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속에서 여성의(에 관한) 의미는 재현(representation)을 통해 구축된다. 여성의 재현은 주로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여성을 재현하는 대사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반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개별 영화 속에서 새롭게 구축되기도 한다(Cowie ...
영화 속에서 여성의(에 관한) 의미는 재현(representation)을 통해 구축된다. 여성의 재현은 주로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여성을 재현하는 대사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반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개별 영화 속에서 새롭게 구축되기도 한다(Cowie 1997). 예컨대 시네 페미니즘 (cine-feminism)에서는 신여성의 정체성, 목소리, 이미지 등을 전복적인 방식으로 구현하기 위해 여성 주인공의 대사를 조직적으로 구성하기도 한다(유지나 1993: 162-174). 이러한 경우 여성인물의 언어는 그녀의 페르소나를 결정하고 나아가 텍스트 밖의 여성, 즉 재현의 지시대상에 대한 관람객의 수용(reception)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Bignell 2002). 영화 속의 언어가 여성의 재현과 그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면, 언어사용의 실천인 번역, 즉 더빙과 자막의 영향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영상번역의 경우 시공간의 부족이라는 기술적 제약이 뒤따르고(Perez-Gonzalez 2009: 14) 문어적 특징이 강조되기 때문에(Gambier and Suomela-Salme 1994, Kovacic 1995:107, Assis Rosa 2001: 215) 등장인물의 자막 또는 더빙 대사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영화 제작사의 일차적 목표가 수익창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등장인물의 언어는 ‘오락성’, ‘이해의 용이성’, ‘자연스러움’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번역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영상번역의 맥락에서 여성인물의 재현은 의도했건 그렇지 않았건 간에 원작의 그것과는 다른 양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여성의 주체성, 목소리, 이미지 등은 도착 문화권의 관람객들에게 왜곡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젠더학계와 번역학계는 영상번역의 맥락에서 여성 재현의 변화를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 이는 젠더가 주로 사회과학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영상번역의 경우 그 본연적 특징으로 인해 주로 실무차원에서만 다루어져 왔기 때문이다(de Marco 2012: 18). 본 연구는 여성의 재현이 영상번역 속에서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고 그 잠재적 영향과 원인을 탐구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1. 본 연구는 젠더이론 및 번역실천과 관련하여 국내 최초로 이루어진 영상 번역학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영상번역 실무와 젠더이론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학제간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 2. 본 연구의 결과와 분석방법은 다른 ...
1. 본 연구는 젠더이론 및 번역실천과 관련하여 국내 최초로 이루어진 영상 번역학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영상번역 실무와 젠더이론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학제간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 2. 본 연구의 결과와 분석방법은 다른 분야(예: 광고)의 번역에서 여성의 재현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본 연구의 사례분석은 영상번역 실무자들에게 ‘번역관행’과 ‘번역윤리’에 대한 새로운 문제인식을 제시할 수 있다. 4. 최근 영상번역교육과 관련된 가장 큰 문제는 관련 교수모듈이 부족하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영상번역 교수모듈을 위한 유용한 콘텐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Sex and the City 2에 나타난 여성의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변모했는지를 분석하고, 그 원인과 영향을 젠더의 관점에서 추정, 논의하는 것이다. 여성의 재현을 비교하기 위한 텍스트 분석, 즉 원문과 번역문의 비교는 다음과 같이 최소 다섯 가지 ...
본 연구의 목적은 Sex and the City 2에 나타난 여성의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변모했는지를 분석하고, 그 원인과 영향을 젠더의 관점에서 추정, 논의하는 것이다. 여성의 재현을 비교하기 위한 텍스트 분석, 즉 원문과 번역문의 비교는 다음과 같이 최소 다섯 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1) 여성을 지칭하는 비속어: 여주인공 Samantha가 자신을 “bitch”(발정난 암캐)로 부르는 대목에서 여성의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축소되었는지를 논한다. (2) 여성에 의한 남성의 성적 대상화(sexual objectification): 수영장에서 드러난 남성(페니스)의 파편화된 모습, 그리고 Samantha가 남성의 육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논한다. 전통적으로 영화 속에 구축되는 여성의 이미지를 논의한 후, Sex and the City 2가 어떻게 여성의 재현을 전복시키고 있는지 살펴본다. 남성이 성적 대상화되는 부분을 번역이 충실하게 표현하고 있는지 탐구한다. (3) 여성의, 여성에 의한, 여성을 위한 노래: 영화 속의 노래(주인공 네 명이 2분 이상 부르는 노래)가 여성의 자유와 독립 의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영화의 주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논의한다. 본 분석대상에서는 자막이 통째로 누락되어 있다. (4) 여성에 대한 억압: 남성중심의 사회 속에서 교묘하게 억압받는 현대서구여성의 상황을 자막이 어떻게 축소시키고 있는지 분석한다. (5) 동성애 담론 속의 여성: 동성애자의(에 관한) 담론 속에 포함된 여성의 재현이 어떻게 유머의 프레임으로 변질될 수 있는지 그 사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자는 Toury(1995)가 제시한 “기술번역학적 접근법”(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pproach)을 활용할 것이다. 기술번역학적 접근법은 다음과 같이 3단계로 요약될 수 있다. (1) Sex and the City 2의 영어 원문과 한국어 번역문을 비교한다. (2) 의미의 변화가 생긴 부분을 찾아 기술한다. (3) 의미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가설(explanatory hypotheses)을 제시한다.
기술번역학에서는 현존하는 번역물을 대상으로 “∼처럼 번역되었어야 했다”는 식의 규정적(prescriptive) 대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기술번역학자들은 실제 번역 사례를 분석하고 그 배경과 원인을 고민해 보며, 동종 번역물에도 유사한 사례가 누적되어 발생하고 있는지 탐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번역 일반론을 수립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여성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간략하게나마 가설의 형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여성 재현의 번역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여성의 문제들이 뚜렷하게 드러난 영화 한 편 ...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여성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간략하게나마 가설의 형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여성 재현의 번역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여성의 문제들이 뚜렷하게 드러난 영화 한 편(섹스 앤 더 시티 2)을 선정하여 여성주의가 자막에 의해 어떻게 변이되었는지를 기드온 투리(Gideon Toury)의 기술번역학적 관점에 따라 분석한다.
영문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movie is often constructed by characters’ language use. This implies that in a subtitled or dubbed movie, translation may affect how women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the film.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how subtitl ...
Women’s representation in the movie is often constructed by characters’ language use. This implies that in a subtitled or dubbed movie, translation may affect how women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the film.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how subtitling may change women’s representation, and to provide explanatory hypotheses for the shifts in women’s represent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s Sex and the City 2 (a 2010 American film addressing the 21st New Woman’s perspectives) in a Korean subtitled version, using Gideon Toury’s descriptive method. Findings show that feminist views encoded implicitly in the original film are less apparent or unobservable in the Korean subtitl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영화 속에서 여성의, 여성에 관한, 의미는 재현(representation)을 통해 구축된다. 여성의 재현은 주로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여성을 재현하는 대사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반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개별 영화 속에서 특별한 의도와 목적에 따 ...
영화 속에서 여성의, 여성에 관한, 의미는 재현(representation)을 통해 구축된다. 여성의 재현은 주로 등장인물의 대사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여성을 재현하는 대사들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통념의 반영일 수도 있지만 때로는 개별 영화 속에서 특별한 의도와 목적에 따라 구축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여성인물의 언어는 그녀의 페르소나를 결정하고 나아가 텍스트 밖의 여성, 즉 재현의 지시대상에 대한 관람객의 수용(reception)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영화 속의 언어가 여성의 재현과 그 수용에 영향을 미친다면, 언어사용의 실천(practice) 가운데 하나인 더빙과 자막의 영향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영상번역의 경우 ‘시공간의 부족’이라는 기술적 제약이 뒤따르고, 문어적 특징이 강조되기 때문에 등장인물의 자막 또는 더빙 대사가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많다. 또한 영화 제작사의 일차적 목표가 수익창출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등장인물의 언어는 ‘오락성’, ‘이해의 용이성’, ‘자연스러움’ 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번역되기 쉽다. 따라서 영상번역의 맥락에서 여성인물의 재현은 의도했건 그렇지 않았건 간에 원작의 그것과는 다른 양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여성의 주체, 이미지, 섹슈얼리티 등은 도착 문화권의 관람객들에게 왜곡되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그간 젠더학계와 번역학계는 영상번역의 맥락에서 여성 재현의 변이(shifts)를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여성 재현이 자막을 통해 어떻게 변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간략하게나마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여성 재현의 번역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여성의 문제들이 뚜렷하게 드러난 영화 한 편(섹스 앤 더 시티 2)을 선정하여 여성주의가 자막에 의해 어떻게 변이되었는지를 기술번역학(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의 관점에서 기술할 것이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섹스 앤 더 시티 2>와 같은 대중적 성향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는 여성주의적 관점과 가치관이 자막에 의해 축소되거나 삭제되는 경향이 있다. 주인공 사만다는 자신을 발정난 여성(bitch)으 ...
본 연구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가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섹스 앤 더 시티 2>와 같은 대중적 성향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에서는 여성주의적 관점과 가치관이 자막에 의해 축소되거나 삭제되는 경향이 있다. 주인공 사만다는 자신을 발정난 여성(bitch)으로 묘사하면서 성욕에 대한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았으며 나아가 남성을 성적 대상물(testosterone)과 소비의 대상(sausage)으로 구축하면서 여성에 대한 전통적 사고를 전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자막에서는 “bitch”의 중의적 의미 가운데 신여성과 관련된 의미가 삭제되어 버렸고, “testosterone”은 “훈남”으로 대체되면서 신여성의 전복적 사고가 축소, 왜곡되어 버렸다. 또한 페미니즘을 테마로 한 노래 I Am Woman이 자막 없이 오랫동안 지속됨으로써 국내의 일반관객들에게 여성주의의 가치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으며 여성의 자유와 힘을 언급한 가라오케 MC의 발언(언어유희) 역시 단순한 오락과 흥미의 표현(“화끈한 무대”)으로 변질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 ‘누리고 있는’ 불완전한 자유(남성의 기만)를 상징하는 “프렌치 프라이즈”와 “니캅”의 의미, 그리고 여성의 진정한 순결과 사랑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Snow Queen”의 의미 또한 한글자막에서는 충실하게 구현되지 않았다. 둘째, 여성주의적 관점과 가치는 영화 속에서 노골적으로 표현되기보다는 언어유희, 노래 등과 함께 간접적으로 구현되며 이 경우 한글자막은 유머 효과만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구축된다. 사실 Sex and the City에 나타난 포스트페미니즘은 서구 영화에서도 전면으로 부각시키기 부담스러운 주제이다. 이데올로기가 영화 속에서 노골적으로 발현될 경우 영화가 자칫 무겁게 비춰지면서 관객 확보는 둘째 치고 영화 자체가 이념대립의 소재로 전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ex and the City 2는 ‘페미니즘’과 ‘유머’라는, 어떻게 보면 역설적인, 두 요소를 교묘히 결합시킴으로써 이데올로기의 재현과 상업성 확보라는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국내의 경우에는 다음 인용문에서 엿볼 수 있듯이 여성의 성담론과 페미니즘의 수용(reception)이 더욱 더 어려운 것으로 느껴지며, 번역하기 복잡한 여성 재현의 언어유희는 영화의 오락적 측면에 밀려 자막에서 누락되기 쉽다. 본 연구의 잠재적 효용과 가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젠더이론 및 번역 실천과 관련하여 국내 최초로 이루어진 영상번역학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나아가 본 연구는 영상번역의 실천과 젠더이론의 접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학제 간 연구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와 분석방법 등은 다른 분야의 번역에서 여성 재현을 탐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사례분석은 영상번역 실무자에게 ‘번역관행’과 ‘번역윤리’에 대한 새로운 문제인식을 제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사례분석은 젠더와 관련된 영상번역 교수모듈을 위한 유용한 콘텐츠로도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