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the social network of private guard organization has on communication, innovative ability and cooperative ac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41469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은정
연구수행기관 여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경호경비학 지식체 형성에 기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경호경비학 연구영역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져 왔던 분야인 경영학 기초학문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는 경호경비학문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토대로 전문화․세분화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경호학, 경영학, 사회학, 체육학의 이론을 적용하여 독자적이고 전문화된 연구영역을 개발․확립하려는 연구계획을 가지고 있다.
  • 기대효과
  • 학문적 기대효과 부분에 있어서는 경호경비학문은 짧은 기간 동안 사회적․학문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지만, 타 학문분야보다 상대적으로 학문의 기초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분야는 민간경비산업의 특성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립 문제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민간경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혁신의 통해 조직성과를 극대화하는 본 연구 주제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경호경비학문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학문 분야의 경험적 연구 축적과 지속적인 연구의 활성화와 민간경비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정책적 기대효과 부분은 본 연구의 ‘민간경비 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민간경비 노동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자료와 민간경비 산업의 활성화를 제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민간경비원들의 역할 및 행동 그리고 조직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냄으로써, 민간경비산업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리시스템 및 경영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경호경비학 지식체 형성에 기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수도권 소재(서울․경기)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 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청에 등록된 경비업체로서 50인 이상 근무하고 있는 업체 10개를 대상으로 할 것이며, 1개소 업체당 30명씩 총 300명을 추출하고자 한다.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할것이며 수정보완하여 사회인구학적특성, 사회적 네트워크, 의사소통, 혁신능력, 협력행동을 측정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방법은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이용하여 설문내용에 응답하도록 할 것이며, 회수된 설문지의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사용할 것이다. 입력된 자료처리 방법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활용한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을 이용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경호경비학 지식체 형성에 기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수도권 소재(서울․경기)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청에 등록된 경비업체로서 50인 이상 근무하고 있는 업체 10개를 대상으로선 정하였으며, 1개소 업체당 30명씩 총 300명을 추출한후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한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45부를 제외한 총 25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비공식적 부분 하위요인 도움정도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 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공식적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간 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협력행동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식적과 비공식적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민간경비조직의 혁신능력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body of knowledge in the security sciences by carrying out research on ‘the effects of a social network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on communication, innovation and cooperation.’
    A total of 300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a population of private security officers employed by private security firms in Seoul’s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10 security firms registered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with more than 50 employee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d 30 individuals from each firm were sampled and made to answer a survey. Excluding 45 unreliable responses, 255 copies of the survey were subject to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 social network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on communication, it was shown that social networks affected unofficial subfactors of assistance.
    Second, innovation was officially affected by communication between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Third, cooperation was affected both officially and unofficially by communication between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Fourth, by validating the effects of inter-organization communication on cooperation, it was shown that the innovative abilities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were affec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경호경비학 지식체 형성에 기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수도권 소재(서울․경기) 민간경비업체에 종사하는 민간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의표집법(purposiv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집 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청에 등록된 경비업체로서 50인 이상 근무하고 있는 업체 10개를 대상으로선 정하였으며, 1개소 업체당 30명씩 총 300명을 추출한후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한후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45부를 제외한 총 25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경비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네트워크는 비공식적 부분 하위요인 도움정도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간 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혁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공식적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민간 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협력행동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공식적과 비공식적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간경비조직의 의사소통이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민간경비조직의 혁신능력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body of knowledge in the security sciences by carrying out research on ‘the effects of a social network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on communication, innovation and cooperation.’
    A total of 300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a population of private security officers employed by private security firms in Seoul’s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 10 security firms registered 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with more than 50 employees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and 30 individuals from each firm were sampled and made to answer a survey. Excluding 45 unreliable responses, 255 copies of the survey were subject to fin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effects of a social network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on communication, it was shown that social networks affected unofficial subfactors of assistance.
    Second, innovation was officially affected by communication between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Third, cooperation was affected both officially and unofficially by communication between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Fourth, by validating the effects of inter-organization communication on cooperation, it was shown that the innovative abilities of private security organizations were affected.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학문적 기대효과 부분에 있어서는 경호경비학문은 짧은 기간 동안 사회적․학문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지만, 타 학문분야보다 상대적으로 학문의 기초적인 연구가 매우 미흡한 현실이다. 특히,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온 분야는 민간경비산업의 특성에 대한 기초적 이론적립 문제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민간경비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조직의 혁신의 통해 조직성과를 극대화하는 본 연구 주제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경호경비학문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학문 분야의 경험적 연구 축적과 지속적인 연구의 활성화와 민간경비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증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사회 네트워크의 기대효과에 대해 민간경비조직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네트워크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협력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집단의 많은 사람들과 유대관계를 맺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인이 구축한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과 혁신행동, 협력행동과 같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것은 기존의 연구결과가 민간경비조직에도 적되용고 활용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정책적 기대효과 부분은 본 연구의 ‘민간경비 조직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민간경비 노동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정책적 자료와 민간경비 산업의 활성화를 제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민간경비원들의 역할 및 행동 그리고 조직문화에 대한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해 냄으로써, 민간경비산업의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리시스템 및 경영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민간경비조직, 사회적 네트워크, 의사소통, 혁신능력 및 협력행동, 자기평가기입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