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윤리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 및 직무성과: 한국과 미국에서의 현장 연구
Ethical Leadership, Proactive Behavior, and Job Performance: A Cross-Cultural Field Study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2A1A01026212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7월 13일 ~ 2016년 07월 12일)
연구책임자 이동섭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조직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경영상의 화두 중 하나는 윤리적 리더십이다. 오늘날 포춘(Fortune)지가 선정한 500대 기업의 95% 이상이 윤리경영을 공식적으로 도입할 만큼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윤리적 리더십의 역할에 대한 기업의 이해는 아직 당위적이고 규범적인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 또한 공존하고 있다. 이처럼 상반된 현실은 윤리경영 이념을 전파시키고 건전한 문화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윤리적 리더십이 과연 구성원들의 성과에도 기여할 수 있을지 많은 기업이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데 상당부분 기인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진단에서 출발한다.

    최근 선행연구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들의 태도나 직무외적인 행동과 관련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지고 있음에 반해, 조직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결과변수 중 하나인 구성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이해는 매우 빈약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인과적 과정 모형에 입각하여 윤리적 리더십이 어떤 행동적 과정을 통해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논리적인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검증한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결과적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나 형식적인 수사를 넘어서, 구성원의 행동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성과에 기여하는지 구체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수준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윤리적 리더십과 성과 간 관계의 행동적 매개 과정에 대한 규명은, 윤리적 리더십이 규범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넘어 구성원의 성과에도 실질적으로 도움을 주는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할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행동적 메커니즘으로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proactive behavior)의 역할에 주목한다. 선제적 행동은 주어진 조건에 수동적으로 반응하기보다 환경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환경을 만들기 위해 주도력을 가지고 현상에 도전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복잡성, 불확실성,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있는 과업환경으로 인해 조직구성원이 전통적인 직무기술서에 담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만으로는 성과를 담보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구성원의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행동은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구라 할 수 있다. 또한, 상당한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도전적 행위인 선제적 행동의 발현은 윤리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가지고 일관되게 행동하는 리더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을 촉진할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직무성과에 기여할 것으로 제안한다.

    윤리적 리더십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가 지닌 또 하나의 한계점은 윤리적 리더십과 결과변수들 간 관계의 경계조건, 즉 언제, 어떤 조건에서 그 관계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지에 대한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value congruence)에 의해 조절될 것으로 제안한다. 리더의 가치관과 구성원 자신의 가치관의 유사성 정도를 의미하는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은 리더의 윤리적 행동의 해석 과정에 영향을 줌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을 이끌어내는 과정을 조절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효과의 행동적 메커니즘과 이러한 메커니즘이 강화될 수 있는 경계조건을 동시에 고찰한 최초의 시도라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의 매개변수인 선제적 행동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자율성과 자기고양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시되는 미국에 비해 한국의 조직에서 윤리적 리더십, 선제적 행동, 직무성과, 가치정합성 간의 복합적 관계가 어떠한 양상으로 펼쳐질지는 실증을 통해 파악할 수밖에 없는 문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에서 동일한 연구모형과 동일한 측정도구를 활용한 체계적인 비교를 통해 문화적 차이에 따른 윤리적 리더십의 기능과 효과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도모한다.

    요컨대,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 직무성과 간 관계의 설명적 과정모형을 제시하고, 구성원 선제적 행동의 매개 역할을 검증한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과정에 대한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셋째, 이상의 관계들에 대한 고찰을 한국과 미국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제안된 연구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문적인 것과 실무적인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학문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에게 윤리적 가치를 전파하고 윤리적 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리더의 윤리적 행위가 구성원 성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행동적 메커니즘을 통해 규명한 최초의 시도에 해당한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태도 또는 직무외적인 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머물러 왔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 관계의 행동 메커니즘에 대한 탐색 노력은 향후 리더십 효과의 다양한 인과적 매개과정에 초점을 둔 후속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의 가치정합성을 윤리적 리더십 발현과정의 조절변수로 고려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의 기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돕는다. 그동안 윤리적 리더십에 쏟아진 많은 관심에 비해, 윤리적 리더십 효과가 어떤 조건에서 강화되거나 약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는 거의 축적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과정적 경로와 경계조건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보다 정교하면서도 포괄적인 접근방식을 취한다. 리더와 구성원 간의 가치정합성을 윤리적 리더십 효과의 조절변수로 검증하는 본 연구의 시도는 향후 다양한 개인차 변수와 상황적 변수를 추가적인 조절변수로 고려하는 후속연구를 파생시켜, 윤리적 리더십 효과의 경계조건에 대한 더욱 풍부한 이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에서의 동시 현장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의 타당화와 일반화에 함께 기여한다. 예컨대, 현재 미국을 중심으로 이론적, 실무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선제적 행동 개념을 윤리적 리더십이 성과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주요 행동 메커니즘으로 고려함으로써, 문화적 차이가 있는 한국 상황에서도 선제적 행동의 잠재적 기능과 역할이 발현될 수 있을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외 학술대회와 국제학술지를 통해 세계의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적극적으로 공유될 것이다. 오늘날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과 구성원 선제적 행동의 필요성이 비단 특정 국가와 지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바, 연구결과에 대한 지역별 반복연구, 국가별 비교연구, 연구모형의 확장을 통한 재연구 등 다양한 형태의 후속연구가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학부생 대상의 리더십 과목과 대학원생 대상의 세미나에도 적극 활용되어 교육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나아가 미래의 윤리적 리더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또한 다음과 같은 실무적 기대효과를 가진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성과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과를 통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기업들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대다수 기업들이 윤리적 리더십에 대해 당위적 수준의 중요성을 인정하는 데 그친 반면, 실질적으로 조직의 성과에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여 온 것이 사실이다. 윤리적 리더십이 규범적 가치를 넘어 성과에 도움을 주는 실질적 가치를 지닌다는 연구결과가 공유됨으로써, 관리자 선발 및 개발 과정의 핵심 항목으로 윤리적 리더십이 강조되고 그 필요성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선제적 행동의 매개 역할은 윤리적 리더십 프로그램이 지향해야 할 목표를 구체화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선제적 행동은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를 매개하는 변수이자 최종적인 직무성과의 행동적 선행변수로 기능하며,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개인의 태도변수에 비해 가시적이고 객관적인 평가에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각급 조직의 윤리적 리더십 프로그램의 내용을 추상적인 당위성 강조에 머무르지 않고 선제적 행동 고양이라는 구체적 목표를 지닌 행동전략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내용적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효과에 대한 조절변수 검증을 통해, 리더의 윤리성뿐만 아니라 리더와 구성원 간의 가치정합성에도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구성원이 리더의 가치를 받아들일 때 선제적 행동 및 직무성과에 대한 윤리적 리더십 효과가 더욱 강화된다는 결과는, 리더가 자신의 윤리성에 입각하여 구성원의 바람직한 조직행동을 장려함과 동시에 구성원이 리더의 가치관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노력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관리자들이 교육훈련과 다양한 비공식 채널을 활용하여 조직과 개인의 가치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하고, 나아가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을 제고하는 데 노력을 경주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및 내용

    윤리적 리더십의 당위적이고 규범적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윤리적 리더십이 과연 조직의 성과에도 도움이 되는 것인지, 도움이 된다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과에 기여하는 것인지에 대한 이해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업의 복잡성, 불확실성, 상호의존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오늘날의 조직에서 요구되는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의 중요성과 위험감수가 불가피하게 내포된 선제적 행동의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 직무성과 간 관계의 행동적 매개변수로서 선제적 행동을 제안하고 그 역할을 검증한다. 이와 함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을 촉진하고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과정에 대한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효과의 작동 조건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도모한다. 또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을 한국과 미국의 기업현장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제안된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은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가설 2: 선제적 행동은 직무성과와 정(+)의 관계를 가질 것이다.
    가설 3: 선제적 행동은 윤리적 리더십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가설 4: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은 윤리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즉, 가치정합성이 높을수록 관계의 강도가 높아질 것이다.
    가설 5: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이 높을수록 윤리적 리더십이 선제적 행동을 통해 직무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강해질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 선제적 행동, 직무성과,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 간의 복합적 관계가 한국과 미국의 표본에서 각기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핵심사항은 한국과 미국에서의 동시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문항의 구성, 응답자의 익명성 보장, 연구모형에 전제된 인과적 관계에 대한 합리적 추정을 위한 적절한 자료수집절차 및 통계기법의 활용 등을 포함한다. 첫째, 한국에서의 자료수집을 위해 비교문화연구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역번역(back-translation) 절차를 통해 문화적 차이로 인한 설문문항의 의미차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둘째, 개별 응답자의 익명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구성원과 상사로부터 수집한 자료 간의 매칭을 가능케 하는 설문기법을 사용할 것이다. 셋째, 인과적 매개 및 조절 과정을 포함하는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다원천 자료를 활용한 종단적 연구설계를 계획한다. 구체적으로, 2015년 8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한국과 미국의 기업 현장에서 자료가 수집될 예정이다. 자료원천은 윤리적 리더십과 선제적 행동의 중요성이 충분히 내재된 업무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상품개발자, 연구개발인력 등 전문가 수준의 구성원(한국과 미국에서 각 500명씩)과 그 상사로 구성될 것이다. 선행변수와 조절변수, 매개변수, 결과변수 별로 시점을 나누어, 윤리적 리더십과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은 구성원의 응답을 통해 시점 1에,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과 직무성과는 해당 구성원의 상사의 평가를 통해 각각 시점 2와 시점 3에 측정한다. 시점별 시차는 약 2개월 정도로 상정한다. 이러한 종단적 설계와 다원천 자료수집은 기존 연구에서 문제가 되어온 동일방법편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여 변수 간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자료검사를 위해 신뢰도 측정,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고, 가설 1-3의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함께 사용할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은 변수의 측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직접적으로 분석에 반영하여 보다 안정적인 추정치를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잡한 매개과정을 동시에 통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매개가설 검증의 경우, 전통적인 Barron & Kenny 접근법 및 Sobel test와 더불어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간접효과 검사를 복합적으로 진행한다. 가설 4의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함께 단순기울기분석을 이용, 정확하고도 직관적인 해석을 도모한다. 가설 5의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의 경우,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통계기법으로 최근 고안된 Hayes(2012)의 PROCESS 프로그램을 통해 검증한다. 또한, 한국과 미국 표본의 결과를 비교하는 탐색적 연구문제를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응용한 하위집단별 모형비교(subgroup model comparison analysis) 기법을 활용할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 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행동적 메커니즘으로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의 역할에 주목한다. 불확실성과 상호의존성이 증대되고 있는 과업환경으로 인해 조직구성원이 전통적인 직무기술서에 담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만으로는 성과를 담보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구성원의 보다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행동은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요구라 할 수 있다. 또한, 상당한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도전적 행위인 선제적 행동의 발현은 윤리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가지고 일관되게 행동하는 리더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나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 영문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mployee job performance, focusing on the behavioral mechanism underlying the relationship. As contemporary work typically involves a higher degree of complexity, interdependence, it is hardly possible to exp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out employees’ nimble responses to customers’ demands, technical problems, or environmental requests in today’s organizations. By changing the ways of work of others or broader rules and procedures in the organizati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s help the organization actively seek new opportunities for growth and innovation, detect ongoing problems, and prevent a recurrence of problems. Moreover, given the risk-taking nature of proactive behavior, we propose that employees’ perceptions of their leaders’ ethicality are their prime consideration for the enactment of proactive behaviors. The hypotheses are test with field data from 500 pairs of employees and their supervis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조직구성원 선제적 행동의 중요성과 위험감수가 불가피하게 내포된 선제적 행동의 성격을 함께 고려하여, 윤리적 리더십과 구성원 직무성과 간 관계의 행동적 매개변수로서 선제적 행동을 제안하고 그 역할을 검증한다. 이와 함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선제적 행동을 촉진하고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과정에 대한 리더-구성원 가치정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윤리적 리더십 효과의 작동 조건에 대한 보다 정교한 이해를 도모한다(Brown & Trevino, 2006b). 또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을 기업현장에서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제안된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는 자료검사를 위해 신뢰도 측정,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고, 매개 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함께 사용한다.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분석과 함께 단순기울기분석을 이용, 정확하고도 직관적인 해석을 도모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와 궁극적으로 국제학술지 출판을 통해 세계의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에게 적극적으로 공유될 것이다. 오늘날의 조직 및 경영환경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과 구성원 선제적 행동의 필요성이 비단 특정 국가와 지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바, 연구결과에 대한 지역별 반복연구 및 국가별 비교연구, 또는 연구모형의 확장을 통한 재연구 등 다양한 형태의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결과는 학부생 대상의 리더십 과목과 대학원생 대상의 리더십 세미나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교육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나아가 미래의 윤리적 리더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윤리적 리더십, 선제적 행동, 직무 성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