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가상교실 기반의 국제문화 교류 협력(collaboration) 활동이 한국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국제문화이해 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national Telecollaboration Activities through a Virtual Classroom on Korean EFL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3188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한종임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세계화·지식 정보화 시대에 국제적 경쟁력과 세계시민의 자질을 갖춘 글로벌 인재양성을 강조하는 전 세계의 언어교육 추세에 맞는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개발은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육학계가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1세기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및 정보화 시대의 영어교육 첨단화를 위하여, 가상교실(virtual classroom)을 활용한 네트워크 기반 국제문화 원격교류 협력(network-based intercultural telecollaboration) 활동이 우리나라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국제문화이해 역량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첨단화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온라인 가상교실 기반 국제교류협력 학습 활동 및 프로그램의 사례 조사, 학습 모형 및 과업 개발, 교육적 효과에 대한 본 연구는 (1) 영어교육과 교육공학의 학문적 이론을 접목하는 측면에서 융합적 학문적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2)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모형 및 과업을 개발함으로써 교육현장의 실용성 가치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는 (1) 영어 교육과 첨단 테크놀로지의 접목을 통한 융합적 학습모형 창출, (2) 웹 2.0 시대를 선도하는 국제교류협력학습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창출, (3) 영어교육과 교육공학의 융합 연구를 통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으로 요약된다. 한편 본 연구결과의 활용은 (1) 영어 교육현장에 그 결과가 환류되어 우리나라 영어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국제문화이해역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교육현장에서 실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2) 21세기 교사 정보화교육에서의 활용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1세기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글로벌 인재 양성 및 정보화 시대의 영어교육 첨단화를 위하여, 가상교실(virtual classroom)을 활용한 네트워크 기반 국제문화 교류 협력 활동이 우리나라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국제문화이해 역량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첨단화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1) 첨단 테크노로지를 활용한 가상교실 기반의 국제문화이해 교류 협력 활동을 통하여 우리나라 영어학습자의 국제문화이해 역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2) 온라인 가상교실 및 위키 스페이스 등과 같은 새로운 첨단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실제 상황에서의 영어사용이 우리나라 영어학습자의 영어학습에의 동기부여 및 의사소통 능력을 효율적으로 신장시키는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3) 국내외의 기존 선행 연구와 차별화되는 연구 주제의 독창성 및 기존연구에서 시도되지 않은 연구대상으로 요약될 수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 내용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국제협력교류 학습 유형 및 프로그램 사례 조사를 통한 학문적 이론 토대 구축, (2) 영어교육 및 교육공학적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론 고찰 및 모형 개발, (2) 네트워크 기반 국제교류협력 교수․학습 과업 개발, (3) 네트워크 기반 국제교류협력의 교육적 효과 검증을 다루고자 한다.
    이와같은 폭넓은 연구내용과 범위를 수행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1) 온라인 가상교실 기반 국제교류협력 학습유형 및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사례조사, (2) 영어 교육과 CALL 이론에 기초한 테크놀로지 활용 학습 방안 및 국제문화역량 연구와 관련된 문헌연구, (3)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국제교류협력 프로그램, 학습모형 및 과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실험연구 및 양적/질적 분석 방법 병행, (4) 국제문화 교류 협력 활동에 참가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중간산출물의 분석 등의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여 연구결과 성과물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고자 한다.
    온라인 가상교실 기반 국제교류협력 학습활동 및 프로그램의 사례 조사, 학습 모형 및 과업 개발, 교육적 효과에 대한 본 연구의 학문적 기여도는 (1) 영어 교육과 첨단 테크놀로지의 접목을 통한 융합적 학습모형 창출, (2) 웹 2.0 시대를 선도하는 국제교류협력학습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 창출, (3) 영어교육과 교육공학의 융합 연구를 통한 학문후속세대 양성으로 요약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의 활용은 (1) 영어 교육현장에 그 결과가 환류되어 우리나라 영어학습자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국제문화이해역량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 교육현장에서 실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2) 21세기 교사 정보화교육에서의 활용에 기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우리나라의 영어교육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교실 기반 국제문화 교류 활동이 우리나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국제문화이해 역량, 국제문화 교류 협력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국제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강북 소재 중학교에서 외국 학생들과 한 학기동안 영어로 국제교류를 수행한 학생 50명으로 국제교류 운영방식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실시간 및 실시간 국제교류가 결합된 가상교실 방식이 비실시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국제교류 방식보다 더 효과적이며, (2) 영어 원어민 학생들과의 국제교류가 비원어민 외국 학생들과의 교류보다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더 효과적이며, (3) 국제 교류 운영 방식 중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외국의 상대 학생 수가 국제문화이해 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국제문화 이해 교류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협력 태도를 신장시키고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지식, 문화적 다양성 이해 및 타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 등과 같은 국제문화이해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성공적인 국제문화이해 교류를 운영하기 위해서 국제교류에 접목되는 비실시간 및 실시간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 국제교류의 상대 국가 및 파트너 학생의 영어 원어민 여부, 국제교류 학습모형 및 프로그램,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상대 학생 수 등을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telecollaboration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50 students from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who belonged to three different groups: a one-to-one matching virtual classroom group with American students (n=13), a two-to-one matching virtual classroom group with American students (n=20), and a one-to-one matching on-and-offline mixed group with Taiwanese students (n=17). The experiment was administered during one semester of the 2015 academic year.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With respect to developing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virtual classroom-based telecollaboration activitie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on-and-offline mixed activities on the one hand, and the one to one matching was more beneficial than the two-to-one matching on the other hand. 2) Whether the partner students were English native speakers or not proved to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ve competence. 3) The virtual classroom-based telecollaboration exchange with one-to-one matching was the most positively perceived by the participants, whereas the one with two-to-one matching was the least positively evaluat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made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telecollaboration activities in Korean school setting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교실 기반 국제문화 교류 활동이 우리나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 국제문화이해 역량, 국제문화 교류 협력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국제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육기관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강북 소재 중학교에서 외국 학생들과 한 학기동안 영어로 국제교류를 수행한 학생 50명으로 국제교류 운영방식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실시간 및 실시간 국제교류가 결합된 가상교실 방식이 비실시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국제교류 방식보다 더 효과적이며, (2) 영어 원어민 학생들과의 국제교류가 비원어민 외국 학생들과의 교류보다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더 효과적이며, (3) 국제 교류 운영 방식 중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외국의 상대 학생 수가 국제문화이해 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국제문화 이해 교류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협력 태도를 신장시키고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지식, 문화적 다양성 이해 및 타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 등과 같은 국제문화이해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성공적인 국제문화이해 교류를 운영하기 위해서 국제교류에 접목되는 비실시간 및 실시간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 국제교류의 상대 국가 및 파트너 학생의 영어 원어민 여부, 국제교류 학습모형 및 프로그램,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상대 학생 수 등을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가상교실기반 국제문화 교류와 온․오프라인이 결합된 국제문화 교류 방식이 우리나라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과 국제문화이해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본 연구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비실시간 및 실시간 국제교류가 결합된 가상교실 방식이 비실시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국제교류 방식보다 더 효과적이며, (2) 영어 원어민 학생들과의 국제교류가 비원어민 외국 학생들과의 교류보다 영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더 효과적이며, (3) 국제 교류 운영 방식 중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외국의 상대 학생 수가 국제문화이해 역량 함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국제문화 이해 교류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협력 태도를 신장시키고 우리나라 문화에 대한 지식, 문화적 다양성 이해 및 타문화에 대한 개방적 태도 등과 같은 국제문화이해 역량을 함양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성공적인 국제문화이해 교류를 운영하기 위해서 국제교류에 접목되는 비실시간 및 실시간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 국제교류의 상대 국가 및 파트너 학생의 영어 원어민 여부, 국제교류 학습모형 및 프로그램, 한국 학생과 매칭되는 상대 학생 수 등을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 현장 영어교사들에게 공신력있는 원격 국제협력 기관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어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국제교류 협력 활동을 실시하고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의사사소통 능력, 21세기 학습자에게 필요한 문화간 이해 능력 및 글로벌 시민 의식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 및 네트워크 기반 협력형 협의 도구를 활용하여 영어학습자가 직접 해외에 가지 않고도 영어 원어민 또래 학생과 유의미한 상황에서 실제적인 목적을 가지고 영어로 의사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가상교실 기반 국제교류 활동 및 이에 대한 효과적인 운영 방식에 대한 본 연구 결과는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차원의 저비용 고효율의 영어교육 방법을 교육현장에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영어교사 연수기관 또는 교사를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 능력 교육기관에 제공되어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 도구 등의 첨단 테크놀로지를 원격 국제교류 협력 활동 및 영어교육에서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교육하는데 활용되어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영어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신장 및 새로운 학습 방법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국제교류협력학습, 온라인 국제교류, 원격협력 학습, 가상교실, 문화간 역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