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무로마치시대 혼종어의 어구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n Word-formation of Hybrid words in the Muromachi Perio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8015535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박선옥
연구수행기관 대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무로마치시대의 혼종어(混種語)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당대의 일본어 어휘 속에 어떠한 혼종어가 새로이 형성되었으며, 그것들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고찰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 혼종어가 당대의 어휘 속에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2) 당시 새롭게 등장한 혼종어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 중에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단어는 얼마나 되는지 파악해 보고, (3) 혼종어를 구성하는 조어성분은 어떤 성격의 것이며, (4) 어구성(語構成)적 측면에서는 어떤 의미적 관계의 말이 주를 이루고 있는지, 그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상대 및 중고, 그리고 중세 전기와 근세 이후의 혼종어를 대조하고 분석하는 연구의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무로마치 시대의 혼종어 수집을 위한 자료로는 『日葡辞書』를 사용하고 자 한다. 이것은 중세 말기에 기독교 전교를 목적으로 일본에 건너온 선교사들이 일본인의 조력을 얻어 4년 이상의 작업 끝에 편찬된 일본어-포르투갈어 사전이다. 1603년에 본편이, 1604년에 보유 부분이 나가사키(長崎)에서 간행되었다. 표제어로 수록된 단어는 본편이 25,967개, 보유가 6,831개 있으나 본편과 보유에 중복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면, 총 32,293개이다. 이 사전은 무로마치(室町) 말기 일본인이 사용하던 일상용어를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물론, 한문의 소양이 있는 지식인들의 말까지 빠짐없이 수록하고 있다. 『日葡辞書』는 중세 후기 일본어 연구에 가장 중요한 자료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혼종어란 서로 다른 계통의 어종, 즉 일본 고유어와 한자어, 일본 고유어와 외래어, 한자어와 외래어 등이 다양하게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로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요소들로 구성된 것이다.
    혼종어가 현대 일본어 어휘 중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다른 어휘에 비해 적지만, 실제 일본인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들이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면, 외래어와 일본 고유어가 조합된 アルバイトする, カラオケ 등, 외래어와 한자어가 조합된 混合ダブルス, リズム感 등, 일본 고유어와 한자어가 조합된 勉強する, 猛烈な 등, 일본 고유어와 한자어 그리고 외래어가 조합된 お子様ランチ的な, テレビ番組 등이 있다. 특히 일본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된 어휘들은 일본에서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배우기 시작하고, 일본어학 개설서 등에서도 빠짐없이 언급되고 있다. 그런데 혼종어 분야 연구는 다른 어종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축적되지 않은 편이다. 실제로 혼종어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논문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필자는 중세 후기 혼종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혼종어를 통시적으로 조명하는 것이다. 우선 중세 무로마치 시대 혼종어의 실태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고, 특히 당시 새롭게 생성된 혼종어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 중에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단어는 얼마나 되는지 파악해 보고자 한다.
    둘째, 혼종어를 어휘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혼종어를 구성하는 의미적 관계와 그 구성요소에 착목하여 이들이 어떠한 어구성적 특징을 보이며, 주로 어떤 요소들에 의해 혼종어가 형성되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일본어학 뿐만 아니라 일본학 전 분야의 기초 연구이기도 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학문발전의 기여도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본어 어휘 분야에서 가장 주목되지 않은 혼종어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가 될 것이다. 특히 『日葡辞書』를 통하여 중세 후기 혼종어의 어구성적 특징 및 구성요소의 성격을 조사함으로써 일본어학 연구 분야의 지식기반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어구성의 연구는 실제 언어사용 문제, 특히 표제어 사용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각종 어휘의 조사, 사전의 편집, 색인의 작성 등 일본어 기초연구 및 활용에도 기여를 할 것이다. 그리고 어구성의 연구는 로마자 표기, 가나(仮名) 표기와 관련한 띄어쓰기 방식, 어휘량 측정 등의 기초연구 및 교육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셋째, 혼종어의 대부분은 각 시대의 신조어이다. 『日葡辞書』에 표기된 혼종어에는 중세 후기 일본문화와 일본인의 정신이 농축되어 있다. 그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연구는 일본 중세 후기 문화와 역사 이해를 증진시키고, 일본문화 전공자에게도 연구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넷째, 일본어 혼종어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 본 연구는 한국어 혼종어 연구 및 한・일 혼종어 비교 연구에도 중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다섯째, 최근 언어학에서 언어의 전산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와 관련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 성과는 언어의 전산화와 관련한 기초연구 및 활용에도 기여하는 바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여섯째, 한국인 학습자는 일본어의 혼종어 이해가 쉽지 않은데,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자에게 일본어 어휘체계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본어의 어구성적 특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교수모형을 구축하는 등 일본어 교육 연구 및 활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혼종어는 대부분이 각 시대의 신조어이다. 그때까지 없었던 것이 문명이나 문화의 발전과 함께 유입 또는 출현하여 형성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혼종어는 사회의 변화와 함께 그 시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혼종어에 대해서는 각 시대별로 실태와 특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혼종어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세 후기의 혼종어 파악에 중점을 두고, 그것들이 당시 일본어 어휘 속에 어느 정도 차지하였고, 또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日葡辞書』에 보이는 용례를 검출하여 그것들을 계량적으로 분석한 다음, 중세 후기에 새롭게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는 혼종어를 가려내고, 또 현대까지 내려오는 혼종어는 어떤 것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혼종어의 어구성, 구성요소의 특징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텍스트로 2013년 벤세이샤(勉誠社)에서 출판된 『キリシタン版 日葡辞書―カラー影印版 [大型本]』을 사용하고,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추진할 것이다.
    먼저, 혼종어를 검출할 때는 『新潮国語辞典』(新装改訂版)과 『古典対照語い表』(笠間書院)를 참고로 할 것이다. 이 두 문헌에도 실려 있지 않는 단어들의 혼종어 판단은 일반 한화(漢和)사전의 음(音)・훈(訓)의 취급에 따를 것이다.
    다음으로, 혼종어의 어구성 연구는 의미의 관점에서 그 특징을 검토할 것이다.
    그리고, 혼종어 구성요소의 특징 조사는 그것들을 어종별로 분류한 다음 데이터를 구축하여, 예를 들어 한자어의 경우는 자립어적인 요소인지, 비자립어적인 요소인지, 고유일본어의 경우는 어떤 품사적 경향을 보이는지 등을 분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세 무로마치 시대에 새롭게 조어된 혼종어에 대한 조사는 『日本国語大辞典 第二版』과 『古典対照語い表』, 『時代別国語大事典』, 그리고 東京大学史料編纂所에서 공개하는 古文書古記録フルテキストデータベース 검색을 이용하여 단어의 생성 시대를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현대에까지 남아서 사용되는 혼종어의 분별은 현재 일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岩波国語辞典』(제7판)과 『新明解国語辞典』(제5판)을 참고로 할 것이다. 이렇게 해서 가려낸 각각의 혼종어는 또 어떤 특징을 나타내는지 고찰해 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무로마치(室町) 시대의 사전 『Nippo Jisho』에서 혼종어(混種語)를 검출하여 어종(語種) 구성의 형식, 구성요소의 특징, 의미적 관계 등을 조사 고찰한 것으로 그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日葡辞書』에 수록되어 있는 혼종어는 1,666個(총어휘량의 5.2%)였는데, 이들은 모두 고유일본어(和語)와 한자어(漢語)가 결합한 '화한혼종어(和漢混種語)'이었다. 아직 고유일본어나 한자어에 외래어가 결합된 혼종어는 볼 수 없었다.
    다음으로 한자어 요소로는 1자 한자어(一字漢語), 2자 한자어(二字漢語), 3자 한자어(三字漢語)가 사용되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독립어로써 대부분 사용할 수 있는 것들이었다. 고유일본어의 구성요소로는 명사, 동사 연용형, 형용사 어간, 접사가 사용되었는데, 접사를 제외하고, 대부분 자립성이 강한 요소들이었다.
    마지막으로 혼종어에서의 전항요소와 후항요소 사이의 결합상의 의미적 관계를 '병립 관계' '보족 관계' '수식 관계' '보조 관계' '객체 관계' '비약'의 6종으로 분류해보자, 그것들은 압도적으로 '수식관계(修飾 関係)'에 속하는 것이 많았고, 일본어의 어순과 반대가 되는 객체관계(客体 関係)의 것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하였다. 혼종어라고 하는 것은 일본에서 조어된 숙어이기에 혼종어의 구성요소의 나열순서는 일본어의 규범적인 문장의 어순과 상당수의 경우에 일치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research is according to the hybrid words included in "Japanese-Portuguese Dictionary" of Muromachi Period. In this research, the hybrid words are picked up and the following points thereof were considered; the style of the Goshu-kousei (語種構成, construc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Japanese words by their origin as Japanese、Chinese or Western), the features of the construction elements, the semantic relationships, and so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1666 of the hybrids words in the above Japanese-Portuguese Dictionary, and these are the Japanese-Chinese hybrid words which are each formed by combining the Japanese word and the Chinese word. further, there were no hybrid words formed by combining the loan word with the Japanese or Chinese word.
    Second, according to the Chinese elements, the one letter Chinese word, the two letter Chinese word, and the three letters Chinese word are used. Each of them was mostly to be used as a freestanding wor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Japanese element, the noun, the continuous form of verb, the stem of adjective, the affix were used as the construction element, and the large part thereof, excepting the affix, has a considerable degree of independence or self-organized formation.
    Lastly, the semantic relationships are categorized to six relations: a parataxis relation, a modification relation, a supplementary relation, an object relation, and a logical leap. The hybrid words picked up from the above dictionary predominantly has the modification relation, and there are only a five examples that have the object relation inverse to the Japanese word order. As the hybrid word is formed in Japan, the construction elements in the hybrid word are mainly arranged in the same order as the principal on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혼종어란 서로 다른 계통의 어종, 즉 일본 고유어와 한자어, 일본 고유어와 외래어, 한자어와 외래어 등이 다양하게 결합하여 만들어진 말로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언어에서 유래한 요소들로 구성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상의 혼종어에 대한 사적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혼종어(混種語)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당대의 일본어 어휘 속에 어떠한 혼종어가 새로이 형성되었으며, 그것들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고찰하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혼종어가 당대의 어휘 속에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2) 당시 새롭게 등장한 혼종어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또 그 중에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단어는 얼마나 되는지 파악해 보고, (3)혼종어를 구성하는 조어성분은 어떤 성격의 것이며, (4)어구성(語構成)적 측면에서는 어떤 의미적 관계의 말이 주를 이루고 있는지, 그 실태를 조사・분석하여 고찰해보고자 한 것으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닛포지쇼(日葡辞書)』에 수록되어 있는 혼종어는 1,666개로 총 어휘 량의 5.2%를 차지했다. 그것들은 어떤 어종끼리 구성되어 있는지 관찰하자, 그것들은 모두 고유일본어 요소와 한자어 요소가 1차, 2차, 3차적으로 결합해서 형성된 「화한 혼종어(和漢混種語)」로 12종류의 결합형식을 보였다. 그것들 중 한자어 요소와 고유일본어 요소가 1차적으로 결합한 「한자어+고유일본어(重箱読み)」와 「일본어+한자어(湯桶読み)」라는 결합형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92.2%), 그 외에는 그것들에 다시 한자어 요소 또는 고유일본어 요소가 2차적·3차적으로 결합해서 형성된 혼종어였다. 아직 한자어 또는 고유일본어 요소에 외래어가 결합된 혼종어는 보이지 않았다.
    다음으로 1차적으로 결합된 혼종어 중 명사 혼종어만을 대상으로 해서, 많은 혼종어를 생산해 내는 구성 요소의 특징을 살펴보자, 한자어 요소의 경우는 「1자 한자어」「2자 한자어」「3자 한자어」가 구성요소로서 사용되었는데, 특히 1자 한자어가 유난히 눈에 띄는 조어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주목되었다. 본래 1자 한자어는 자립성이 강한 2자 한자어나 3자 한자어와 달리 그것만으로 한 독립된 단어로 사용되지 않는 것이 많이 있다. 그러나 혼종어의 구성 요소로 사용되고 있는 1자 한자어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혼종어로 사용되는 한자어 요소의 특징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독 용법을 가진 것이 대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한편 고유일본어 요소의 경우는 「명사」「동사의 연용형」「형용사의 어간」「접사」가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었는데, 그 중 명사의 요소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동사의 연용형과 형용사의 어간의 요소도 명사의 용법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압도적이었다.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는 접사의 요소는 아주 극소수에 불과했다. 따라서 고유일본어 요소의 특징도 단독으로 사용되는 자립성이 강한 것이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혼종어에서의 결합의 의미적 관계를 「병립 관계(並立関係)」「보족 관계(補足関係)」「수식 관계(修飾関係)」「보조의 관계(補助関係)」「객체의 관계(客体関係)」「비약(飛躍)」의 여섯 종류로 분류해보자, 압도적으로 「수식 관계(修飾関係)」에 있는 것이 많고 그 다음은 「보족 관계(補足関係)」이며, 이 둘을 합치면 약 90%를 차지했다. 일본어 어순이 뒤바뀐 「객체의 관계(客体関係)」에 있는 예는 극히 소수에 불과했다(5개). 혼종어란 일본에서 조어된 것이므로 혼종어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서도 도치 등 하지 않고, 원칙적인 문장의 순서와 상당수의 경우에 평행선을 이루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일본어학 뿐만 아니라 일본학 전 분야의 기초 연구이기도 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학문발전에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일본어 어휘 분야에서 가장 주목되지 않은 혼종어에 대한 구체적인 성과이다. 특히 『日葡辞書』를 통하여 중세 후기 혼종어의 어구성적 특징 및 조어성분의 특징 조사는 일본어학 연구 분야의 지식기반을 구축하게 될 것이다.
    둘째, 필자의 어구성 연구는 실제 일본어 사용에 가장 확실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어구성 연구는 단어의 인정(認定)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중요하지만, 특히 각종 어휘 조사, 사전의 편집, 색인 작성 등의 작업에 중요하다. 표제어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일본어 교육면에서 로마자 표기나 가나(仮名) 표기 방식, 어휘량 측정 등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본 연구의 유용성이 증명될 것이다.
    셋째, 혼종어는 대부분이 각 시대의 신조어이다. 말이 생성되면서 문화와 정신이 녹아든다. 그런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연구는 일본 중세 후기의 문화와 역사, 일본인의 정신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일본어학 뿐만이 아니라 일본 문화나 역사 연구자에게도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일본어 전체 혼종어 연구의 토대를 마련할 뿐만이 아니라, 한국어 혼종어 연구 및 한・일 혼종어 비교 연구에도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최근 언어학에서 언어의 전산화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와 관련하여 보았을 때, 본 연구 성과는 언어의 전산화와 관련한 기초연구 및 활용에도 기여하는 바가 결코 적지 않을 것이다.
    여섯째, 한국인 학습자는 일본어의 혼종어 이해가 쉽지 않은데, 본 연구는 일본어 학습자에게 일본어 어휘체계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일본어의 어구성적 특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교수모형을 구축하는 등 일본어교육 연구 및 활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색인어
  • 혼종어, 어휘, 어종, 어구성, 무로마치시대, 어종구성의 형식, 구성요소, 닛포지쇼(日葡辞書), 고유일본어(和語), 한자어(漢語), 외래어, 명사, 동사의 연용형, 형용사의 어간, 접사, 1자 한자어, 2자 한자어, 3자 한자어, 의미적 관계, 병립 관계(並立関係), 보족 관계(補足関係), 수식 관계(修飾関係), 보조 관계(補助関係), 객체 관계(客体関係), 비약(飛躍), 자립어, 일본어의 어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