제 어떤 관련어들 또는 어떠한 의미부류의 단어들이 함께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는 어휘의미론은 연구하거나 코퍼스 언어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연구자들 외에도 영어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CA 자료는 1990년 이후 발간된 신문을 비롯하여 구어, 소설, 잡지, 그리고 학술서적을 포함하고 있다. 신문 기사는 당시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요 사건들이 기술되는 매체이다. 장기간 축적된 신문 기사에 나타난 언어를 분석함으로써 성별 대립 명사가 사용되는 문맥이나 이들 명사의 관련어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설명하는데 신문 코퍼스는 좋은 자료가 된다. 또한 신문 외의 텍스트와 비교함으로써 각 장르에 따라 성별 대립어들이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지 그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영어 코퍼스에서 언급되는 ‘남성, 여성’류의 대상어들에 대해 생물학적인 의미가 어떻게 기술도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위나 역할 또는 문화적 가치에 대한 기술이 관련어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색인어
성별 대립어, 대상어, 관련어, 공기어, 현대 미국 영어 코퍼스, 통계 R, 군집분석, 의미군집, 상호적 관련어, 배타적 관련어, 의미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