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습장애 Hybrid 진단 모형 탐색 :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개별 능력 프로파일 분석과 중재전략 개발
Hybrid diagnosis Model for Learning Disabilities : Development of Individual Ability Profiles and Interventions based on the Cognitive Diagnostic Modeling Approach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3064945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12월 01일 ~ 2017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동일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고혜정(서울대학교)
김붕년(서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지금까지 제안된 개별적인 학습장애 진단이 가지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의학, 특수교육학, 심리학의 융합접근을 통하여 선제적인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전국 표준화 읽기이해력 검사를 개발하여 기존 검사와 차별화된 읽기이해장애의 진단을 수행하고 학습장애 정의의 전 생애적인 범주적 융합을 꾀하고자 한다. 셋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집단 규준 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학습자 개인능력의 프로파일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확인하여 이들을 위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교육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넷째, 읽기이해 관련 중재의 메타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검증된 읽기장애를 위한 증거기반 중재전략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첫째, 본 연구는 정신의학, 특수교육학, 교육심리의 학문적 융합을 통해 학습장애 정의 및 진단방법을 탐색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그동안 학습장애 정의 및 진단은 학습장애 진단과 관련된 의학, 특수교육학, 심리학의 융합적 접근이 요구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각 학문분야에서 개별적으로 연구되어왔다. 이로 인해 학습장애의 명확한 진단 및 효과적인 중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이 지속적으로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학 등의 학문적 경계를 허물고 학습장애 학생의 명확한 진단 및 중재를 위한 융합적 접근을 시도한 의미 있는 연구 사례가 될 것이다. 둘째, 학습장애의 전형적인 장애인 읽기장애를 hybrid 정의 및 진단으로 중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읽기이해력 검사를 개발할 것이다. 지금까지 읽기이해분야의 표준화 검사의 부재로 인하여 학습장애가 학령기를 중심으로 진단되고 성인기의 학습장애를 진단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검사에서 개발된 표준화된 읽기이해력 검사는 학습장애 진단을 성인기까지 확장하여 범주적 융합이 이루어지는 학습장애 진단방법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만들어지는 읽기이해력 검사는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개별적인 학습자에 대한 능력 프로파일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해 학습자의 장애에만 중점을 두지 않고 강점과 약점을 중심으로 진단하게 되는 새로운 진단방법을 제시하여 현장에서 이들을 지도함에 있어 능력프로파일의 강점과 약점을 활용하여 수요자 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학습장애의 개별적 진단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새로운 hybrid 학습장애 진단방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미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학습장애 출현율, 난독증을 학습장애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움직임, 뇌 기반 연구, DSM-Ⅴ의 개정에서 나타난 교육계의 아이디어를 수용한 의학적인 움직임, 인지진단모형의 중심으로 개인 학습자에 대한 관심증가 등을 통해 새로운 학습장애 정의 및 진단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새로운 학습장애 진단방법은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적 학문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의사, 교사, 교육심리 전문가가 생각하는 학습장애 정의를 concept mapping 방법을 통해 연구하고 기존의 진단방법의 범주적, 차원적 융합을 통한 명확한 읽기장애 진단을 위한 읽기이해 진단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읽기이해 중재방법 메타연구를 통하여 효과성이 있는 읽기이해 중재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1,2차년도의 축적된 연구결과와 개발된 검사도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 및 개발된 읽기영역별 중재전략을 활용하고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접근을 통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구축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묵독유창성을 의미단위 끊어읽기와 빈칸채우기 검사를 통해 측정하고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를 설명하는 변량이 학년수준과 성취수준에 따라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묵독유창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계속적으로 발달하며, 고성취 학생들은 의미단위 끊어읽기가, 저성취 학생은 빈칸채우기와 의미단위 끊어읽기의 묵독유창성이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3,4,5학년에서 읽기이해에 저성취를 보이는 학생들은 읽기이해 향상을 위해 묵독유창성에 관한 중재가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의 적용가능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지원 모형인 한국형 RTI 모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가지며 한국형 RTI 교육지원 모형이 현장 적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둘째, Hybrid 학습장애 진단모형 및 교육지원 모형개발을 위하여 읽기장애 영역별 중재전략 특성 분석 및 읽기학습장애 중재프로그램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 연구된 인지진단모형을 사용한 읽기이해 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인지프로파일 특성 데이터를 바탕으로 3차년도에 인지진단분석을 통하여 중재전략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읽기이해력은 수학문장제 문제풀이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수학문장제 문제에 나오는 어휘와 문항 간 인지요소를 분석하기 위해서 Q행렬 타당화 하였고 숙달확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읽기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의 중재 교육을 위한 맞춤형 교재 제작을 위해 증거기반 전략과 중재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한 이후 이 내용을 확장하여 학생들의 개별화 학습 요구에 맞추어 학습자 중심으로 형성된 BASA와 함께하는 읽기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읽기 나침반 음운인식편, 읽기유창성편, 어휘편, 읽기이해편(김동일, 2017)으로 총 4권의 심층있는 워크북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 및 읽기이해 영역에서 아동의 진전도를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Digital-based에 의거한 Digitalized Learning Management가 기획되었다. 현장 적용성 평가와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인쇄물 기반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이차적으로 실제 형태에 가까운 Microsoft Power Point로 개발되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construct and verify LD (Learning Disabilities) Hybrid Diagnostic Model through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collected data from previous year one and year two with previously developed assessment tools for realistic applications and accessibility in (special) education, psychology, medical field. For this reason, through word chunking reading and maze assessment for silent reading was measured, significant variables of silent reading in high correlations with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and variables that corresponds to grade-level and achievement level competency were explored. Consequently, findings indicate that silent reading skills continuously improve as the grades move up, and word chunking reading skills were prov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silent reading fluency for high achieving students while both maze skills and word chunking appeared to be a strong indicator for low achieving students. Through this research, implications include that low achieving students in grade 3, 4, 5 would benefit from receiving silent reading fluency interventions as a means of improving their overall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y. Furthermore,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the Hybrid diagnostic model, the Korean RTI was reviewed for its structure. First, experts from various educational fields were involved in professional contributions and discussions for better field-based practice relevance. Second, amid Hybrid model, intervention programs in each scope of reading disabilities were analyzed for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In the third year, cognitive diagnostic analysis was used for interventional strategy modules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based on diagnostic profile analysis data on at-risk children. In addition, for the reason that reading comprehension directly affects math word problem solving skills innately due to comprehension requirement in the text,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ppearing in math word problems and cognitive factors in those math problems were analyzed through Q-matrix validation method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mastery probability. In an attempt to contribute to field-based practice for more specifically designed, modified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s for LD students, student-centered reading program books- BASA Reading Compass series in phonological awareness, fluency, vocabulary acquisition, comprehension (Kim, 2017) were published. Lastly, Digital-based Digitalized Learning Management online program was also developed in order to effectively measure and monitor students’ progress on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programs; Printable version via Microsoft Power Point was developed for the best practical and field-based applic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안된 개별적인 학습장애 진단이 가지는 문제점을 보완한 의학, 특수교육학, 심리학 등의 융합접근을 통한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모형을 및 교육지원 모형을 개발하고자 첫째, 기존 검사와 차별화된 읽기이해장애의 진단을 수행하고자 표준화 읽기이해력 및 어휘검사를 개발하였다. 읽기이해검사 타당화 연구 결과 읽기이해를 위한 7가지 인지요소는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평가적 이해로 확정 되었다. 또한 읽기이해를 위한 어휘검사 타당화 연구를 통해 기초학습 수행평가체제 어휘검사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교육과정에 기반한 어휘검사 42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집단 규준 정보에 기초한 학습자 개인능력 프로파일을 제시하여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세부 결과로서 읽기이해 학습장애 위험아동의 인지 프로파일 및 특성 연구를 통하여 읽기이해 학습장애 위험 아동을 다섯 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셋째, 읽기이해 관련 중재의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검증된 읽기장애를 위한 증거기반 중재전략을 개발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메타분석을 통하여 검증된 증거기반 중재전략을 제공하고자 Hybrid 진단모형에 의한 읽기장애 선별 한국형 RTI적용하였다. 그 결과 읽기학습장애 선별을 위한 한국형 RTI 적용 효과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결과와 1차년도에 실시된 효과성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수법을 제공하는 워크숍을 주최하여 교사가 효과적인 교수법 및 진단 모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연수를 실시하였다. 넷째, 중재전략 및 프로그램 워크북 개발하였다. 학생들의 개별화 학습 요구에 맞추어 학습자 중심으로 형성된 BASA와 함께하는 읽기능력 증진 개별화 프로그램 음운인식편, 읽기 유창성편, 어휘편, 읽기 이해편(김동일, 2017)으로 총 4권의 심층 있는 워크북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특수)교육학, 심리학, 의학의 융합접근을 하는 Hybrid 학습장애 진단 모델을 사용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장애를 진단한다. 이는 학습장애를 가진 아동을 정확하게 선별하여 학습장애로 잘못 진단되었거나 혹은 학습장애로 진단되어야 할 학생이 올바르게 진단되지 않는 경우를 예방하고 그들이 필요한 교육서비스를 시기적절하게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연구된 음운인식, 어휘,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영역별 중재 방법을 현장에 적용하도록 하여 아동의 추가적인 학습의 어려움 및 정서행동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최대한 빠른 시점에서 효과적인 교육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Digitalized Learning Management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용이하게 학생들의 진전도를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동의 학습특성을 분석하고 중재의 효
  • 색인어
  • 학습장애, hybrid 진단모형, 읽기이해장애, 인지진단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