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고령지역 노인의 Aging in Place를 위한 지역사회 생활환경 연구: 농촌과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Study on Community Living Conditions in Aged Region for Aging in Place: Focusing on Rural Area & Small C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306520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12월 01일 ~ 2017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영범
연구수행기관 한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승희(울산대학교)
임연옥(한림대학교)
이승훈(숙명여자대학교)
윤혜경(연세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AIP(Aging In Place)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건강악화, 사별 등의 이유로 일상생활에 대한 지원이 더 필요한 상태가 되어서도 거주하던 집에 계속 머물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AIP는 노인이 건강악화나 생활환경의 변화 때문에 거주지를 요양원와 같은 시설로 옮겨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이슈가 되기 시작하였다. 즉 자신의 집에 머물면서 삶을 이어가고 마무리하고 싶다는 노인의 욕구와 가족이 더 이상 노인을 돌볼 수 없는 상황이 겹치면서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었다. 노인이 어떠한 상황에 처하더라도 자신이 살던 집에서 살아온 방식대로 계속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노인의 삶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노인과 관련된 모든 정책들은 AIP가 가능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노년기에 자신이 살던 주택과 지역사회에서 계속 삶을 이어가는 AIP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 개인의 삶의 질에는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신이 익숙한 환경에서 노년기 삶을 보내는 것은 노인의 심리적, 정신적 측면에 매우 긍정적인데 노인의 주택과 거주지역은 일상적 활동이 지속되는 물리적 공간일 뿐 아니라 다양한 상호작용과 경험을 통해 친밀성을 형성하는 정서적 대상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도 이웃,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이 지속되고, 지역사회에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시설화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건강보호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 효과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총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2.2%이며, 2017년에는 14%를 넘어서서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실제 농림업 종사자의 인구 고령화율은 37.3%로 이미 초고령사회에 들어선 상태이다.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 대부분은 자신의 주택과 지역사회에 대한 강한 애착심을 지니고, 자신이 살던 거주 지역에서 삶을 지속하기를 원하여 Aging in Place에 대한 욕구가 크다. 하지만,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의 절반 이상은 ‘독거’와 ‘빈곤’의 상황에 놓여있으며, 지역사회 생활환경은 매우 열악하여, ‘주거환경’과 ‘공공 및 민간서비스에의 접근성’, ‘지역 안전’ 등의 문제가 심각하여 노인의 삶은 더욱 황폐화되어가고 있으며, 농촌의 공동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신이 살아 온 거주지에서 계속 삶을 이어가고 마무리할 수 있는 AIP에 대한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AIP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첫째, 농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삶과 지역사회 생활환경은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삶과 지역사회 생활환경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AIP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영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
    셋째, 만성질환 등으로 AIP가 어려운 위험군 노인을 대상으로 AIP의 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생활환경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학문적으로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는 AIP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AIP를 위한 농촌 및 중소도시의 지역사회 생활환경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주거 환경의 물리적 공간 개선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을 넘어서서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노인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노화의 진행에 따른 환경과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고려한 AIP 지역사회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은 AIP 연구와 실천 및 정책에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농촌 노인과 생활환경을 입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새로운 연구방법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한다. 노화 진행에 따른 노인 개인과 환경의 변화가 AIP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기 위한 패널설문조사, AIP에 대한 노인의 생활경험에 대한 심층면접, AIP와 관련된 행정․복지기관 및 지역사회 의료․여가․편의시설 운영자 및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인터뷰, 해외사례 및 해외정책 비교연구 등의 다양한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결과들을 종합함으로써 최적의 AIP 생활환경 개선 모형을 제안한다.
    셋째, 본 연구에 참여하는 차 세대 연구자들인 젊은 연구 인력들이 패널설문조사, 심층면접, 국내외 사례연구 등의 연구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농촌 노인의 삶과 농촌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며, 차세대 사회과학자로써의 연구역량을 향상시킨다. 이와 함께 국제학술대회에서 구술발표와 학술지 논문 게재를 독려함과 동시에 ADB 해외연수를 통해 해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해외 연구자와의 공동 연구의 기회를 갖도록 함으로써 세계적인 연구역량을 지닌 연구자로 성장시킨다.
    넷째, 본 연구진의 연구경험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 환경학’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노인복지학, 심리학, 행정학, 건축학, 실내디자인학, 보건학 등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특강 및 세미나를 실시하여 노인과 환경에 대한 통합된 이론과 지식을 교육시키고, 이에 대한 시각을 갖출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과 중소도시 노인의 AIP 생활환경을 진단하고, 이 지역 노인 AIP 특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후 AIP를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① AIP의 특성, ② 개인적 차원 AIP 영향요인, ③ 환경적 차원 AIP 영향요인을 주요 개념으로 하고, ④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IP 특성을 자아충족감, 기능적 독립성, 지원 가능성의 세 가지로 구체화하였다. AIP 영향요인 중 개인 요인은 사회∙경제적 특성, 거주 관련 자기정체성, 지역사회 서비스 정보 습득능력을 의미한다. 환경 요인은 주택 환경과 의료․복지․행정․여가․편의 시설과 교통편의 등의 물리환경과 사회적 관계, 사회 참여, 그리고 사회 지원 서비스 및 정책 등의 사회환경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의 연구목표와 연구모형을 바탕으로 실행할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농촌 및 중소도시 노인의 AIP 생활환경 진단: 노인의 AIP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농촌, 중소도시 노인의 개인 특성과 물리 환경 및 사회 환경을 노인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양적, 질적 방법을 동원하여 다면적으로 진단한다.
    ②AIP 위험집단 지원 모델 개발: 신체능력의 약화나 지역의 특성 등으로 인해 거주지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AIP 위험집단의 AIP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위험집단의 AIP 질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③AIP 생활환경의 변화 추적: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경험하는 노화현상으로 인해 AIP 특성과 AIP를 위한 생활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 관찰한다.
    ④해외 AIP 지원 서비스 및 정책 사례 연구: 사회서비스 영역, 일상생활 환경 영역, 주택을 포함한 물리적 환경 영역 별로 해외에서 진행되는 AIP 자료를 수집하고 우리 사회의 적합성을 평가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AIP를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한 3년간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1차 년도:노인 AIP 생활환경 조사
    농촌 및 중시도시의 성격을 공유하는 강원도 춘천과 비교집단으로 대도시를 대표하는 서울의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표본 수는 춘천 농촌지역 500명, 춘천 도시지역 500명, 서울 500명 총 1,500명이다. 조사 내용은 AIP의 질을 파악하고 그 영향 요인을 분석할 수 있도록 AIP특성,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에 대한 설문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② 2차 년도: 노인이 느끼는 의미와 경험-심층인터뷰
    ○ 농촌 및 중소도시 노인의 AIP 생활경험에 대한 개별 심층면접: 강원도 농촌과 중소도시에 사는 노인들이 현 거주지에 머물러 살고 있는 의미와 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다. 심층면접은 설문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 중 서울, 농촌·중소도시의 각 20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며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 AIP 장애요인과 대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초점 집단 면접: 노인들이 AIP를 함에 있어서 장애요인과 극복 대안을 찾아내기 위해 서울, 농촌, 중소도시 별로 각 15명 내외의 AIP관련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한다.
    ③ 3차년도: AIP 위험집단 조사
    ○ AIP 생활환경 변화 및 위험집단 조사: 1차년도 조사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AIP 생활환경 변화 조사 및 위험집단 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대상은 일상생활능력 약화 노인으로 서울, 춘천 도시, 춘천 농촌 지역 각 지역 별로 비위험 대조군 150명, 위험군 150명 등 900명이다. 조사내용은 1차 년도 설문조사 문항과 더불어 건강상태 및 의료서비스, 일상생활서비스 이용도, 만족도,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 등 이다.
    ○ 해외 AIP 지역사회 모델 및 정책 사례 연구: AIP의 특성, 개인·환경 요인으로 분석 단위를 나누어 개별 외국의 지역사회 모델이나, AIP 증진을 위한 서비스 혁신, 이를 지원하는 정책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농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신이 살아 온 거주지에서 계속 삶을 이어가고 마무리할 수 있는 AIP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AIP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춘천 및 서울 영등포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1년차 대규모 설문조사, 2년차 심층인터뷰, 3년차 1차조사자에 대한 반복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조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이 거주하는 공간을 좋아하여 지내는 노인도 많지만 이사에 필요한 자원이 없어 원하지 않지만 거주하는 노인도 다수 발견하였다. 둘째, 정신건강 측면에서는 중소도시 노인이 다른 지역 노인에 비해 열악한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지역 거주 노인 중 일부는 가족이나 친구, 이웃 등 비공식적 지원망이 거의 없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넷째, AIP 만족도는 거주기간, 주택소유 형태, 지역사회만족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공식 지원망의 경우 친구∙이웃으로부터의 도움은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지원망이 적을수록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공식지원망 분석 결과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노인과 도움을 받기 어려운 노인이 분리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심층인터뷰 및 주택실측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중 원치 않지만 지역에서 지내는 노인도 다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둘째, 거주지에 대한 만족은 농촌지역의 경우 물리적 편리함보다는 지역 공동체에 대한 긍정적 인식 때문으로 나타나는 반면, 도시지역의 경우 물리적 편리함 때문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에 대한 만족도는 주변 환경에 대해 익숙하기 때문에 환경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에 기인한다. 넷째,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현관, 방, 화장실 등 모든 영역에서 휠체어 등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비를 쉽게 활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년기의 신체 특징을 반영하지 않는 주거환경은 노인들의 Aging in Place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AIP which means continuing life in the residence where they live, and to propose a plan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community to enable AIP.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lderly residents of Chuncheon and Yeongdeungpo, Seoul. In the first year, we did the large scale survey, in the second year we did in- depth interview, and in the third year we iterated the first survey on the sample for 1st survey. The main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elderly people who like to live in their own residence. However some elderly had no choice but to live in their own residence. Second, in the mental health aspect, the elderly in small and medium cities were found to be inferior to the elderly in other areas. Third, some of the elderly residents had few informal support networks such as family, friends and neighbors. Fourth, AIP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residence period, type of house ownership, and community satisfaction. Fifth, in the case of informal support network, the more elderly has family resources, the more resources from friends and neighbors they has.
    The main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hom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some elderly people who do not want to live in house they live in. Second,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ce is due to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the physical convenience in the rural area. Third, satisfaction with the area of elderly is caused by the perception that the environment can be controlled by themselves. Fourth, the elderly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could not easily use the equipment such as wheelchairs in all areas such as the entrance hall, the room, and the restroom. Fifth, the housing environment which does not reflec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 age is a factor that hinders aging in place of elderly peop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농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자신이 살아 온 거주지에서 계속 삶을 이어가고 마무리할 수 있는 AIP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AIP가 가능하도록 지역사회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AIP 생활환경 진단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AIP 영향요인(개인요인, 사회환경 요인, 물리적 환경 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AIP 영향요인과 AIP 특성(삶의 질, 삶의 만족도, 주거관련 자아 정체성)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과 중소도시의 특성을 공유하고 있는 춘천 지역과 비교 대상인 서울 지역의 거주 노인 총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은 춘천지역 동지역 500명, 읍면지역 500명, 서울 영등포 5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은 인구∙사회적 특징, 건강, AIP 지속성 및 주거관련 정체성, 주택 및 주거환경 특성, 비공식 사회지원망 등의 내용을 파악하는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2년차 연구는 1년차 조사 응답자 중 일부를 대상으로 ①심층인터뷰를 실시하며, ②주택편리성 평가 및 거주환경 실측하고, 이어 ③1년차 조사응답자에 대한 반복조사를 위한 준비와 ④AIP관련 지역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인터뷰로 구성되었다. 심층인터뷰는 춘천(동 지역) 노인 20명(남 9, 여 11), (읍/면지역) 노인 20명(남 9, 여 11), 서울(영등포구) 노인 20명(남 10, 여 10)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인터뷰의 주요 내용은 일반생활에 대한 질문, AIP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AIP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노인의 Aging in Place 장애요인 분석 등으로 구성되었다. 주택실측은 춘천지역 동 및 읍면지역 각각 20가구, 서울 영등포 18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택실측은 주택 구조에 대한 실측과 더불어 거주민의 주택 개조 의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IP 전문가 초점집단 인터뷰는 대상자를 섭외의 어려움으로 인해 본 연구진이 개최한 AIP 조사 결과 발표 및 AIP 지속을 위한 지원 정책 토론회 참여 전문가의 토론으로 대체하여 진행하였다. 이 발표회에는 지역 내 복지, 주거 전문가가 참여하여 발표 내용에 대한 토론과 함께 지역 AIP를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3차년 연구는 1차 조사 응답자에 대한 반복조사와 연구성과 국제화 및 해외 사례 벤치마킹으로 구성되었다. 1차 조사 응답자에 대한 반복조사는 응답 가능한 사례를 확인 한 바 290명으로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반복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별 성, 인구 비율에 맞게 표본을 710명 추가하여 총 1,000명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대체로 1차년도와 유사하나 건강관련질문, 비공식 사회지원망에 대한 척도를 추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해외 사례 벤치마킹을 위해 프랑스 국립인구문제연구소를 연구진이 방문하여 프랑스의 고령사회 정책 및 AIP관련 정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진 중 일부는 IAGG 2017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에 참여하여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Aging in Place에 대한 노인의 욕구와 지속가능성 및 AIP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건강, 경제상태, 심리상태, 혼인상태), 물리적 환경 요인(주택환경 및 지역사회 환경)과 사회 환경 요인(이웃관계, 사회활동, 서비스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패널 자료와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된 질적 자료 및 노인 주택 실측 자료 등 다양한 유형의 자료를 구축하였다. 노인 주거와 관련된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물리적 환경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다양한 유형의 자료들은 ‘노인과 주거’라는 주제에 대해 노인 개인의 심리사회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차원에서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노인의 Aging In Place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 Aging in place와 정신건강을 포함한 삶의 질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존 연구 외에 추가적으로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둘째, 인구 고령화가 본격화됨에 따라 후기 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취약하고 불량한 주거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지금 살고 있는 익숙한 집에서 살기를 고수하는 농촌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진은 향후 후기 고령자의 존엄한 삶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할 계획으로 본 조사의 응답자 중 후기 고령자를 선별하여 후기 고령자의 존엄한 삶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셋째, 심층인터뷰 및 양적 조사를 활용하여 중소도시 지역 및 농촌지역 거주 노인의 Aging in Place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이를 지속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단행본을 발간할 계획이다.
    넷째, 본 연구팀의 연구경험과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 환경학’ 교과과정을 개발할 수 있으며, 노인복지학, 심리학, 행정학, 건축학, 실내디자인학, 보건학 등을 전공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특강 및 세미나를 실시하여 노인과 환경에 대한 통합된 이론과 지식을 교육시키고, 이에 대한 시각을 갖추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향후 지역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 사회 노인을 위한 복지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시 연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현실에 맞는 정책이 개발될 수 있도록 협력한다.
  • 색인어
  • 고령자, 농촌, 중소도시, 지역사회거주, 비공식적 지원망, 삶의 질, 주거 만족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