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self-leadership program and the connection model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self-leadership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y life based on life cycl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3065538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12월 01일 ~ 2016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고영미
연구수행기관 순천향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는 누구나 자신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바라고 꿈꾼다. 이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본능이자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이기 때문이다. 행복에 대한 관심은 교육 분야에도 반영되어 어떻게 하면 행복한 교실, 행복한 학교를 만들어 갈 것인가 대한 논의와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교육분야에서는 아동중심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행복한 삶을 위한 교사의 노력은 강조된 반면, 유아교사로서의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었다. 그러나 유아들이 행복한 교실에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기를 원한다면 유아교사가 당연히 행복해야 하며, 유아의 행복에 유아교사의 정서와 자질이 깊은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 유아교사는 초․중등교사와 비교할 때 낮은 사회적 인식,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교사로서의 삶을 살아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된다고 본다. 행복한 사람이 지닌 특성으로는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자발성, 자신에 대한 사랑, 긍정적 사고, 타인과 원만한 관계 형성이 공통적으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근거로 할 때,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효율적 방안 중 하나로 행복한 사람이 지닌 특성과 유사한 전략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리더십 함양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는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 각각을 대상으로 행복 또는 셀프리더십 관련변인을 각각 분절적으로 살펴본 연구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사의 생애주기별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반영하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 예비, 현직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의 하위 요소 간 관련성, 셀프리더십과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변인,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행복감 간 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기초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질적, 양적방법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질적, 양적 효과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연계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 효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개발 및 행복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적 공통 변인을 밝힘으로써 양성 및 현직교육 연구 분야에서 교사의 내․외적 요인을 고려하여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셀프리더십 강좌 또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유아교사의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의 내용이나 전략을 토대로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의 특성에 적합한 셀프리더십 함양 전략이나 내용을 보다 폭넓게 연구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예비 및 현직교사에게 적용함으로써 최근 우리사회의 화두인 교사, 유아, 학부모가 행복한 유치원을 만들어가는 실천 연구를 활성화 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 양성․현직 연계 셀프리더십 모형은 초중등 분야에서 양성과 현직을 연계한 셀프리더십 모형 개발 연구를 촉진하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인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차별 연구 추진 전략 및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년도에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한다. 공통변인 분석을 위해 예비유아교사 800명과 현직유아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셀프리더십, 삶의 행복척도 및 내․외적 요인 검사를 실시한다. 경로분석을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 800명과 현직유아교사 600명을 대상으로 2015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검사를 실시한다.
    둘째, 2차 년도에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문헌 분석 및 요구조사를 통한 이론적, 실제적 준거 도출, 1차 년도 결과와 준거를 반영한 시안 구성 및 적합성 검증, 최종 프로그램 개발의 절차로 이루어진다. 요구조사는 2017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예비 800명과 현직 300명을 대상으로 한 질문지 조사와 예비 40명과 현직 30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으로 이루어진다. 적합성 검증은 2017년 9월 1일부터 12월 12일까지 본 연구자들이 담당할 셀프리더십 강좌 또는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진다. 문제점을 분석하여 시안을 수정, 보완한 후, 최종 모형을 제시한다.
    셋째, 3차 년도에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및 연계모형을 개발한다. 효과검증을 위해 질적 연구 참여자 10명과 양적 연구대상 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3째 주부터 6월 2째 주까지 2차 년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한다. 질적자료는 참여과정에서 나타난 긍정적 경험을 토대로 연계 모형에 반영할 내용을 추출하고, 양적자료는 사전·사후 집단 간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다. 연계모형은 2018년 9월 3째 주부터 4째 주에 전문가 포커스 인터뷰 및 예비교사 대상 심층면접 결과와 셀프리더십 효과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연계모형 시안을 구성한다. 구성한 시안에 대해 유아교육전공교수 6명과 현직유아교사 6명 및 예비유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중 총 2회의 전문가 자문 및 심층면접을 실시한다. 자문 및 심층면접 내용을 반영하여 연계모형 최종안을 개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차년도에는 유아교사의 행복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을 탐색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기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을 개발하였다. 각 년도에 수행한 연구 내용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연구진 간의 협의를 통해 각 대상에 적합한 문항을 선정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 916명(예비 586명, 현직 330명)의 행복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내적, 외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1차년도 최종 분석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학년(저학년, 고학년)이, 현직유아교사는 경력(저경력, 중경력, 고경력)이 행복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으로 나타나 이를
    2차년도 연구에 반영하기로 하였다.
    2차년도에는 관련문헌 분석을 토대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론적 준거와 1차년도 결과를 반영하여 요구조사 문항을 개발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 1,130명(예비 873명, 현직 257명)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유아교사는 저/고학년으로, 현직 유아교사의 경우 저/중/고경력으로 구분하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 시안을 제시하였다. 구성된 시안의 적합성 검증은 유아교육 전문가(교수, 교사, 원장)의 자문과 프로그램 현장적용(대학의 정규강좌/원내 동료장학)의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개선사항 및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개선사항 및 보완점을 반영하여 시안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최종안 및 연계모형을 구성중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lf-leadership program by life stage and a linking model,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eacher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y life. For this purpose, in Year 1 (December 2014 - November 2015), basic research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and in Year 2 (December 2015 - November 2016), based on the results of the basic research in Year 1, a self-leadership program in life stages and a linking model were develope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y life.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performed in each year are as follows: In Year 1, through the consultation between researchers, appropriate questions were selected for individual subjec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As the subjects of the final analysis, 916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elected (586 pre-service teachers and 330 in-service teachers),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ed their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were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draw high-quality effects on the collected data, a seminar with the analysis method were conducted two times with inside researchers, and through this, this study drew the main implications, internally. The result of the final analysis and the main matters of discussions in the research team in Year 1 were reflected in the plan for conducting research in Year 2. In Year 2, theoretical standards were drawn, based on an analysis of literature of specific component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n, after developing questions of the survey of the demand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composed based on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nd practical standards were drawn,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1,130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final analysis (873 pre-service teachers and 257 in-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o the lower grades and the upper grades by grade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o low/medium/high career by teaching career were discussed as the main issues, which was reflected in the draft proposal. The subjects of the program classified based on theoretical and practical standards were, overall, reflected in the perspective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operating methods of each self-leadership program, an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for the developed draft proposal,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field,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was tested. In addition, by conducting a test of field suitability with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drew enhancements and complementary points for the actual applicatio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ts’ verification and on-site suitability verif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 draft proposal, this study finally tested the suitability of the program draft proposal developed through Years 1 and 2 with the members of the joint research team. As a result, it wa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supplement it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draft proposal, and the final draft of the program and the linking model were proposed based on thi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drawing and spread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self-leadership program by life stage and the linking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y lif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차년도(2014.12~2015.11)에는 유아교사의 행복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내·외적 요인 탐색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2차년도(2015.12~2016.11)에는 1차년도의 기초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및 연계모형을 개발하였다. 각 년도에 수행한 연구 내용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에는 연구진 간의 협의를 통해 각 대상에 적합한 문항을 선정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 916명(예비 586명, 현직 330명)의 행복과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주는 내적, 외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에 대한 양질의 효과 도출을 위해 분석 방법 세미나를 2회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내부적으로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1차년도 최종 분석 결과와 연구진 내 주요 논의 사항은 2차년도의 연구 수행 계획에 반영되었다.
    2차년도에는 관련문헌 분석을 토대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론적 준거와 1차년도 결과를 반영하여 요구조사 문항을 개발한 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 1,130명(예비 873명, 현직 257명)의 요구 사항을 분석하여 실제적 준거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경우 저/고학년으로, 현직 유아교사의 경우 저/중/고경력으로 구분하는 것이 주요 시사점으로 논의되었고 이를 시안에 반영하였다. 구성된 시안의 적합성 검증은 유아교육 전문가(교수, 교사, 원장)의 자문과 프로그램 현장적용(대학의 정규강좌/원내 동료장학)의 2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개선사항 및 보완점을 도출하였다. 개선사항 및 보완점을 반영하여 시안을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최종안 및 연계모형을 구성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최근 우리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행복한 교실 공동체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같은 시점에서 본 연구는 행복한 교실 공동체를 만들어 가기 위한 논의와 실천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 같은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 활용 계획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행복한 삶을 위한 셀프리더십 증진을 위한 노력과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관련 학회 및 학술지를 통해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깊이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유아교사의 생애주기별 셀프리더십의 내용이나 전략을 토대로 예비 및 현직 유아교사의 특성에 적합한 셀프리더십 함양 전략이나 내용을 보다 폭넓게 연구하는 기반이 형성될 것이다.
    둘째, 개발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과 연계모형을 기반으로 적용된 실제 사례를 제시하여 현장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세미나 및 워크샵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유아교사의 행복증진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예비 및 현직교사에게 적용함으로써 최근 우리사회의 화두인 교사, 유아, 학부모가 행복한 유치원을 만들어가는 실천을 활성화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관심 있는 교사를 중심으로 교사 소모임이나 학습공동체 모임을 구성하여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실행하는데 활용할 것이다. 이를 통해 교사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전문성을 높여가는 학습공동체나 교사소모임 등이 활성화됨으로써 교사의 전문성이 높아질 뿐 아니라 교육의 질을 향상해 가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우리대학 1학년 전공교양 강좌인 「셀프 리더십」강좌에서 활용할 예정이다. 우리대학은 2년 전부터 대학신입생의 자기 주도성 함양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전공교양인 「셀프 리더십」강좌 개설 및 전공교수의 강의 담담 체제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책임자가 교수학습혁신센터장으로서 주관하여 책자를 개발하고 배포하였는데 수정, 보완에 대한 요구가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배포하여 학과 상황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활용하도록 안내한다면 전공특성에 적합한 다양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개발될 뿐만 아니라 우리 대학 학생 전체의 셀프리더십 함양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유아교사, 행복, 셀프리더십,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셀프리더십 연계모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