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무명작가의 복원과 문인교사의 글쓰기 -이일(李一)의 생애와 문학-
Restoration of an Anonymous Author and Writing of a Writer-teacher: the Literature and the Life of Lee Il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4S1A5B5A0703956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1 년 (2014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윤정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 이일(李一)의 생애와 문학작품을 고찰하여, 연보를 정리하고 그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한국의 문학 연구는 사조 혹은 장르, 주제를 중심으로 주요 작가를 선정하고, 그 안에서 문학사적 맥락을 만들어나가는 방향을 취했다. 식민지 시대 시, 수필, 소설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했던 이일은, 1930년대 이후 작품 활동을 하지 않은 시인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그는 1940년대까지 신문과 잡지에 글을 발표했으며, 휘문고보의 교사로서 문우회를 지도하고 교지를 편집하며 작가들을 배출했다. 또한, 1910-30년대 이일은 창작활동과 교사생활 이외에도 법학과 신학을 전공한 지식인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인들과 관계 맺고 ‘집단’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이일의 문학에 나타난 ‘정념’의 문제는 근대 조선을 살았던 지식인 개인의 마음 상태를 넘어 타자, 공시적 이야기를 공유하는 공동체, 세계와의 연속성을 드러내는 지표로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작가 이일의 문학 활동을 정리한 후, 분석하고 의미 부여하는 일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무명작가들을 문학사 안에서 재조명하는 방법인 동시에, 시와 소설을 중심으로 주요 작가를 분류하고 그들을 중심으로 문학사를 서술해왔던 종래 문학 연구의 방법을 넘어서는 일이기도 하다. 또한, 이일과 그를 둘러싼 방계의 문인교사를 고찰하는 일은 근대적 ‘작가’의 형성 및 존재 방식을 살피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지금 우리 문학사에서 중요한 작가들로 기억되는 작가들은 대부분 문인교사이었다. 그들은 두 가지 정체성을 한 몸에 지닌 가운데 작품창작을 했고, 교육활동을 했다. 그 가운데 문학과 교육활동은 서로 교섭하고 길항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이일의 생애에 대한 분석은 이병기의 위상에 가려져 낯선 존재로 남아 있는 휘문고보 출신의 문인교사들이 작가들에게 미친 교사의 영향력을 재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가 다양한 영역의 지식인들과 관계 맺으며 스스로를 작가로서 갱신할 수 있었던 방식, 당대 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작가의 글쓰기에 내포된 정념의 양태를 분석하는 일은, 문학 연구의 외연을 넓히고 식민지 지식인의 윤리를 감성의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하는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결국 그가 교사로서의 길을 선택했던 사정을 통해 우리는 문학사가 기억하는 작가와 작품이라는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게 된다. 근대적 전업 작가가 분화되는 과정을 살피는 일은 문학 제도와 문학 시장이 근대 문학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데 하나의 유용한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근대 조선에서 활동했던 작가 이일을 중심으로 학술•문예의 양상을 밝히는 것은 물론 그를 둘러싸고 형성된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구조화함으로써, 당대 문인교사의 언로를 살피고 그가 지식인으로서 행했던 사회•문화적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과정과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를 거둘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작가 이일의 생애와 작품 연보를 확정하여, 거의 연구되지 못했던 작가를 문학사 내부로 포섭하고 본격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데 기여할 것이다. 주요 작가 중심의 문학사 서술이 갖는 편향성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한 이 연구는, 문학사가 포함하고 가치평가 해야 할 영역을 확대하고 앞으로의 문학사 서술에 자극이 될 것이다.
    둘째, 무엇보다 지금까지 장르별, 주제별, 사상별로 진행된 문학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문학과 교육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 문인교사에 대한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지식인 이일이 창출했던 집단과 매체, 그가 관계 맺었던 인물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학교나 학회, 그 밖의 운동 단체들과의 관련 속에서 형성된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검토하는 일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과정은 이일을 둘러싼 집단의 경향성을 통해 그의 지적 배경을 살피는 일인 동시에 문인교사가 배출한 작가들의 면면을 통해 사제 간의 문학적 영향관계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문학, 역사, 교육학적 영역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교육, 사회학계의 관심을 소통시키는 통합 학문적 연구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결국 이 연구는 근대 조선 문학(화)장에서 이일의 다양한 역할들을 재고함으로써 그간 연구되지 않았던 작가를 본격적인 학문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물론, 이를 통해 이 시기 학교나 학회, 매체와의 관련성 속에서 문인교사가 언로를 마련하고 학생들에게 언로를 제공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그간 축적된 조선의 작가들에 대한 연구가 이룩한 성과들이 문학적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문학, 교육, 사회학적인 의미들로 확장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문학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방편으로, 문인교사의 존재방식에 주목한다. 문인교사의 생애와 창작활동을 살피는 일은 근대 작가의 정체성과 존재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유학 중 『학지광』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해, 『여자계』, 『태서문예신보』, 『창조』, 『매일신보』, 『동아일보』, 『개벽』 등을 통해 창작활동을 지속하면서도 휘문고보 교사로 일했던 이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러한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미 이일이 사용했던 네 가지 필명을 통해 그의 작품 목록을 작성한 상태이다. 하지만 다른 필명의 가능성, 본 연구자가 살피지 않은 매체 등에 산재해있을 그의 작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무명작가 이일의 문학작품에 대한 선행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문인교사라는 두 개의 정체성을 가지고 창작활동을 했던 지식인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첫째, 이일은 어떤 과정을 통해 등단하고 작품을 발표하며 작가로서 입지를 만들어나가는가. 둘째, 이일은 어떤 제도, 사상과 인물과의 영향 관계 속에서 유학생, 간사, 작가, 교사로 호명되고, 발화하는가. 셋째, 다양한 장르의 텍스트 속에서 그는 어떤 수사와 비유 체계들을 창출해내는가. 그리고 이는 작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어떻게 작용하는가. 넷째, 근대 조선의 문단에서 이일의 문학이 갖는 특성과 의미는 무엇인가. 그의 문학에 빈번하게 나타난 정념의 문제는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문인교사'라는 코드로 식민지 시기 문학장의 주체가 갖고 있었던 정체성과 글쓰기의 양상을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내용과 구성을 갖게 될 것이다.
    첫째, 해방 전, 이일이 문학활동을 중단할 때까지의 신문과 잡지를 통해 그가 발표했던 문학작품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연보를 확정한다.
    둘째, 일본 유학생, 휘문고보 교사로서 이일이 행했던 일들을 정리하고, 그를 둘러싼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그의 문화적 업적들을 평가한다.
    셋째, 법학과 신학을 전공했던 이일이 문명화의 논리 속에서 창출해 낸 지식담론이 새로운 지식체계와 결합하며 변화해가는 과정을 제시한다.
    넷째, 그가 창작했던 문학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살핌으로써 그의 창작활동 과정, 문학적 특성과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의 문학사적 의의를 조명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문학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방편으로, 문인교사의 존재 방식에 주목한다. 문인교사의 생애와 창작활동을 살피는 일은 근대 작가의 정체성과 존재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유학 중 『학지광』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해, 『창조』동인으로 활동하고, 시와 소설 창작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휘문고보 교사로 일했던 이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 문제에 접근한다. 본 연구자는 다른 작가들의 회고, 재판기록, 신문 및 잡지 기사, 이일이 사용했던 필명을 통해 그의 생애와 작품 목록을 정리하고, 그의 글쓰기에 나타난 윤리와 열정의 의미를 분석했다. '문인교사' 이일이 식민지 시기 문학장의 주체로서 갖고 있었던 정체성과 글쓰기의 특성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집약된다.
    첫째, 해방 전, 이일이 문학활동을 중단할 때까지의 신문과 잡지를 통해 그가 발표했던 문학작품들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연보를 제시한다.
    둘째, 시인과 휘문고보 교사로서 이일이 행했던 일들을 정리하고, 그를 둘러싼 인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그의 사회․문화적 업적들을 평가한다.
    셋째, 법학과 신학을 전공했던 지식인 이일이 문명화의 논리 속에서 창출해 낸 담론이 조선의 매체와 결합하여 굴절되는 양상을 분석한다.
    넷째, 그가 창작했던 문학작품들을 집중적으로 살핌으로써 그의 창작활동 과정, 문학적 특성과 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그의 문학사적 의의를 조명한다.
  • 영문
  • This study focus on the way of living of writer-teacher to represent the figure of literary world in the colonial period. Looking at the life and works of writer-teacher can be an effective way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modern writers. In this study, we deal with the case of Lee Il, who started literal works through Hakjigwang(『學之光』) when he had studied in Japan and engaged Changjo(『創造』) and worked as a teacher of Hwimoon High School while writing poems and novels. I have not only summarized his life and works through other writer’s remembrance, trial record, newspapers, articles of journals and his pen name but also analyzed the meaning of the passion and ethic shown in his wor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listed like below.
    Firstly, I have found his works shown in newspapers and journals and then summarized systematically to complete chronological list. Secondly, I have summarized his activities as a teacher of Hwimoon High School and a poet to evaluate his social-cultural achievements focusing on his social networking. Thirdly, I have analyzed the figure in which his argument, which he had created through his civilization logic as a law and theology major, had transformed by being combined with medias of Chosun. Finally, I have analyze the process of his literal works, liter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and the figure of change of the works and tried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the works by intensively studying his literal wor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지금까지 작가 이일의 생애와 문학작품에 주목하여 분석한 본격적인 연구는 없었다. 이일은 일본 유학 중 『학지광』을 통해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해, 『창조』동인으로 활동하고, 시와 소설 창작을 지속하는 과정에서 휘문고보 교사로 일했던 인물이다.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문학장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방편으로, 문인교사의 삶에 주목한다. 문인교사의 생애와 창작활동을 살피는 일은 근대 작가의 정체성과 존재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된다. 본 연구자는 다른 작가들의 회고, 재판기록, 신문 및 잡지 기사, 이일이 사용했던 필명을 통해 그의 생애와 작품 목록을 정리하고, 그의 글쓰기에 나타난 윤리와 열정의 의미를 분석했다.
    문인교사라는 두 개의 정체성을 가지고 창작활동을 했던 지식인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이일의 문학과 생애 연보를 작성함으로써 이일이 등단하여 작품을 발표하며 작가로서 입지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을 추적한다. 둘째, 이일은 어떤 제도, 사상과 인물과의 영향 관계 속에서 유학생, 간사, 작가, 교사로 호명되고, 발화하는지 살핀다. 셋째, 문학, 교육, 종교 등 다양한 영역을 포괄하는 그의 글쓰기가 보여주는 윤리와 정념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하고, 그것이 작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어떻게 작용하는지 해석한다. 넷째, 근대 조선의 문단에서 이일의 생애와 문학이 갖는 특성과 의미는 무엇인지 의미 부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근대 조선에서 활동했던 작가 이일을 중심으로 학술·문예의 양상을 밝히는 것은 물론 그를 둘러싸고 형성된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구조화함으로써, 당대 문인교사의 언로를 살피고 그가 지식인으로서 행했던 사회·문화적 활동의 의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과정과 결과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자는 연구의 결과를 논문으로 작성하여 국내 학회에서 발표했다. 이후, 한국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발표함으로써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를 알리고, 후속 연구를 가능하게 하려는 본래의 의도를 살리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자는 연구 결과로 산출한 논문과 조사한 자료들을 함께 정리하여 이일 작품집을 단행본으로 출간할 계획이다. 이것은 연구계획서에 언급하지 않았던 내용으로, 그의 생애와 이력, 문학 작품, 설문 응답, 체육 활동 등을 망라한 내용의 자료집으로 거듭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물은 문단, 학교, 종교, 매체, 학회 등 제도의 문제가 문학과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드러냄으로써 근대 조선의 작가가 형성된 메커니즘을 드러내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이 연구는 문학 분야에서 더 나아가 사회․문화적으로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주요 작가 중심의 문학사 서술이 갖는 편향성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한 이 연구는, 문학사가 포함하고 가치평가 해야 할 영역을 확대하고 앞으로의 문학사 서술에 자극이 될 것이다.
    둘째, 장르별, 주제별, 사상별로 진행된 문학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문학과 교육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지점으로서 문인교사에 대한 연구는 근대 조선에서 작가였던 교사들이 배출한 시인과 소설가들의 면면을 통해 그 상호 영향관계를 재조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 지식인이 창출한 사회문화적 지형을 섬세하게 복원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식인 이일이 창출했던 집단과 매체, 그가 관계 맺었던 인물들에 대한 조사를 통해 학교나 학회, 그 밖의 단체들과의 관련 속에서 형성된 인적·지적 네트워크를 검토하는 일이다. 특히, 근래 문화 연구의 키워드로 부상하는 ‘동호인’, ‘공감’과 같은 내용들은 네트워크와 감성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것이 다시 정치적 사건으로 전이될 수 있음을 환기한다.
    넷째, 본 연구는 문학, 역사, 교육학적 영역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교육, 사회학계의 관심을 소통시키는 통합 학문적 연구의 한 모델이 될 수 있다. 근대 조선의 작가들이 대부분 문인교사였다는 사실, 그들이 글쓰기와 교육을 통해 교육운동을 야기했다는 사실은 학제 간 연구의 필요성을 환기하는 사례가 될 수 있다.
  • 색인어
  • 이일, 생애, 문학, 문인교사, 학교, 매체, 관계, 정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