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국방과 군사에 관한 조직분야의 전문서적이 부족한 현실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임. 국방과 군사 분야의 저술은, 전반적으로 부족한 가운데서도, 국방정책 분야, 군사전략, 군수조달, 병역제도 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있는 편이나 국방조직, 군사조직에 ...
o 국방과 군사에 관한 조직분야의 전문서적이 부족한 현실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것임. 국방과 군사 분야의 저술은, 전반적으로 부족한 가운데서도, 국방정책 분야, 군사전략, 군수조달, 병역제도 등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있는 편이나 국방조직, 군사조직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고, 그것이 있다고 하더라도 박사학위논문이나 이를 저서로 출판한 것들이 주를 이룸. o 군사조직 분야의 저서는 시중 판매에 크게 어려움이 있어 저서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저서가 출판되기 어려운 사정임. - 그 이유는 주요 고객, 독자나 수요층이 국방, 군사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일부 교수, 연구자나 군사조직 담당 실무자들이 주가 되어 판매에 크게 애로가 있기 때문임. o 저자 개인적으로는 전문 연구영역인 조직분야와 근무하고 있는 국방분야를 연결시켜 학문적 융합 속에서 조직이론을 군대, 군사분야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아울러 저자가 그동안 연구해온 군사조직 분야를 종합화하려 함.
기대효과
o 군사조직에 천착하여 서술함으로써 조직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 특수 분야별 조직이론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o 군사실무가들을 위한 이론 개발서로서 기여할 것임. 공부하고 연구하는 군사실무가들에게 일반 조직이론서는 너무 보편적이어서 잘 이해하 ...
o 군사조직에 천착하여 서술함으로써 조직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임. 특수 분야별 조직이론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 o 군사실무가들을 위한 이론 개발서로서 기여할 것임. 공부하고 연구하는 군사실무가들에게 일반 조직이론서는 너무 보편적이어서 잘 이해하기 업렵고 적용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군사, 국방 조직 분야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면 군사커뮤니티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음. o 저자의 국방, 군사 분야에의 근무와 조직에 대한 연구 경험을 후속 연구자들과 공유할 수 있을 것임. 군사조직, 국방조직 분야의 세부 분야에 대한 차후 연구를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임. 후속 박사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의 제목이 도출될 수 있을 것임.
연구요약
(1) 군사조직의 의의와 유형 - 군사조직의 의의 - 군사조직의 유형 (2) 군사조직의 가치와 목표 - 군사조직의 가치 - 군사조직의 목표 - 군사조직의 임무와 비전 (3) 군사조직의 구조 - 군사조직의 구조적 ...
(1) 군사조직의 의의와 유형 - 군사조직의 의의 - 군사조직의 유형 (2) 군사조직의 가치와 목표 - 군사조직의 가치 - 군사조직의 목표 - 군사조직의 임무와 비전 (3) 군사조직의 구조 - 군사조직의 구조적 특성 - 각 군의 조직구조: 육군, 해군, 공군 - 군사기술과 군사조직 (4) 군사조직 구성원 - 군인의 성격 - 군인의 동기부여 - 군인 윤리 (5) 군사조직의 조직문화 - 군대문화 - 병영문화 (6) 군사조직 환경과 조직 변동 - 군사조직 환경 - 군사조직의 변동 (7) 군사조직의 관리 - 군사조직의 관리 - 미래 한국의 군사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