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교수요목을 통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병행적 학습 모형 연구
Rearch for Pararell Learning Model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Korean Literature)by Teaching I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0932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해옥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목표
    본 연구는 문화 교수 요목의 위계화를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한국문학)의 병행적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이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언어와 문화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문학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문화 정보가 풍부한 문학 작품을 문화 교수 요목에 적합하게 선정한다면 언어와 문화를 병행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외국인 학습자의 스키마 형성을 높여 한국어 교육(제 2언어 습득)을 원활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육 현장의 필요 요구를 반영한 실용 연구를 통하여 언어 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기존 연구자들의 연구 동향은 연구자의 직관이나 취향 중심의 작품선정으로 언어교육 현장에서 문학 작품을 활용하는데 자료 접근성이 떨어져 일정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화 교육 내용학에 근거하여 작품을 선정하고 언어 정보학적인 방법으로 텍스트의 문화 어휘 분석하여 초, 중, 고급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맞는 텍스트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실용 연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자의 요구 조사를 참조하고 본 연구를 위한 자체 설문 조사 결과를 보완함으로써 요구 조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 작품의 미학적 가치와 문화 교육론적 효용성에 기반하여 문학 작품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언어와 문화교육의 병행적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 문학 작품을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학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
    2. 연구의 필요성(연구의 중요성)
    이 연구의 중요성은 고급한 언어 교육을 위하여 문학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작품 선정과 교수 방법의 문제점으로 인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기피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다.
    그동안 문학 작품이 언어 교육과 문화 교육에 중요하다는 공감대는 형성되었지만 교육 자료에 적합한 작품을 선정하는데 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문화 교수 요목에 따른 교육 내용의 위계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언어 교육과 문화교육의 병행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에서 논의된 위계화 방법을 참조하여 문화 교육 내용에 근거한 언어 문화 통합 교육 가능성을 탐구하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산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문화 어휘를 분석하여 문화의미 항목을 중심으로 분류표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 학습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높이도록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 교수 요목을 설정하고 학습자 요구 조사를 반영한 결과 전체 문학 작품 중에서 교육 현장의 선호도가 높은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분석하기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을 병행할 수 있는 학습 모형을 구성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제 2언어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체계 수립 : 문학 작품을 활용한 언어문화 교육 방안 제시
    2. 문학 작품에 대한 전산언어학적인 연구 방법 적용 - 문학 연구에 새로운 변화 유도
    3. 한국어 교육에 필수적인 문화 항목을 선정하고 이것을 토대로 문학 및 문화 교육 커리큘럼의 제작에 기여할 수 있다.
    4. 표준화된 제 2언 교육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
    5. 구축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어휘와 문화 교수 방안의 수립이 가능하다.
    6. 구축된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용 multimedia 자료를 만들 수 있다.
    7. 구축된 언어 문화 자료는 문화 콘텐츠로서 one source - multi use가 가능하다.
    8. 구축된 자료를 토대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언어문화 교육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9. 문학 작품에 대한 전산언어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향후 코퍼스를 통한 문학작품의 문체 연구를 유도할 수 있다.
    10. 한국어 교육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학 및 한국학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 내용 항목이 설정하여 문화 어휘를 분류하고 문화어휘에 대응하는 문학 작품을 선정할 수 있다.
    12.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교육, 한국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고 문학과 문화의 융합 연구에 많이 응용될 수 있다.
    13. 한국학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로 한국 인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의 중요성은 고급 언어 교육을 위한 문학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지만 작품 선정과 교수 방법의 문제점으로 인해 실제 교육 현장에서 기피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문화 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관련 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전산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문화 어휘를 분석하여 문화의미 항목을 중심으로 분류표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수 학습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크게 높이도록 할 것이다.
    1. 본 연구에서는 문화 교수 요목을 설정하고 학습자 요구 조사를 반영한 결과 전체 문학 작품 중에서 교육 현장의 선호도가 높은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 확정된 교수 요목을 바탕으로 관련 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이 작품들을 전산 언어학에 의해 코퍼스로 자료를 구축한 다음 이를 품사별로 분석할 것이다. 분석된 어휘 자료들은 교수자 및 학습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문화 의미 항목으로 분류하도록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작가에 의해 쓰인 방언이나 개인어, 유행어와 같은 어휘들은 표준어로 정리하여 의사소통 과정에 어려움이 없도록 텍스트를 보정할 것이다. 또한 초급, 중급, 고급의 한국어 능력에 맞도록 텍스트를 가공하여 학습자의 자료 접근성을 높이도록 시도할 것이다.
    3. 문화 어휘 목록표를 기초 자료로 해서 본 연구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수준별 과정으로 어떻게 실행가능한지 구체적인 학습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본 과제의 창의성․ 도전성은 다음과 같다.
    1. 문화 교육 내용학 선정을 통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콘텐츠 구성 시도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문화 교육 내용학을 새롭게 선정한다는 점에서 이제까지 작품 선정에 대한 기존의 여러 가지 논란을 해결하고 작품 선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창의성이 기반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콘텐츠를 구성함으로써 한국어 및 문화, 문학 교육의 통합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2. 문화교육 이론에 입각한 문화 교수 요목의 확정과 위계화 방법을 새롭게 제안
    본 연구에서는 제 2언어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화 교육 이론을 적용한 한국 문화 교수요목을 확정하게 될 것이다. 이때 초급·중급·고급의 위계화는 Stewart의 문화이론, Patrick R. Moran의 문화 학습 이론, 홉스테드의 문화의 여러 가지 수준을 나타내는 양파 이론을 적용하여 새로운 방법론에 의해 문화 교수 요목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3. 문화 숙달도를 고려한 위계화 방안
    본 연구는 35개의 기존 문화 교육 교재에서 추출한 표제어 및 주제어를 중심으로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문화 숙달도를 고려하여 창의적인 방법에 의해 위계화된 교육 내용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4. 교육 현장에서 적용가능한 필드형 작품 선정을 제안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자의 자의성이나 편집자의 취향으로 선정된 문학 작품이 아니라 교육 현장의 필요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필드 중심의 문학 작품 선정에서는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 중요하게 작용하며 문화 충돌이나 문화 충격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관점문화를 중심으로 문화 교수 요목을 확정하고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한국문학)의 병행적 학습 모형을 제시하도록 할 것이다.
    5. 언어 문화 교육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혁신적인 전산 언어학 연구 방법의 도입
    본 연구는 코퍼스 및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한국 현대 소설을 말뭉치 자료로 구축하여 문학 작품이 언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도록 시도할 것이다.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학습자 어휘를 통제하여 교수자가 언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유도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적 시도는 언어 교실에서 문학 작품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작품 분석 방법
    1) 전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말뭉치로 구축
    2) 구축된 말뭉치를 엑셀의 품사 분류 프로그램 활용하여 품사별 문화 어휘로 분석
    3) 분석된 문화 어휘를 문화 교수 요목에 따라 분류
    4) 학습자 수준별 교육이 가능하도록 언어 문화 통합 교육 모형을 제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문화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언어 교육에 필요한 문학 작품 선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언어 및 문화, 문학 교육의 통합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의 요구 조사에 기초하여 작품과 장르를 선정하고 언어 문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었다.
  • 영문
  • This research proposed an objective basis for literature selection needed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at . on this base , we presented the unification teaching method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 Also, on based of needs research of education field , this study selected not only litrature work and jenre also produced educion conten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한국문화에 대한 정보를 확장함으로써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원활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의 위계화 방안을 구축하여 문학 작품을 통한 언어와 문화 교육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방법에서는 문화 교육 요목에 근거하여 작품을 선정하고 언어 정보학적인 방법으로 텍스트 분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용 연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존 연구자의 요구 조사를 참조하고 본 연구를 위한 자체 설문 조사 결과를 보완함으로써 작품 선정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말뭉치로 구축하여 엑셀로 품사별로 분류하였다.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일반 명사를 중심으로 문화 교수요목을 참조하여 문화 의미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외국인 학습자의 텍스트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현대 일상 생활 문화에서 쓰지 않는 어휘는 현대어로 변용하여 학습자가 한국어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텍스트를 가공하였다. 학습 모형의 예시에서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에 적절하게 언어와 문화, 문학의 병행적 학습 모형이 가능하도록 수준별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학 작품의 미학적 가치와 문화 교육론적 효용성을 높여 언어와 문화교육의 병행적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한국 문학 작품을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한국학에 대한 기초적인 토대를 확립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A.) 연구결과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문화 교육 내용학을 새롭게 선정한다는 점에서 이제까지 작품 선정에 대한 기존의 여러 가지 논란을 해결하고 작품 선정의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콘텐츠를 구성함으로써 한국어 및 문화, 문학 교육의 통합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교육 현장의 요구 조사에 기초하여 작품 장르를 선정하고 이를 통하여 언어 문화 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고자 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 2언어 교육을 위한 새로운 문화 교육 이론을 적용한 한국 문화 교수요목을 확정하였다. 초급·중급·고급의 위계화는 Stewart의 문화이론, Patrick R. Moran의 문화 학습 이론, 홉스테드의 문화의 여러 가지 수준을 나타내는 양파 이론을 적용하여 문화 교수요목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35개의 기존 문화 교육 교재에서 추출한 표제어 및 주제어를 중심으로 언어문화 교육을 위한 위계화로서 문화 숙달도를 고려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자의 자의성이나 편집자의 취향으로 선정된 문학 작품이 아니라 교육 현장의 필요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필드 중심의 문학 작품 선정에서는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 중요하게 작용하며 문화 충돌이나 문화 충격의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관점문화를 중심으로 문화 교수요목을 확정하고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현대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한국문화(한국문학)의 병행적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분 연구 결과로서 작품을 선정하는데 적용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문화 교수요목과 관련된 현대 문화를 반영한 작품
    2) 현대 한국어로 기술된 대중적인 현대 소설
    3)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가 풍부한 작품- 영화, 드라마, 연극, 애니메이션
    본 연구는 코퍼스 및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한국 현대 소설을 말뭉치 자료로 구축하여 품사 분류를 통하하여 문학 작품이 언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메타 계량적 방법으로 학습자 어휘를 통제하여 교수자가 언어 교육을 위한 문학 작품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유도할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적 시도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 교실에서 문학 작품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1). 전산언어학적인 방법으로 말뭉치로 구축
    2) 구축된 말뭉치를 엑셀의 품사 분류 프로그램 활용하여 품사별 문화 어휘로 분석
    3) 분석된 문화 어휘를 문화 교수요목에 따라 분류
    4) 학습자 수준별 교육이 가능하도록 언어 문화 통합 교육 모형을 제시

    b). 활용방안
    1. 제 2언어 교육 방법에 대한 새로운 체계 수립: 문학 작품을 활용한 언어문화 교육 방안 제시
    2. 문학 작품에 대한 전산언어학적인 연구 방법 적용-문학 연구에 새로운 변화 유도
    3. 한국어 교육에 필수적인 문화 항목을 선정하고 이것을 토대로 문학 및 문화 교육 커리큘럼의 제작에 기여할 수 있다.
    4. 표준화된 제 2언 교육 과정을 유도할 수 있다.
    5. 구축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여 어휘와 문화 교수 방안의 수립이 가능하다.
    6. 구축된 자료를 토대로 다양한 교육용 multimedia 자료를 만들 수 있다.
    7. 구축된 언어 문화 자료는 문화 콘텐츠로서 one source - multi use가 가능하다.
    8. 구축된 자료를 토대로 문학 작품을 활용한 언어문화 교육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9. 문학 작품에 대한 전산언어학적인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향후 코퍼스를 통한 문학작품의 문체 연구를 유도할 수 있다.
    10. 한국어 교육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학 및 한국학의 학문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11.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 내용 항목이 설정하여 문화 어휘를 분류하고 문화어휘에 대응하는 문학 작품을 선정할 수 있다.
    12. 한국어 교육 및 한국문화 교육, 한국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고 문학과 문화의 융합 연구에 많이 응용될 수 있다.
    13. 한국학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로 한국 인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밖에 결과물은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문학을 통합하는 문화 교육 콘텐츠로서 새로운 한류 문화로 크게 부상할 수 있다.
  • 색인어
  •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문학, 현대소설, 교수 요목, 학습모형, 텍스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