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일터영성, 영적성숙도, 그리고 소진의 관계 : 일터영성 측정척도 개발을 바탕으로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workplace spirituality, employee's spiritual maturity, burnout outcomes :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workplace spiritual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1014241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5월 01일 ~ 2016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한광현
연구수행기관 전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지금까지 영성은 주로 사회심리학, 초개인 심리학, 종교심리학, 종교사회학, 정신보건학, 사회복지학, 그리고 간호학 분야에서 1970년대 중반부터 학문적 주제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Liu & Robertson, 2011), 경영조직에서의 문제해결 대안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다. 조직에서 작업장 영성 및 일터영성은 문제해결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지만, 포괄적 모델을 제안할 수 있는 체계적 수준의 실증연구는 그렇게 많지 않다.
    일터영성은 학자들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여러 차원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개인수준에서 자신이 수행하는 일과 일터에 대해 지각하는 영성을 포함하여, 집단 및 조직수준에서의 공동체 단위에 대한 영성까지 그 범위와 연구내용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일터영성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립하고 정확한 측정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과, 일터영성이 개인차원과 집단차원, 그리고 사회적 및 조직전체 차원의 심리적 변인들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 노력이 함께 요청된다.
    일터영성이 산업 및 조직효과성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들은 구체적으로 확인된 내용들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조직에서의 영성연구는 일터영성과 영성리더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일터영성의 긍정적인 결과들로 몰입의 증가, 만족도 상승, 조직시민행동 증가 등의 효과성이 일부 보고되어 왔다(Czaplewski & Ferguson, 2003; Milliman, Czaplewski & Ferguson, 2003; Pawar, 2009). 하지만 일터영성이 구성원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소진, 철회행동 등의 부정적 태도 및 행동에 대한 치유효과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개인이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경우, 이를 소진이라고 하며 소진에 처한 근로자들의 부정적 결과들에 대한 연구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소진은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감정적 탈진, 타인들에 대한 무감각 현상 그리고 직무수행 능력의 감소를 의미하는 개인적 성취감에 대한 낮은 인식 등으로 특징된다(Maslach, 1982; Cordes & Dougherty, 1993). 소진은 근로자들의 성과를 약화시키고,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어렵게 만든다(Babakus et al. 1999).
    이제 소진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관심은 소진의 치유를 가능하게 하여주는 특성들의 존재 및 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소진연구는 소진결과의 확인과 더불어 소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들을 확인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어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이제껏 소진연구에서 고려치 않았던 일터영성을 소진을 경감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새로운 변수로 들어 구체적 영향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1 : 산업 내 기업조직 환경을 바탕으로 영성과 일터영성에 관한 포괄적·체계적인 구성개념의 확인 및 일터영성의 치유효과를 확인하도록 한다.
    연구목적 2 : 선행연구자들의 다양한 일터영성 설명변인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업의 일터영성 측정척도들을 타당화 과정을 거쳐 새롭게 개발하도록 한다.
    연구목적 3 : 실증연구를 통하여 일터영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개인영성의 효과를 동시에 검증하도록 한다.
  • 기대효과
  • 연구결과의 기대효과를 학술적 기여와 사회적 기여도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의 학술적 기여
    일터영성은 최근 학문영역에서 많은 관심을 받으며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오고 있다. 1990년 후반기 이래 지난 15년 동안 국내외 연구활동을 분석한 결과, 과거에는 주로 건강, 상담, 치료, 교육, 사회복지 분야에서 일터영성이 연구되어왔으나 최근 산업 및 조직 분야에서의 연구들이 부분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일터영성에 대한 연구를 지배하는 확정적이며 동의된 통합적 연구모형이 부재한 현실이다. 더욱 일터영성과 다양한 작업자 행동영역, 집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문화와 연계된 조직전체와의 관계 등 밝혀진 부분이 거의 전무하다.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볼 경우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학술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이론적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가 일터영성과 조직구성원들의 소진 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개인의 영적성숙도가 일터영성과 소진 간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영적성숙도라는 개인 특성변수가 일터영성과 소진 연구에 중요한 영향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후 영적성숙도 변수 외에 일터영성과 소진을 조절하거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개인적 혹은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2. 사회적 기여도
    일터영성에 관한 연구는 종교의 종파적 논쟁과 거리가 멀다. 일터영성은 종교적 차원에서의 옳고 그름에서 자유로우며, 종파적 관점에서 해석하려 하는 것에서 명확하게 구분된다. 종교적 관점은 신에 이르는 유일한 길과 구원을 표방하고, 일부 자신의 종파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은 배척하기도 한다. 이런 종교적 속성을 일터영성으로 해석한다면 조직목적과 존속이유, 고객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기 어려우며, 구성원들의 도덕과 안녕에 대한 가치도 손상을 받게 될 것이다(Fry & Slocum, 2008).
    이처럼 종교적 관점을 벗어나 일터영성을 논한다는 것은 기존 종교적 편향에 사로잡힐 수 있다는 우려를 넘어 명확한 개념적 구획을 확립하고, 조직구성원들이 일과 조직이라는 환경속에서 자신의 존재적 의미와 가치를 찾고 더 나은 삶을 지향하고자 하는 깊은 갈망을 이해하는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무적 측면에서는 첫째, 일터영성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부정적 태도와 행동양상을 일부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영적성숙도 수준에 따라 소진이 완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일터영성과 더불어 개인의 영적성숙도 또한 중요한 예방관리 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동안 소진예방은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의 통제를 바탕으로 하는 관리적 방안이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터영성 관리를 통하여 소진 관리를 할 수 있음을 말해주게 될 것이다.
  • 연구요약
  • 국내에서 일터영성을 다룬 연구는 매우 드물다. 한국학술정보원(KISS)을 통한 일터영성 관련 연구논문을 검색한 결과 먼저 사회복지 및 상담심리학 등의 영역에서 일부 확인되었고, 산업 및 조직심리학 혹은 조직행동 영역에서의 일터영성에 관한 논문은 손으로 꼽을 수준이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일터영성에 대한 논문들을 주제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영성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한 연구들이 있다. 일터영성과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문헌검토와 기존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개념적 정의와 모델을 도출하고 향후 일터영성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거나, 한정된 조직을 대상으로나마 일터영성 모형의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둘째, 조직수준에서 영성을 다룬 연구들이 일부 존재한다. 먼저 조직에서 영성이 어떻게 실행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하여 일터영성을 인적자원개발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거나, 사회적 기업의 일터영성이 조직에 미치는 긍정적 결과를 다루기도 하였다. 셋째, 영성리더십을 기반으로 영성을 다룬 연구들이 일부 확인되었다. 영성리더십(Spiritual leadership)이 구성원들의 지식창출 및 지식공유 행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거나, 구성원의 소명의식을 통해 조직몰입을 상승시켜준다는 보고서 등이 있다.
    그러나 일터영성이 산업 및 조직현장에서 경험하는 구성원들의 정신적인 스트레스 혹은 소진을 치유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가를 입증할 만한 실증연구는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아울러 국내 기업의 현실에 적합한 일터영성의 타당한 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또한 부족하여,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는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개는 첫째, 일터영성의 개념적 구조화작업을 통한 척도개발을 시행한 후 둘째, 개발된 일터영성 측정척도를 활용하여 조직관련 변수로 소진을 들어 그 관계를 확인하려 한다. 연구자는 일터영성의 특성과 소진의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연결짓기 위한 시도를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종교적, 사회적, 교육적, 간호 차원에서 영성의 치유효과를 기반으로 시행된 연구결과들의 차용도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자들 사이에서 조직과학영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축을 담당하는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해 왔다. 일터영성이 어떻게 조직 효과성을 가져오는지(대부분 긍정적 관련성을 보유하고 있음)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밝히는 것이 연구자들의 주요 연구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터영성에 대한 이론적 실체를 심도있게 살펴보고, 일터영성에 대한 논리적 프레임을 제시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보았다.
    일터영성에 대한 주요 관심은 일터영성이 조직성과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실증적 연구를 시행하여 첫째, 일터영성의 개념적 구조화를 시도하였다. 일터영성의 개념은 총 4가지로 개념화할 수 있으며 이는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 일에 대한 소명의식, 타인에 대한 공감, 조직에 대한 공동체의식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이러한 일터영성은 소진을 구성하는 감정적 탈진, 비개인화, 낮은 성취감 등과 모두 의미있는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적성숙도는 일터영성과 소진(감정적 탈진과 성취감 정하)의 관계에 있어서 부분적인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 영문
  • Growing interest in workplace spiritualit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paradigm in organizational science. Theoretical assumptions abound as to how workplace spirituality might enh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st postulating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Here, that body of research has been reviewed and analyzed, and a resultant values framework for workplace spirituality is introduced, providing the groundwork for empirical testing.
    One important question in the field of workplace spirituality concerns the relationship of this construct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attempts to make a rigorous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three prevalent employee burnout outcomes. It assess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s used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hich indicate that each of the four dimensions of spirituality used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ll of three employee burnout variables examined.
    Spiritual maturity mode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emotional exhaustion. Also the moderated effect of spiritual maturity was confo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This study indicat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contributed to explaining burnout outcomes with indicators of spiritual matur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직과학영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축을 담당하는 일터영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해 왔다. 일터영성이 어떻게 조직 효과성을 가져오는지(대부분 긍정적 관련성을 보유하고 있음)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주요 연구분야이다. 본 연구에서 일터영성에 대한 이론적 실체를 살펴보고, 일터영성에 대한 논리적 프레임을 제시한 후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보았다.
    일터영성에 대한 주요 관심은 일터영성이 조직성과와 어떤 관계를 맺고있는가이다. 먼저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첫째, 일터영성의 개념적 구조화를 시도하였다. 일터영성은 자신을 넘어서는 초월의식, 일에 대한 소명의식, 타인에 대한 공감, 조직에 대한 공동체의식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이러한 일터영성은 소진을 구성하는 감정적 탈진, 비개인화, 낮은 성취감 등과 모두 의미있는 관련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적성숙도는 일터영성과 소진의 관게에 있어서 일부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학술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이론적 관점에서 본 연구 결과가 일터영성과 조직구성원들의 소진 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개인의 영적성숙도가 일터영성과 소진 간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영적성숙도라는 개인 특성변수가 일터영성과 소진 연구에 중요한 영향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추후 영적성숙도 변수 외에 일터영성과 소진을 조절하거나 관계를 매개할 수 있는 개인적 혹은 심리적 변인들에 대한 심층적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일터영성에 관한 연구는 종교의 종파적 논쟁과 거리가 멀다. 일터영성은 종교적 차원에서의 옳고 그름에서 자유로우며, 종파적 관점에서 해석하려 하는 것에서 명확하게 구분된다. 종교적 관점은 신에 이르는 유일한 길과 구원을 표방하고, 일부 자신의 종파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은 배척하기도 한다. 이런 종교적 속성을 일터영성으로 해석한다면 조직목적과 존속이유, 고객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기 어려우며, 구성원들의 도덕과 안녕에 대한 가치도 손상을 받게 될 것이다(Fry & Slocum, 2008).
    이처럼 종교적 관점을 벗어나 일터영성을 논한다는 것은 기존 종교적 편향에 사로잡힐 수 있다는 우려를 넘어 명확한 개념적 구획을 확립하고, 조직구성원들이 일과 조직이라는 환경속에서 자신의 존재적 의미와 가치를 찾고 더 나은 삶을 지향하고자 하는 깊은 갈망을 이해하는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실무적 측면에서는 첫째, 일터영성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부정적 태도와 행동양상을 일부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영적성숙도 수준에 따라 소진이 완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일터영성과 더불어 개인의 영적성숙도 또한 중요한 예방관리 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동안 소진예방은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의 통제를 바탕으로 하는 관리적 방안이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터영성 관리를 통하여 소진 관리를 할 수 있음을 말해주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일터영성, 영적 성숙도, 소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