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어(L1)와 영어(L2)의 단어, 구문 및 문장 기억 회상에 있어 멜로디 텍스트의 학습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Melody Text on Memory Recall of Words, Phrase, and Sentence in Korean(L1) and English(L2)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7269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분주
연구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노래가 멜로디와 텍스트로 구성 되어있다고 보았을 때, 텍스트를 기억해 내는 데는 기억 속에 함께 입력된 멜로디가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에서 증명되어 왔다. 멜로디는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데, 글자의 수, 리듬, 후속 단어에 대한 전조 등이 그에 속한다. 노래 속의 멜로디와 텍스트가 함께 통합되어 기억된다는 Melody-Text Integration 가설(Serafine et al., 1986)에 의하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멜로디가 주어진 텍스트 정보가 조직적으로 구성되어 기억될 수 있도록 돕고, 결과적으로 그 후 효과적 기억 도출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L1)와 영어(L2) 언어 산출에 있어서 노래 형태의 텍스트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문자 형태의 낭독된 음성 녹음 텍스트의 학습효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교·분석 해 보고,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멜로디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효과를 고찰 해 보고자한다. 노래형태의 멜로디텍스트의 효과분석의 변인으로는 1)구문별(어휘-구문-문장단위에 있어서 학습효과), 2)수준별(초급-중급이상) 3)연령별(어린이-성인 학습자), 4)단기 기억 회상효과와 일정 시간 경과에 따른 기억 회상의 효과(immediate-delayed)을 고찰할 것이다.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한국어와 영어 통합연구의 필요성: 모국어의 멜로디 텍스트와 음성텍스트의 정보입력에 대한 언어처리 현상과 제 2언어인 영어의 멜로디 텍스트와 음성텍스트의 정보입력에 반응하는 학습자의 언어처리 현상의 통합 비교연구를 통하여 모국어인 한국어의 언어처리 현상을 통제언어로 설정하고, 목표언어인 영어의 언어처리 현상을 비교·분석하는 통합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L1과 L2의 학습 방법과 기억처리과정의 공통점 혹은 차이점을 살펴보고, 이것을 통해 L2 학습을 도울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2) 연령별, 제2언어의 능숙도별 비교연구의 필요성: 제 2언어 학습에 있어서 그 능숙도를 구분하여 인지능력의 완숙도가 다른 어린이 학습자와 성인 학습자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노래와 기억의 관계와, 더 나아가 제 2언어 학습에 있어 그 능숙도에 따른 멜로디 텍스트의 효과의 차이를 연령대 참가자들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인지 발달에 의한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또는 능숙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일관성 있는 기억평가 방법 설계의 필요성: 기억 부호화(memory encoding)와 그 기억을 실제로 산출(production) 하는 과정은 각각 다른 기술과 다른 수준의 인지적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논란을 줄이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 멜로디 텍스트의 효과에 관련된 연구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E-prime을 통한 반응시간을 측정을 통해 인식테스트와 구문별 단어 연상효과를 반응시간으로 측정해 볼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실험과정 중 언어처리 과정에 대한 생각 말하기(thinking aloud)기법과 인터뷰를 통한 질적 자료를 보완하는 통합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노래가 기억에 관련하여 제 2언어 교육에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효과를 심도 있게 조사하고 그 관계를 규명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 국내에서 음악 치료 분야에서 기억과 음악에 관하여 이루어진 연구는 존재하나 이것을 외국어 학습과 연관 시켜 그 효과를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국내의 영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고, 지속적인 커리큘럼 개발과 효과적 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습내용의 기억을 멜로디텍스트를 통한 훈련을 통해 명시적인 지시(explicit instruction) 없이도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는 암묵적인 학습(implicit learning)효과의 가능성을 규명 해 볼 필요가 있다.
  • 기대효과
  • (1) 멜로디 형태 텍스트가 언어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
    주어진 텍스트 종류에 관련하여 본 연구로부터 도출 가능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녹음 음성 텍스트보다 노래로 들었던 텍스트에 대한 기억 평가 점수가 더 높게 나오거나, 역의 경우이거나, 둘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로 예상하는 결과가 도출 될 경우 멜로디가 언어적 기억 (verbal memory)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언어 학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구문 단위화(chunking) 기술의 개발에도 도움이 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런 해석을 뒷받침하기 위해 주어지는 테스트 문제 중에서 난이도가 높은 문제의 결과를 특별히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2) 구문 단위화 훈련과 결부한 암묵적 학습법 개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될 결론과 결부시켜 노래가 어린이들의 집중 효과를 높이고 즐거움이라는 혜택을 주는 학습 방법이라는 사실을 뛰어넘어, 최근 들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자연스런 언어 습득과 유창성 (fluency) 개발을 위해 필수인 구문 단위화 훈련에 대한 효과적 방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2주와 2개월 후에 실시할 장기 기억 회상 테스트(delayed memory test)에서 멜로디 텍스트 유형에서 더 높은 정확도와 짧아진 반응시간의 결과가 나타난다면 기억(mnemonic) 장치로서 멜로디와 통합된 텍스트의 경우 그 기억을 인출하는 접근(access) 또한 유리하게 나타난다는 결론 도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멜로디 텍스트의 긍정적 효과는 암묵적 학습효과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암묵적 학습기제의 학습효과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뿐 아니라 제 2 외국어 학습의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연령별, 제 2언어 능숙도별 학습법 개발
    실험 대상자 그룹들 간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해 보았을 때 오류 빈도나 반응 시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면, 어떤 연령대 그룹이나 제 2언어 능숙도에 따라 노래가 보다 효율적인 학습 방법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를 알아 볼 수 있다. 기억을 하는데 있어서 멜로디와 통합되어 기억 된 텍스트에 접근하는데 있어 연령별로 또는 제 2언어 능숙도에 따른 차이점이 존재한다면 그 요인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혹은 부담이 된 요인이 있는지를 고찰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연령대나 능숙도에 상관없이 나타나는 결과가 공통적이라면 기존 연구들의 상이한 결과와 달리 언어 기억에 대한 음악의 영향을 일반화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4) 융합연구로의 후속연구의 가능성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영어 교육 현장에 기여하고 활용될 수 있는 가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먼저, 어린이들의 학습 자료로 주로 사용되되는 음악이 주는 즐거움이라는 단순한 효과를 뛰어넘어, 멜로디의 유형에 구문 단위화와 같은 특정 언어적 훈련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체계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인지적 능력이 다른 어른과 어린이 학습자들의 기억 처리 과정과 속도를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그 차이점에 대한 요인을 살펴보고, 멜로디와 텍스트 통합 기억 처리 과정 중의 뇌 활동과 인지활동에 대한 연구와의 융합연구로의 후속연구의 가능성 또한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텍스트 정보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멜로디와 통합적으로 입력되었을 때 기억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어 있지만, 제 2외국어 학습효과와 연계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또한, 노래-텍스트 변인, 연령의 효과의 대해서만 단편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일관된 연구방법으로 측정되지 않아 그 효과가 연구들마다 상이한 제약이 있다. 이에 일관되고 체계적인 측정 체계를 통하여 통합적으로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들에 대해 통찰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E-prime을 활용한 반응속도 측정방식과 표집집단의 실험과정에서 생각말하기와 인터뷰를 통하여 한국어와 영어의 멜로디 형태로 제시되는 텍스트와 낭독된 음성 녹음 텍스트의 기억·회상효과를 단어-구문-문장의 회상기억능력의 변인, 장·단기 기억의 변인, 연령 및 언어 능숙도의 변인에 따른 효과를 통합적으로 비교·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모국어와 제 2언어의 실험 결과에 따라 학습목표를 명시적으로 제공하거나 정보 입력에 대한 노력이 없어도 학습이 일어나는 암묵적 학습효과의 가능성을 살피고, 그 학습 기제를 도출하여 그 학습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방법상의 통합적 척도를 통하여 도출 될 결과가 노래가 기억에 관련한 제 2언어 교육에 지평을 넓히고,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준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국어와 영어의 멜로디 형태로 제시되는 텍스트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텍스트 중 어느 형태가 기억 회상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가?
    2) 멜로디 형태로 제시되는 텍스트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낭독 텍스트의 단기 기억 회상효과는 장기 기억 회상에도 나타나는가?
    3) 멜로디 형태로 제시되는 텍스트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텍스트의 기억 회상효과는 어린이 학습자와 성인학습자들에서 차이가 나타나는가?
    4) 멜로디 형태로 제시되는 텍스트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텍스트의 기억 회상효과의 영어 학습 능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5) 멜로디 형태의 정보입력은 암묵적 학습 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가?

    해당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사전테스트 2회, 4차례의 실험으로 구성한다.
    1) 사전테스트 1: 실험자료의 노랫말 검증 테스트: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을 어린이 및 성인 20명, off-line test
    2) 사전 테스트2: 영어 능숙도 측정테스트 (듣기 유형): 어린이 40명, 성인 40명, off-line test
    3) 1차 실험: 한국어(L1)와 영어(L2)의 멜로디 텍스트의 단기 기억 회상 테스트(immediate memory test)-텍스트 유형별, 구문별, 연령 및 영어 능숙도별 비교(어린이 40명, 성인 40명 대상으로 e-prime을 이용한 반응시간을 측정 하는 on-line test)
    4) 2차 실험: 한국어(L1)와 영어(L2)의 멜로디 텍스트의 장기 기억 회상테스트(delayed memory test)-텍스트 유형별, 구문별, 연령 및 영어 능숙도별 비교(어린이 30명, 성인 30명 대상으로 e-prime을 이용한 반응시간을 측정 하는 on-line test)
    5) 3차 실험: 한국어(L1)와 영어(L2)의 멜로디 텍스트의 학습효과 및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생각말하기 기법 및 심층인터뷰(어린이 20명, 성인 20명)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어를 모국어로 가진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L1)와 영어(L2) 언어 산출에 있어서 멜로디를 가진 노래 형태의 텍스트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문자 형태로 낭독된 음성 녹음 텍스트의 학습효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교·분석 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짧은 낱말이 아닌 구문 단위로 언어를 산출해 낼 수 있는 구문 단위화 기술(chunking skill)의 학습효과를 측정 해 봄으로써 노래가 기억에 관련하여 제 2 언어교육에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모국어로 된 노래가사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노래 형태 또는 낭독 형태를 듣고 기억회상 테스트를 하였을 때, 즉시 1차 테스트에서는 멜로디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2차 테스트에서는 낭독 형태로 입력된 자료가 조금 더 유지되는 경향을 모였다. L2의 경우, 영어로 들은 입력 자극에 대한 정답률이 멜로디 형태로 들은 경우가 낭독 음성 형태로 들은 경우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이들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에 미치지 않았다. 단어-구-절의 정확도에 대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모국어에서는 멜로디 형태의 자극과 음성 낭독 형태의 자극이 기억회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않는 반면 제 2외국어에서는 멜로디 형태의 자극에서 단어, 구, 또는 절의 기억 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특히 L2 기억 회상 테스트에서 단어에서 구와 절단위로 갈수록 기억 회상의 정확도가 증가되는 현상은 L1에서 보다 L2에서 멜로디와 함께 들은 텍스트를 기억할 때, 구문 단위화 기술(chunking skill)이 활용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성인들의 L2의 결과에서 단어-구-절 단위로 갈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멜로디 형태 뿐 아니라 음성 형태에서도 공히 나타나는 현상이라 멜로디와 텍스트의 융합현상에 의한 결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이는 심층 인터뷰자료를 통해서 참여자들의 인지정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설문 및 인터뷰자료를 통해 양적 자료에서 나타난 현상을 뒷받침하는 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멜로디가 가사기억이나 회상에 방해가 되었다는 일부 부정적인 경향은 앞서 L1 실험의 멜로디나 음성입력에 있어 단기적 기억회상에서는 기억회상의 정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데 대한 경험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어린이 영어학습자들의 결과에서 모국어는 성인 영어학습자와 같이 노래로 입력된 멜로디 텍스트가 기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L2인 영어의 경우 노래로 입력된 텍스트의 기억회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그 현상은 단어를 도출할 때 보다 구같은 더 긴 구문을 도출해 낼 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응시간측정을 통한 반응시간은 멜로디-텍스트가 노래의 경우 융합되어 기억된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하나의 경험적근거로 삼을 수 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던 사실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 찾을 수 있는 의의라고 볼 수 있다.
  • 영문
  • Melody has been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for language learning as well as a memory ai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ng text and spoken text in three-folded aspects: the effects between immediate and delayed texts, between L1 and L2, and among word, phrase, sentence level. 55 adult EFL learn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lody with text has been known to play a positive role as a memory aid and a learning facilitat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ng on adult and young EFL learners’ text recall, especially focusing on the factors of memory retention, L2 proficiency, and text length. The factors of memory retention, proficiency, and text length were examined. 55 adults EFL learners and 41 Korean young learners of English participated.

    As for the results from young EFL learners, significant effects of song text have been observed in the young EFL learners’text recall in L2. They appear to undergo the process of text and melody integration and took advantage of the song mode in recalling the words and even a longer phrase for a larger amount of time, especially in their second language. The findings shed lights on pedagogical application of songs to second language teaching for young learners. However, thr results from adults EFL learners have shown different tendency of memory recall between in L1 and L2. also different tendency from young learners reported in Park(2015). The effects of word-phrase-sentence level have been shown more saliant effects in L2 than in L1. The results shed lights on the potential benefits for using songs for developing chunking skills in EFL learning. Also, the data from questionnaire and interview confirmed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nd provided the empirical evidence and more in-depth inform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어를 모국어로 가진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L1)와 영어(L2) 언어 산출에 있어서 멜로디를 가진 노래 형태의 텍스트가 멜로디 없이 제시되는 문자 형태로 낭독된 음성 녹음 텍스트의 학습효과를 다양한 각도에서 비교·분석 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짧은 낱말이 아닌 구문 단위로 언어를 산출해 낼 수 있는 구문 단위화 기술(chunking skill)의 학습효과를 측정 해 봄으로써 노래가 기억에 관련하여 제 2 언어교육에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성인 영어학습자들이 모국어로 된 노래가사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노래 형태 또는 낭독 형태를 듣고 기억회상 테스트를 하였을 때, 즉시 1차 테스트에서는 멜로디 형태로 입력된 정보를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경향이 있으나, 2차 테스트에서는 낭독 형태로 입력된 자료가 조금 더 유지되는 경향을 모였다. L2의 경우, 영어로 들은 입력 자극에 대한 정답률이 멜로디 형태로 들은 경우가 낭독 음성 형태로 들은 경우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이들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에 미치지 않았다. 단어-구-절의 정확도에 대한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모국어에서는 멜로디 형태의 자극과 음성 낭독 형태의 자극이 기억회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않는 반면 제 2외국어에서는 멜로디 형태의 자극에서 단어, 구, 또는 절의 기억 회상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특히 L2 기억 회상 테스트에서 단어에서 구와 절단위로 갈수록 기억 회상의 정확도가 증가되는 현상은 L1에서 보다 L2에서 멜로디와 함께 들은 텍스트를 기억할 때, 구문 단위화 기술(chunking skill)이 활용된다는 것을 함의한다.
    성인들의 L2의 결과에서 단어-구-절 단위로 갈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멜로디 형태 뿐 아니라 음성 형태에서도 공히 나타나는 현상이라 멜로디와 텍스트의 융합현상에 의한 결과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다. 이는 심층 인터뷰자료를 통해서 참여자들의 인지정도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설문 및 인터뷰자료를 통해 양적 자료에서 나타난 현상을 뒷받침하는 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분석하였다. 멜로디가 가사기억이나 회상에 방해가 되었다는 일부 부정적인 경향은 앞서 L1 실험의 멜로디나 음성입력에 있어 단기적 기억회상에서는 기억회상의 정확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데 대한 경험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어린이 영어학습자들의 결과에서 모국어는 성인 영어학습자와 같이 노래로 입력된 멜로디 텍스트가 기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L2인 영어의 경우 노래로 입력된 텍스트의 기억회상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그 현상은 단어를 도출할 때 보다 구같은 더 긴 구문을 도출해 낼 때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응시간측정을 통한 반응시간은 멜로디-텍스트가 노래의 경우 융합되어 기억된다는 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하나의 경험적근거로 삼을 수 있음을 고찰 할 수 있었던 사실이 본 연구의 결과에서 찾을 수 있는 의의라고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어린이 제 2외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연구에서는 노래 속에서 제시된 영어 텍스트와 낭독된 음성 녹음 텍스트의 기억도출의 정확도를 통한 학습효과를 비교하고 장·단기기억에도 그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해 보았다. 특히, 반응 시간 분석을 통하여 텍스트 단일로 기억될 때와 노래형식으로 기억될 때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노래형태로 멜로디와 함께 텍스트를 들었을 때 기억도출 뿐 아니라 학습효과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노래가 기억에 관련하여 제 2 언어교육에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가 영어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바는 어린이들의 학습 자료로 주로 사용되어 진 음악이 주는 즐거움이라는 단순한 효과를 뛰어넘어, 제 2언어 학습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과 멜로디와 텍스트 통합 기억 처리 과정 중의 뇌 활동과 인지활동에 대한 경험적인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며 후속연구의 가능성 또한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성인영어학습자 연구 결과에서의 주목할 점은 어린이 영어학습자와는 달리 성인들의 경우에는 모국어와 제 2외국어에서 대비되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사실이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영어모국어 화자나, 어린이 한국인 영어학습자에 대한 결과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모국어에서 멜로디 형태로 입력된 정보가 단기적 기억회상에서는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지속적 기억회상에서는 음성텍스트로 들은 내용을 더 정확하게 기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영어로 들은 입력 자극에 대해서는 지속적 기억회상에서 멜로디 형태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단어-구-절단위의 효과에 대해서 모국어의 경우는 단어단위가 구나 절 단위 보다 높게 나왔지만, 영어의 경우에는 단어에서 구문과 절 단위로 갈수록 더 잘 정확하게 기억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멜로디가 언어 기억과 언어 학습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구문 단위화 기술의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는 데 본 연구의 영어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가 있다. 구문 단위화와 같은 특정 언어적 훈련 방법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가능성과 인지적 능력이 다른 성인의 멜로디와 텍스트 통합 기억 처리 과정 중의 뇌 활동과 인지활동에 대한 융합연구로의 후속연구의 가능성 또한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영어교육적으로 노래를 학습 및 교수방법에 활용 할 경우에 그 인지 정도가 다른 학습자에 따라서 노래 및 멜로디 활용의 효과가 다르므로 학습자의 음악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 개별화된 학습도구로서 활용계획을 고려하는 것으로 활용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 외에 본 연구 결과가 가질 수 있는 기대효과는 1) 멜로디 형태 텍스트가 언어 기억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 2) 타 외국어 학습 교육으로 활용, 3) 인지 기능에 따른 연령별, 제 2언어 능숙도별 학습법 개발 , 4) 융합연구로의 후속연구의 가능성에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 색인어
  • 성인 영어학습자, 어린이 영어학습자, 멜로디-텍스트 통합, 텍스트 기억회상, 단기기억, 장기기억, 기억회상, 멜로디, 구문 단위화 기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