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위진남북조 시기 생태적 다양성의 확대와 국가
Ecological Diversity and the State in Early Medieval Chin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2A1A0102699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2월 14일 ~ 2017년 02월 13일)
연구책임자 김석우
연구수행기관 원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표는 다섯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서구 학계에서 제기된 환경사 연구의 방법론과 위진남북조 시대 역사의 구체적인 모습을 결합해 볼 것이다. 서구 환경사가들은 그동안 역사가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던 코끼리나 호랑이 등의 움직임에 주목하여, 환경사의 궤적을 성공적으로 그려내었다. 신청자는 이러한 선행 연구들을 정리하고 그 장점과 문제점을 이해하는데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환경사 연구는 역사의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는데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할 것이며, 그러한 각도에서 서구 학계의 연구도 비판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관련 사료들을 검토하는데 만전을 기할 것이다. 서구 학자들의 연구는 거시적인 관점에서는 유용하지만, 구체적인 문제들에서는 허술한 부분이 적지 않다. 이 점은 고중세 시기의 서술 부분에서 더욱 확연한데, 이러한 문제는 1차 자료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부족한 탓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는 비단 영어권 학자들에게만 국한되는 것도 아니다. 正史 자료들에는 환경사 연구에 유용한 사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환경사라는 새로운 문제의식의 도입은 기왕의 사료들에 대한 철저한 재검토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1차적으로 正史 자료를 정밀히 검토할 것이며, 출토 문헌이나 文物 자료들도 필요한 수준에서 참고할 것이다. 셋째, 환경 문제의 시 공간적 분석을 시도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중국 고중세 시기의 환경사 연구는 거시적인 특성이나 몇 가지 주제들에 대하여 논의하여 왔으나, 분석의 단위는 모호했다. 위진남북조 시대의 자연 환경의 특징으로는 주로 기후의 한랭화 현상이 지목되어 왔다. 당시의 기후 변화는 중국 뿐 아니라 동아시아 지역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그러한 변화가 모든 지역에서 일률적일 수는 없을 것이며, 인간 사회의 대응 양식도 지역과 인간 집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또한 시기적으로도 늘 같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북방의 초원, 화북 평원, 장강 이남 지역, 서북의 사막, 남방의 해안 지역 등 공간의 차이를 고려할 것이며, ‘중국’의 범위를 넘어 동아시아 지역의 환경사로 논의의 확대를 모색해 볼 것이다. 또한 한랭화 현상을 시기적으로 세분하여 각각의 해당 시기 역사 상황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넷째, 학제 간 연구에 노력할 것이다. 환경사 연구를 위해서는 자연 과학에 관해서도 일정한 이해가 필요하다. 코끼리와 호랑이 등의 서식 범위를 환경 변화의 척도로 활용한 일은 한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작물의 생장 시기에 관한 기사에서도 환경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다. 역학 이외의 다양한 지식은 기왕에 주목하지 않았던 사료들의 활용도를 높힐 것이다. 다섯째, 국가와 자연 환경 사이의 상호 관계를 탐구할 것이다. 그동안 기후의 한랭화는 위진남북조 시대의 환경 변화의 최대 요인으로 손꼽혀 왔으나, 인간 사회가 자연 환경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반면에 신청자는 기후의 변화보다는 전쟁 준비 등 국가의 활동이 환경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연구해 왔다.위진남북조 시대에는 대규모 전쟁 준비를 위하여 국가가 자연 자원을 최대한 조직화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한 국가의 역할은 생태 환경에 막대한 압력을 가하였다. 하지만 거꾸로 환경의 변화가 국가에 미친 영향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위진남북조 시기는 남부 뿐 아니라 변경 지역으로 ‘중국의 확대’가 가속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획득된 생태 환경의 다양성은 수당 시기 세계 제국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지 않았을까 추정해본다. 신청자는 이와 같은 환경과 인간 활동의 적극적인 상호 관계를 검토하는 것을 최종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 기대효과
  • 연수자의 연구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기대 효과 및 활용 방안을 가질 수 있다고 본다. 첫째, 한국에서 환경사 연구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한국의 학계에서 환경사를 공동 주제로 내거는 일이 여러 차례 있었다. 하지만 아직 연구 인력이나 축적된 연구 업적으로 보면 더 많은 역량의 축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주변 국가의 관련 학자들을 초청하거나 관련 서적이 신속히 번역 소개될 필요도 있을 것이며, 이 분야에서 창의적인 연구 성과가 나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신청자의 연구도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둘째, 환경사 연구는 한국의 역사학계가 세계 학계와 교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학 뿐 아니라 한국의 인문학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세계 학계와 교류할 수 있는 보편성을 갖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세계 학계의 연구 흐름에 관심을 갖고 문제 의식을 공유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환경사는 세계 역사학계의 흐름을 선도하는 새로운 분야이며, 사회적으로 관심을 모으는 주제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한국 학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필요가 있다.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축적된 수준 높은 실증적 전통이 환경사의 문제의식과 조우할 경우 창의적인 연구가 생산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셋째, 환경사는 역사학이 사회와 소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환경 위기는 현재의 인류가 처음 경험하는 일이 아니며 인류의 역사 안에서 그 선례를 찾을 수 있다. 환경사가들은 그 점에서 사회 구성원들에게 환경 문제에 대한 균형있는 대응 자세에 대하여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학을 포함하여 인문학의 위기가 학문과 사회의 소통이 단절됨으로써 발생한 것이라면, 환경사 연구는 그러한 장벽을 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신청자의 연구도 그러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넷째, 환경사 연구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상호 수용할 수 있는 공통의 역사 이해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글로벌한 환경 문제에 대한 역사적 이해는 국가의 범위를 넘어서는 역사를 세우는 데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물은 동아시아 구성원들에게 무리없이 공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현재의 상황은 역사의 문제가 갈등을 조장하는 면이 있는데, 그럴수록 환경사의 글로벌한 이해의 폭이 중요한 의미를 지닐 수 있는 것이다. 환경과 자원 등의 문제는 동아시아 국가들이 함께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공통의 관심사이기 때문에 상호 이해가 가능한 역사 이해도 그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촉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 연구요약
  • 위진남북조 시대의 자연 환경은 기후의 한랭화 현상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신청자는 국가가 환경의 변화에 미친 역할에 관심을 집중할 것이며, 연구의 가제목을 “위진남북조 시대 생태적 다양성의 확대와 국가”라고 설정한 이유도 여기에 있다. 1장 “삼림과 동식물 자원의 변화”에서는 지역별로 삼림과 동식물 자원의 변화상을 검토할 것이다. 화북의 난온대 낙엽 활염림 지대에서는 국가의 주도 아래 삼림 자원의 감소가 이루어졌다. 많은 평원 삼림 지대가 간벌로 사라졌고, 연료로 사용할 목재도 확보할 수 없는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었다. 하지만 그에 비해 서북부의 황토고원 지대나 華東, 華中, 西南 등지의 아열대 상록활엽림 지대에는 여전히 원시적인 삼림 자원이 풍부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무소와 코끼리, 호랑이, 앵무새, 대나무 쥐(竹鼠) 등은 이러한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하였다. 하지만 북방 국가들의 대규모 牧地 조성과 남방 국가들의 대규모 산림수택 개발 등은 이러한 지역에서도 생태 환경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2장 “수로망의 확충”에서는 국가가 적극적으로 수로 체계의 정비에 나선 정황을 살피겠다. 위진남북조 시대의 하천 수계는 크게 黃河, 淮河, 海河 水系, 長江 水系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 가운데 淮河 수계가 국가에 의해 많은 변화되었다. 이 시기 남북 국가 간의 전쟁은 주로 水軍을 동원하여 치러졌으며 淮水와 長江 하류 지역이 주요한 전장이 되었다. 국가는 이곳에 수로를 새롭게 개착하고 저수지를 인위적으로 조성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생태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조조는 화북 지구에서 渤海로 유입되는 하천들을 하나로 묶어 海河 수계망을 만들었는데, 북방의 정치 세력을 통합하는 전쟁을 위하여 조운망을 건설한 결과였다. 이와 같이 하천 생태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국가의 역할을 검토하는 것이 이 장의 내용이 된다. 3장 “인구 이동· 전쟁과 전염병의 확산”에서는 전염병의 확산에 대하여 검토할 것이다. 후한 말 이후에는 강남 지역은 본격적인 개발되었으며 ‘중국’ 문화의 또 다른 중심 지역으로 변모하게 된다. 그런데 漢代에는 이 지역에 화북민들이 이주할 경우 호전적인 비한족 이외에도 말라리아와 뎅기열 등 열대의 풍토병의 공격을 받았다. 강남에 거주하는 인구는 희박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었다. 그런 점에서 강남으로 인구가 남하할 수 있었던 것은 면역력이 생긴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당시의 전염병은 전쟁의 상황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가가 주도하는 전쟁은 다양한 생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을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전염병의 추이는 ‘중국의 확대’ 과정을 공간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4장 “생태 환경의 다양성과 통일제국의 형성”에서는 위진남북조 시대의 환경 변화가 어떠한 역사적 결과를 낳았는가에 대하여 살필 것이다. 여러 국가들의 병립 항쟁과 국가 주도의 환경 개조 등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생태적 환경의 변화가 촉진되었고, 그러한 기반 위에 수당의 통일 제국이 설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전쟁을 위해 개착한 화북의 수로망이 수당대 대운하의 체계로 발전되어 남과 북의 생태 환경을 연결한 것은 하나의 예가 될 수 있다. 또한 농경지대와 사막, 초원, 해안 지역이 하나의 정치 조직 안에서 연결되고, 다양한 생태 환경을 넘나드는 인간 활동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은 면역 체계의 발전이 선행되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수당의 세계제국이 출현한 이유를 생태 환경사의 관점에서 찾아보는 것이 이 장의 내용이며, 이 연구의 목표이기도 하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생태 환경사의 관점에서 위진남북조 시대의 역사를 조명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과거의 연구가 위진남북조 시대 자연 환경의 변화가 인간 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면, 이 연구에서는 인간 집단 특히 국가가 환경에 미친 영향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새로운 시도가 아닐까 생각하며 그러한 시각에 흥미를 갖는 사람들에게 위진남북조 역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각별히 이 글에서는 위진남북조 시대에는 인구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삼림이 함께 감소하는 특이한 현상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즉 당시 삼림의 감소에는 자연적 요인 이외에도 인위적인 힘이 작용했던 것으로 보았고, 무엇보다 국가가 그러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보았다. 이 점을 화북의 목축업, 강남의 旱作 농경, 전쟁을 위한 수리 시설의 확중, 전염병의 발생과 전쟁의 긴밀한 관계 등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그러한 논의를 통하여 중국의 생태 환경사가 국가의 주도하여 전개되는 특징이 있음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전쟁과 생태 환경의 관계에 대한 우리의 관심을 넓힐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 영문
  • In Chinese Early Medieval Times, beginning with the fall of Han Dynasty, there were frequent wars because of the southward advance of the northern race and the emergence of many kingdoms. Studies of those wars are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is period. Chinese Medieval Times was also a time of many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e climate became colder, a canal was constructed between the north of the Yellow River and the Yangtze River, and the Chinese civilization built along the Yellow River was expanded to the remote regions south of the Yangtze River.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done yet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two most notable phenomena of the tim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crease of wars and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in Chinese Medieval Times will be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war and environment in general.
    And in the Chinese Early Medieval Times, the population was decreased and the forest was also destroyed by state. Northern states, nomadic regimes, made huge ranches in the previous farming lands or forests. And the southern Han states claimed the mountains for their people’s farming. Because of the fear of malaria, northern immigrants generally made their home in the southern mountains. And the state made a various irrigation facilities in the mountain areas for their war. By these reasons, in spite of the population decline, the woods also decreased in that time. So this paper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environmental pattern closely related with the state.
    This type of research will be beneficent to both the field of environmental history and war history. More broadly within the global field of environmental history, this study could be an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wars on the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생태 환경사의 관점에서 위진남북조 시대의 역사를 조명하고자 한 것이다. 과거의 연구가 위진남북조 시대 자연 환경의 변화가 인간 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심을 두었다면, 이 연구에서는 인간 집단 특히 국가가 환경에 미친 영향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자연과 인간의 상호 관계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생태 환경사의 관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장에서는 이와 같은 취지를 설명하였다. 2장 “삼림의 감소와 華北의 牧畜業”에서는 위진남북조 시대에 인구가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삼림의 복개율이 감소하는 특이한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 현상은 전체 중국의 인구와 삼림 간의 관계에 비추어 볼 때 유일하게 예외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자연적인 요인 이외에 국가의 인위적인 활동에 의해 삼림이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먼저 華北 지대에서 삼림이 감소한 주요한 원인의 하나로 牧畜業의 발전에 주목하였다. 그 결과 많은 삼림 지역이 초지로 변화되었다. 당시 목축업의 발전은 북조 시기 전쟁을 통해 포획된 가축의 수는 백만 두 혹은 수천 萬頭를 헤아릴 정도로 많았다는 사실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 국가는 河西와 平城, 漠南 지역 그리고 낙양 인근에 광대한 초지를 조성하여 가축을 사육하였다. 국가 뿐 아니라 화북 평원 지역의 일반 농민들도 축목업에 종사하였다. 인구 100만을 헤아린 鄴都의 경우 농경의 부진에도 그와 같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이유는 목축업의 발전에서 찾을 수 있었다. 당시 牧畜業의 발전은 <齊民要術> 등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 3장 “강남 旱地 농경의 영향”에서는 강남 지역의 주요한 농경 방식이 火耕 즉 山地를 불태워 삼림을 없애고 그곳에서 旱作을 하는 방식이었음에 주목하였다. ‘火耕水耨’란 산지에서 진행된 ‘火耕’과 평지의 ‘水耨’를 병칭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북에서 이주한 이주민들은 일반적으로 저습지 대신 山地에 올라가 火耕을 통해 개간하고 旱作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이 출현한 배경에는 저지대의 말라리아와 같은 풍토병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남방의 삼림이 훼손된 것은 이와 같은 山地 旱作의 유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았다. 4장 “수리 시설과 수로망의 확충”에서는 물의 관리라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위진남북조 시대 주요한 수리 사업은 사료에서 모두 98건을 볼 수 있다. 당시 黃河와 長江 수계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海河 水系와 淮水 水系 그리고 湖泊 등지에는 많은 수리 시설이 조성되었다. 그런데 이들 사업의 주요 목적은 軍屯의 灌漑와 같은 군사적 목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淮水 수계에 수리 시설이 집중되었던 것도 남북 국가 간의 대치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수리 사업 가운데 군사적 목적이 직접 드러나는 예는 전체 98건 중 31건 가량을 찾을 수 있다. 국가는 ① 鄧艾의 수리 사업이 보여주듯 軍屯의 灌漑, ② 泗陂의 예에서 보듯 군사적 水運網 구축, ③ 남조 국가의 예에서 보듯, 水災를 전쟁에 활용하려는 의도, ④ 그리고 浮山堰의 축조에서 보는 것처럼 水攻 등 군사적 목적 등을 위하여 수리 시설을 하였다. 하지만 군사적 목적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삼림 파괴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고, 방치되어 水害를 유발하였다. 5장에서는 전염병의 확산이란 문제를 보았다. 이 시대 전염병의 확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었다. 첫째로는 풍토병이 있는 남방 지구에 북방의 인구가 밀려들면서 말라리아가 확산된 것이다. 당시 이주민들이 고지대에 거주하면서 火耕을 통해 旱作을 하고, 陂堨 등 산지 수리 시설에 주로 의지했던 것은 풍토병을 피하기 위해서 였다. 둘째는 당시 전염병의 확대는 국가의 전쟁에 의해 촉진되었다. 위진남북조 시대 疫病의 발생 기사를 보면 겨울철 전쟁이 잦았던 위진시대에는 疫病의 발생 또한 겨울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당시의 역병이 국가에 의해 유발되었음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마지막 6장 맺음말에서는 중국 역사에서 생태 환경을 변모시킨 주요한 힘은 농업 생산 방식 뿐 아니라 전쟁 등 국가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중국은 이와 같이 강제적인 방식으로 자신들의 생산 방식과 정치 질서를 주변 지역으로 끊임없이 확신시켰다. 그것을 통해 다양한 주변 환경을 단일한 중국적 시스템으로 개조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국가의 주도적인 역할은 동시에 다양한 생태 환경을 포용하는 힘을 키우는 방향으로도 작용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처음 연구 계획서에 대한 심사평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이 글은 한 편의 논문으로 다루기에는 다소 많은 내용을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런 점에서 다소 개괄적인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개별 사안을 면밀히 검토하여 구체적인 환경사 연구의 준비 작업으로 삼고자 한다. 그런 이유에서 연수자는 이 글이 향후 다음과 연구를 활성하길 바란다.
    첫째, 이 연구는 아직 한국 학계에서 소수 분야인 환경사 연구를 촉진시킬 수 있다. 특히 고중세사 연구 영역에서그러하다. 환경사 연구는 한국의 역사학계가 세계 학계와 교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가질 것으로 본다. 한국의 동양사학계에서 축적된 수준 높은 실증적 전통이 환경사의 문제의식과 조우할 경우 창의적인 연구가 생산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둘째, 이 글을 작성하면서 기왕의 익숙한 正史 자료들 중에도 새로운 해석의 여지가 많다고 보았다. 생태 환경사의 연구는 기왕의 익숙한 문헌 사료에서 간과되었던 문제들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셋째, 환경사 연구는 동아시아의 국가들이 상호 수용할 수 있는 공통의 역사 이해를 만드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중국’의 범위 안에 갇혀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자평한다. 생태 환경의 변화는 국가 간의 경계와 무관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한반도와 일본 열도, 동남아시아 지역 등을 포괄하는 역사 이해에 생태 환경사가 적극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각도에서 동아시아 생태 환경사 이해가 앞으로 더 연구될 수 있는 디딤돌이 되길 희망한다.
    넷째, 생태 환경의 역사는 인간에 대한 역사이기도 하다. 중국 국가에 의해 변경의 환경이 변화를 강제받을 때, 그곳에 살던 사람들은 어떻게 대응하였을까라는 문제를 이 글은 미처 다루지 못했다. 이 문제는 통상 민족 관계사로 불리는 연구의 성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 이 글이 향후 그와 같은 연구가 진행되는데도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 색인어
  • 환경, 환경사, 생태 환경, 생태적 다양성, 자연, 국가, 위진남북조, 자연 재해, 기후, 기후 변화, 개간, 수리시설, 전쟁, 전염병, 인구 이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