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세사) 고려시대 문화와 사상의 다양성
고려후기 송대 선적의 수용과 공안 주석서의 찬술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A2A01062967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2 년 (2014년 11월 01일 ~ 2016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조명제
연구수행기관 신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고려후기에 송대 선적이 어떻게 수용되며, 그것이 공안선의 수용, 이해와 관련하여 공안 주석서의 찬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종래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송대의 운문종, 조동종의 선적을 중심으로 송대 선의 흐름이 고려 선종계에 어떻게 수용, 확산되는가를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선문염송설화』의 인용 문헌 분석과 공안 비평의 이해 수준을 검토하기 위해 송대의『조정사원』,『종용록』,『벽암록』 등 주요 선적과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나아가 수선사와 가지산문에서 공안선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규명하여 고려후기 선종사의 구조를 명확하게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에서 다루는 주제와 자료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대부분 소외되거나 수행된 적이 없는 것이다. 선적 자료에 새로운 문헌학적, 사상사적 연구는 고려후기 사상사의 영역을 확대하고 고려시기의 사상과 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선적 자료를 통한 선종사 연구는 종래 일국사적 이해를 탈피하여 고려사상사를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라는 범주에서 접근함으로써 고려 문화와 사상의 위상을 새롭게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선적의 매체 기능에 대한 이해를 통해 특정 인물에 대한 이해만이 아니라 사상계 전체의 동향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서 사상사와 인문학 연구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에서는『선문염송설화』에 인용된 중국 문헌을 외전과 내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문헌적 성격과 특징이 무엇인가를 규명한다. 이어 송대 운문종의 『조정사원』이 『선문염송설화』에 미친 영향이 어떠하며, 차이점은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분석한다. 이어 각운 주석의 독자적인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각운의 공안 비평과 이해는 임제종, 조동종의 공안 비평을 대표하는 『碧巖錄』, 『從容錄』에서 인용한 내용과 그것에 대한 각운의 견해를 통해 검토한다. 또한 각운의 공안선에 대한 이해 문제를 『선문염송집』, 『선문삼가염송집』 등과 비교하여 수선사에서 공안선에 대한 이해 방향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검토한다. 나아가 가지산문에서 찬술된 공안 주석서를 통해 공안선이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수선사와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