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 개발
evelopment of a Behavior Support Guide for Parent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Serious Problem Behavio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1017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지연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은 아동기를 지나 청소년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계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장애자녀의 부모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장애청소년의 경우, 사춘기로 인한 반항 및 공격행동, 성관련 문제행동 등이 기존의 문제행동과 겹치면서 더욱 심각한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장애청소년의 가족들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돌봄과 교육의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가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는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들 스스로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 전략을 익히게 하는 것이다. 부모가 장애학생 교육의 강력한 협력자가 될 수 있고 효과적인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데는 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하지만, 이를 위해 개발된 부모교육 자료들은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장애청소년의 문제행동지도를 중점적으로 다룬 자료는 더더욱 부족하므로 효과적인 행동지원 전략을 배우고자 하는 부모들의 요구를 적절히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부분의 경우 문제행동의 변화는 하루아침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기간의 관찰과 중재 적용을 요하며, 중재를 실시하는 한 개인의 역량 뿐 아니라 장애학생이 생활하는 환경에 있는 모든 사람(예: 형제자매, 조부모, 이웃 등)의 반응 양식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므로, 문제행동지도에 대한 부모교육을 위해서는 일회성의 강좌가 아닌 전문가의 지속적인 자문과 부모 스스로의 적용 기회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근거하여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가족들을 위해 행동지원 지침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 지침서는 선행 연구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추출될 가족 중심의 행동지원 요소들을 포함할 뿐 아니라, 다양한 가정 내 행동지원 사례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장애학생 교육기관의 부모교육을 활성화하고, 장애학생 부모들도 최신의 증거기반실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를 통해 집대성 하게 될 장애청소년 문제행동의 이해와 중재 전략은 행동지원을 비롯한 특수교육 분야의 학문 발전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중재를 강조하는 특수교육의 추세에 발맞추어 가정이라는 맥락에서 장애청소년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되므로 가족지원에 대한 후속 연구를 활성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2)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학생의 부모가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을 소개함으로써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장애인 가족지원 정책의 수립을 촉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될 부모교육 지침서를 통해 부모들의 역량이 강화(empowerment)되고 행동지도 기술이 발전된다면, 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어 더욱 생산적인 시민으로 사회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3)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
    특수학교, 특수학급, 복지관 등에서는 이미 정기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될 자료는 이들 기관을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4) 인력 양성을 위한 활용 방안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원 전문가를 비롯한 특수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에 꼭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최근 특수교육 현장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비전공 인력들(예: 특수교육 실무사, 공익근무요원, 공공근로요원 등)에게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기본적인 교육을 실시할 때도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방법
    1단계 문헌연구: 이 단계에서는 부모교육 및 행동지원에 관련된 단행본 및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범주별로 분류함으로써 핵심 요소 추출을 준비하게 된다. 동시에 국외에서 개발된 행동지원 관련 부모교육 자료집을 수집하여 행동과 관련된 부모교육의 내용 뿐 아니라 범위와 형태까지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사춘기와 관련된 행동지원 선행 연구와 기존의 국외 자료를 중점적으로 수집한다.
    2단계 장애청소년 행동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핵심 요소 추출: 이전 단계에서 수집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장애청소년의 행동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핵심 요소를 추출하게 된다. 선행 연구와 외국의 부모교육 자료들이 행동지원 관련 부모교육 내용을 어떻게 배열하고 있고 가족상황에 따른 교육 내용 개별화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효율적인 부모교육의 전달 방식도 연구한다.
    3단계, 사회적 타당도 검증 I: 앞선 두 단계를 통해 추출된 요소를 중심으로 장애청소년 행동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개요서를 작성하고, 이를 장애청소년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제시하여 필요한 요소를 고루 포함하고 있는지와 실현 가능한 전략을 담고 있는지 검증 받아 개요서를 보완한다.
    4단계, 사례분석: 본 단계에서는 문제행동을 가진 장애청소년 가정이 참여하거나 이러한 가정을 지원한 내용을 담은 간행물, 장애청소년 부모 수기, 장애청소년 부모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나 장애인 부모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의 상담 게시판에 올라온 문제행동의 예, 장애청소년이 50명 이상 재학 중인 특수학교 부모 모임을 통해 제시된 문제행동의 예 등을 종합한 후 문제행동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의 예시를 작성한다.
    5단계,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 초안 작성: 2단계에서 추출된 문제행동지도에 관한 부모교육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행동지원 지침서 초안을 작성한다. 4단계에서 수집된 사례분석자료는 이 지침서의 부록으로 포함된다.
    6단계, 사회적 타당도 검증 II: 특수학교 부모교육 담당교사,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중등특수교사, 특수교육지원센터 부모교육 담당자, 장애인복지관 부모교육 담당자 등 총 10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지침서의 적용 가능성과 지침서에 포함된 중재의 수용가능성을 검증받고, 최종 수정을 실시한다.
    2) 연구내용
    첫째, 장애청소년의 돌봄과 양육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문제행동의 형태와 본질에 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양육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가족의 일상을 방해하는 장애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게 된다. 또 이러한 문제행동의 발생과 관련된 환경 변인,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변인, 부모 변인에 대해서도 알아보게 된다.
    둘째, 부모와 전문가 간 협력을 통해 장애청소년의 문제행동을 개선시킬 전략 연구: 본 연구는 가족생활이라는 맥락에서 부모의 적극적 참여를 전제로 하는 행동지원을 다룬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와 전문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 역할 전이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역할 전이를 통해 장애청소년의 부모가 문제행동을 위한 증거기반실제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전략을 연구하고자 한다.
    셋째, 부모교육 전달 체제에 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지도와 같은 특정 주제를 다루는 부모교육의 경우, 어떤 전달체제가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 살펴보게 된다. 집단 구성(예: 일대일, 소집단, 대집단교육), 전달방식(예: 강의, 사례, 토의), 매체(예: 비디오, 워크시트) 등 전달체제의 여러 측면을 연구하고자 한다.
    넷째, 부모교육 제공자와 소비자에 의한 사회적 타당도 평가: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연구에서 사회적 타당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장애청소년 행동지원을 위한 부모교육 제공자(예: 교사, 가족상담가)와 소비자(부모)들에게 수용 가능한 것인지를 두 차례에 걸쳐 검증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양육은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야기할 뿐 아니라 곧 성인이 될 자녀와 가족 전체의 비래를 비관적으로 보게 만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이 문제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도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행동지원 지침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서적과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지침서 작성 시 유의할 점과 지침서에 포함될 요소를 추출하였고, 실제로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장애청소년이 가정에서 보이는 문제행동의 유형과 그것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부모의 철학,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제행동 지도방식, 행동지원과 관련한 부모의 요구 등을 알아보았다. 이를 토대로 한 행동지원 지침서는 가족과의 협력으로 실행하는 행동지원 연구를 활성화하고,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고자 하는 일선 기관들의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Raising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serious challenging behavior brings about considerable stress to their parents. The parents come to have pessimistic view toward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who are going to enter into adulthood in near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ehavior support guide for these parent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serious problem behavior. The study began with th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including books and peer-reviewed articles in order to identify essential components to be included in the guide as well as defining basic principles in developing the guide. In the next stage, ten mothers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ho exhibit problem behavior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of the problem behaviors that the adolescents showed at home, the impacts of the behaviors on family, parents’ philosophy regarding behavior support, current strategies used by the parents to address problem behavior, and the support needs for the behavior. The guide,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qualitative study with mothers, is expected to stimulate more research studies on family-involved behavior support and to provide useful resources for parent education to many agencies offering family support progra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양육은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야기할 뿐 아니라 곧 성인이 될 자녀와 가족 전체의 비래를 비관적으로 보게 만든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부모들이 문제행동의 기능을 이해하고 적절한 지도방식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행동지원 지침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서적과 학술지 논문을 분석하여 지침서 작성 시 유의할 점과 지침서에 포함될 요소를 추출하였다. 문헌 분석을 통해 정의된 지침서 개발의 기초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증거기반의 실제를 가족친화적인 용어와 설명으로 제시해야 한다. 둘째, 문제행동의 감소뿐 아니라 가족 생활방식 전반을 점검하여 역기능적인 측면을 개선하고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는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전문가와의 협력을 위한 제언을 포함해야 한다. 넷째, 가족의 옹호기술과 자기주장기술을 증진시킬 방안을 다루어야 한다. 다섯째, 풍부한 사례를 제시해야 한다. 문헌 분석을 통해 추출된 행동지원 지침의 필수 요소는 문제행동에 대한 시각, 문제행동의 기능 판별, 행동지원 시작 전 점검사항, 문제행동의 예방 전략, 새로운 기술의 지도,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서식과 참고자료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실제로 장애청소년을 양육하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장애청소년이 가정에서 보이는 문제행동의 유형과 그것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부모의 철학,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제행동 지도방식, 행동지원과 관련한 부모의 요구 등을 알아보았다.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를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과 가족, 문제행동에 대한 가족의 철학과 행동의 변화,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의 대처방식, 행동지원에 대한 부모의 요구라는 네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문헌 분석과 질적 연구를 통해 파악된 요구 및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출간될 행동지원 지침서는 가족과 함께 실행하는 행동지원 연구를 활성화하고, 장애인 가족지원을 실행하고자 하는 일선 기관들의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학문적으로 본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를 통해 출판될 지침서에 포한된 장애청소년 문제행동의 이해와 중재 전략은 행동지원을 비롯한 특수교육 분야의 학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중재를 강조하는 특수교육의 추세에 발맞추어 가정이라는 맥락에서 장애청소년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게 되므로 가족지원에 대한 후속 연구를 활성화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행동지원 지침서를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하는 다양한 행동지원 실험이 활성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논문이 출간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학생의 부모가 문제행동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을 소개함으로써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공감을 이끌어 내고 장애인 가족지원 정책의 수립을 촉구하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될 부모교육 자료를 통해 부모들의 역량이 강화(empowerment)되고 행동지도 기술이 발전된다면, 장애인 가족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어 더욱 생산적인 시민으로 사회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셋째,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 특수학급, 복지관 등에서는 이미 정기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될 자료는 이들 기관을 위한 부모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지원 전문가를 비롯한 특수교육 전문 인력의 양성에 꼭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최근 특수교육 현장에 투입되어 있는 다양한 비전공 인력들(예: 특수교육실무원, 공익근무요원, 공공근로요원 등)에게 문제행동을 이해하고 이에 대처할 기본적인 교육을 실시할 때도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물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조사한 질적 연구는 자료 분석을 마치고 현재 논문 집필의 마지막 단계에 있으며 2016년 11월에 투고하고 심사를 거쳐 2017년 게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둘째,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장애청소년의 부모를 위한 행동지원 지침서는 현재 집필 중에 있으며, 전문가와 장애청소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타당도 검사를 마친 후 2018년 초에 출판하고 최종 연구결과물로 제출할 예정이다. 셋째, 본 연구자는 본 연구의 수행 과정을 통해 수합된 행동지원 지침의 내용을 바탕으로 2016년 8월 장애학생 부모, 복지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연수에서 특강을 실시하였으며, 논문과 지침서가 출판되는 2017년에는 이를 바탕으로 더욱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문제행동, 가족지원, 장애청소년, 행동지원, 부모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