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 미디어 중독 특성 및 중독 해소 개입전략 개발 연구
The research about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addic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addiction solu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306594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12월 01일 ~ 201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곽호완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스마트미디어의 확산과 더불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마트미디어 중독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하는 이용자들이 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리학적 지표 측정을 통해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의 특성을 신경심리학적 및 임상심리학적으로 파악하고 그 특성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예방 및 분류에 사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평가도구 개발 후에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을 구축하여 상용화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연령에 따라 획일화된 평가 척도에서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성별, 연령, 직업 등 사회적 상황에 맞는 평가 척도 및 규준을 마련하고자 함.
    둘째,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관련한 심리학적 요인들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신경심리검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
    셋째, 스마트미디어 사용량과 관련한 모니터링 시스템 어플리케이션(monitoring system application)을 개발해 특성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량 기록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함.
    넷째,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심층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고위험군 집단의 성격특성에 대해 정의함.
    다섯째, 고위험군을 성격특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성격특성에 따른 치료적 개입 기반을 마련함.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여도
    ■ 기존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시행한 단일연구의 틀을 벗어나 심리학의 양대 분야인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의 공동연구를 통해 단일 도메인 연구를 넘어서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
    ■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 이론적 접근과 기술적 접근을 통해 현 시대의 학문적 흐름에 부응
    ■ 심리학적 연구 내 IT 기기의 활용 가능성 확인 및 적용 대상에 대한 접근성 확보. 추상적인 심리학적 기제에 대해 가시적인 데이터를 산출하여 보다 과학적인 연구를 진행

    □ 사회적 기여도
    ■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관련하여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사회문제 예방 및 근원적 이해를 위한 기반을 제시
    ■ 모든 대상자가 접근 가능한 선별척도의 개발을 통해 학교장면, 가정장면 등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없는 측정 및 평가 가능
    ■ 스마트미디어는 디지털 시대를 선도하는 최고의 발명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스마트미디어 산업을 선도하는 세계적인 자국기업들의 영향으로 인해 미치는 영향이 더 직접적이고 크다고 할 수 있는 만큼 스마트미디어중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선별도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문제 발생 이전 예방과 사후 관리가 가능한 Self monitoring system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여 활용가능영역을 확대

    □ 인력양성
    ■ 스마트미디어, 중독, 개발에 특화된 전문 인력의 양성
    ■ 연구기간 동안 각종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역량의 개발
    ■ 학술대회 참석 등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 파악 및 연구내용의 발표
  • 연구요약
  • 본 기초연구와 적용연구로 나누어 2개년에 걸쳐 시행한다.

    1차년도(기초연구)
    □ 신경심리학
    ■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신경심리학적 변인 탐색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신경심리검사 개발
    ■ 웹 기반 신경심리 검사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기존 개발된 검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 측정에 적합한
    자극 및 환경을 재구성
    □ 임상심리학
    ■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임상심리학적 변인 탐색
    행위중독 관련 변인들을 사용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임상심리검사 개발
    ■ 척도의 규준 연구
    수집된 원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1차적으로 규준 확보, 1차 규준을 바탕으로 2차적 확인 연구를 실시

    2차년도(적용연구)
    □ 신경심리학
    ■ 스마트폰 기반 검사 개발
    선행 단계에서 개발한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 및 규준이 확보된 설문형 검사를
    스마트미디어어플리케이션에 탑재, 본 연구진 선행연구 개발 경험을 토대로
    평가 척도 및 신경심리검사를 스마트미디어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
    ■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스마트 기기 앱 기반으로 사용량을 측정하고 개인별 사용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
    □ 임상심리학
    ■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 분류
    개발된 평가 도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이 의심되는
    고위험군을 분류, 분류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지능 및 인지능력 평가,
    성격평가, 정서평가 등 심층적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분석
    ■ 중독 고위험군 대상 종합 심리학적 평가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의 심리학적 특성에 대해
    정의 및 다차원적 분류 방법에 대해 제안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스마트 기기 기반 측정 및 평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건강한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미디어 중독 평가 척도를 개발하고 관련한 심리학적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신경심리검사와 설문, 스마트폰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characteristics of smart media addic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of addiction solution. For this, we carried out researches such a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based on behavioral addiction criteria, explored of the factors related addictive psychology, development of application about neuropsychological test, survey, monitoring syste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미디어 중독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스마트 기기 기반 측정 및 평가, 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건강한 디지털 미디어 시대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령에 따라 획일화된 평가 척도에서 한 단계 더 발전시켜 성별, 연령, 직업 등 사회적 상황에 맞는 평가 척도 및 규준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관련한 심리학적 요인들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신경심리검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미디어 사용량과 관련한 모니터링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량 기록 및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심층 심리평가를 실시하여 고위험군 집단의 성격특성에 대해 정의하고자 하였다. 이 후에는 고위험군을 성격특성에 따라 재분류하고 성격특성에 따른 치료적 개입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스마트미디어 중독 척도의 규준 확보,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의 개발, 스마트미디어 중독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설문형 및 신경심리검사의 스마트 어플리케이션 구현, 스마트폰 사용량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구현,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의 분류 및 종합 심리학적 평가 실시 등을 계획하였으며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미디어 중독 척도의 규준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개발된 평가 척도를 웹 기반으로 구현하여 단시간 내 많은 피험자들에게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연령별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규준 확보 및 2차적 연구 실시하였다. 탐색된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의 개발을 위해서는 기존 개발된 검사 시스템을 기반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 측정에 적합한 자극 및 환경을 재구성하였다. 스마트 기기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사용량을 측정하고 개인별 사용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도록 하였으며 공학심리학적 접근(C언어 및 UI 개발) 및 IT 전문가 자문을 통해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설문형 및 신경심리검사의 스마트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선행 단계에서 개발한 웹 기반 신경심리검사 및 규준을 확보한 설문형 검사를 스마트 앱에 탑재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사용량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 구현을 위해서는 스마트 기기 앱 기반으로 사용량을 측정하고 개인별 사용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설문 및 신경심리검사와 함께 활용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 측정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의 분류 및 종합 심리학적 평가를 실시하여 개발된 평가 도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미디어 중독이 의심되는 고위험군을 분류하고 분류된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지능 및 인지능력 평가, 성격평가, 정서평가 등 심층적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의 심리학적 특성에 대해 정의 및 다차원적 분류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 미디어 중독 관련 임상심리학적 변인탐색 연구를 통해서 스마트폰 중독 관련 변인을 탐색하고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완료하였다. 2차례에 걸친 척도의 규준 연구에서는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가 전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며, S척도에 비해 보수적으로 중독 경향군을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미디어 중독 관련 신경심리학적 변인 탐색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을 하위유형으로 세분화하고 실행기능 및 대인관계문제, 공감능력을 탐색하였고, 신경심리검사를 개발하기 위해 변화맹시 및 연속수행과제 검사 개발, 비교맹시과제 검사 개발 등을 진행하였으며 웹 및 스마트폰 기반 스마트 미디어 중독 설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스마트미디어 중독 고위험군 분류 연구에서는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정서 및 성격변인 간의 상관 파악, 스마트미디어 중독의 예측변인 파악 등을 실시하였고, 중독 고위험군 대상 종합 심리학적 평가연구에서는 충동성을 중심으로 스마트미디어 중독 위험군의 심리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스마트폰 기반 검사 개발 연구에서는 읽기 폭 과제와 회귀억제 과제를 사용한 성인 스마트폰 중독군 판별하는 연구와 정서스트룹 및 탐침탐사과제를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군이 주의편향을 가지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기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고 개인별 사용 프로파일을 구성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메시지 피드백 중재 방식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량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결과를 스마트폰 중독 연구 및 진단, 치료를 요구하는 장면에서 사용가능 할 수준으로 연구결과를 보완하여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또한 학문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성과를 가진다. 학문적 영역에서는 심리학의 양대 분야인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의 공동연구를 통해 단일 도메인 연구를 넘어서는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예상되며 사회적 문제에 대한 심리학 이론적 접근과 기술적 접근을 통해 현 시대의 학문적 흐름에 부응하였다고 생각한다. 심리학적 연구 내 IT 기기의 활용 가능성 확인 및 적용 대상에 대한 접근성 확보하였으며 스마트미디어, 중독, 개발에 특화된 전문 인력을 양성하였다. 또한, 연구기간 동안 각종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역량의 개발하였다. 그리고 학술대회 참석 등을 통해 최신 연구 동향 파악 및 연구내용의 발표하여 연구 성과를 널리 알리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사회적 영역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스마트미디어 중독과 관련하여 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사회문제 예방 및 근원적 이해를 위한 기반을 제시하였으며 선별척도의 개발을 통해 학교장면, 가정장면 등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없는 측정 및 평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선별도구 및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을 통해 문제 발생 이전 관리가 가능해 초기 대응에 유리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
  • 색인어
  • 중독심리학, 임상심리학, 신경심리학, 공학심리학, 중독, 행위중독,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스마트 기기, 스마트폰 사용량, 모니터링 시스템, 척도 개발, 신경심리검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