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세계화 시대의 사회적 경제 패러다임과 경제윤리 - 독일 사회국가(Sozialstaat)에서의 새로운 경제윤리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Social Economy's Paradigm and Economy Ethic of the Era of Globalization - Focusing on Possibilities of the Emergence of New Economic Ethic within the German Social State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 #40;박사후국내연수&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1010816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7월 01일 ~ 2016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태근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수는 (경제)사회학, 사회복지학의 연계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본 연수는 1년형 국내연수로서 문헌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모델을 구성하고 이어서 독일의 사기업, 사회적기업가정신에 의한 기업 그리고 사회적 내부분화기업의 사례들을 찾아 사회적 경제윤리의 형성 가능성과 모델의 적합성을 증명할 계획이다. 주로 독일자료를 기초할 것이며, 연수가 시작되면 7월과 8월에 복지국가관련 자료를 취합하여 정리할 것이다. 약 2달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생각하는 이 작업 후(2015년 9월과 10월)에는 CSR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고 히스와 쿠르바흐의 연구를 토대로 CSR의 내부분화와 실천 기업들의 사례를 찾아볼 것이다. 2015년 11월과 12월에는 사회적기업에 관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과 함께 행위자 중심의 제도주의 이론과 사회적 자본의 이론 연구도 병행해서 진행할 계획이다. 사회적기업에 관한 자료는 사회적기업가정신과 사회적 내부기업가정신으로 분리하여 정리하고 비르크횔쩌와 얀센 등의 사례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2016년 1월, 2월, 3월에는 먼저 경제윤리의 최근 연구를 찾아서 분석할 것이다. 여기에는 경제학자이면서 경제윤리에 관심을 가지는 피터 울리히의 연구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는 통합적 경제윤리(integrative Wirtschaftsethik)란 개념으로 근대사회의 경제를 설명한다. 본 연구는 그의 이론에 뮌히의 상호침투 이론, 쉬망크의 사회체계의 행위자이론, 그리고 마인츠와 샤르프의 행위자중심의 제도주의를 결합하여 하나의 경제윤리모델의 윤곽을 그려볼 것이다. 2016년 4월과 5월에는 이러한 과정에서 정리된 연구를 바탕으로 논문의 초고를 작성할 것이다. 그리고 5월이나 6월에 있을 사회학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 기대효과
  • 한국의 복지연구는 영미권의 연구경향들을 반영하고 있다. 영미권의 연구가 세계를 주도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복지국가가 하나의 흐름으로 수렴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국가의 틀에서 국가사회의 고유한 속성을 가지기 때문에 여러 국가사회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매우 클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수가 문헌연구를 통해 독일 복지국가의 변화과정을 살피는 이유이다.
    복지국가의 위기 속에서도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이나 사회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독일의 경우는 여러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수는 자본주의경제의 위기가, 또한 복지국가의 위기가 언급되는 세계화 시대에 자본주의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에 의해 주도되어 사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디스토피아적 사회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완하는 새로운 대안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비록 국가의 기능이 약화되지만 그것과 병행하여 나타나는 기업의 CSR이나 사회적 경제 혹은 사회적 기업의 이론연구나 실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런 연구와 실천들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수는 단순히 국가의 사회정책적 변화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별개로 연구되었던 CSR과 사회적기업의 연관까지도 다룰 것이다. 먼저 본 연수신청자는 국가가 사회정책을 변경하는 방식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CSR을 기업의 내부책임과 중간책임 및 외부책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세계화와 함께 내부책임이 소홀히 다루어짐으로써 나타나는 고용과 노동조건, 빈곤의 문제로 인해 사회적기업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본 연수신청자는 주주자본주의에서 이해당사자들을 고려하는 CSR 및 지역공동체의 주민과 시민들의 참여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 간에 사회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두 영역이 경쟁하고 협력함으로써 사회를 지향하는 사회적 경제윤리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음을 전망하고 그것을 이론적 모델로 구성할 것이다.
    하지만 독일의 경향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시키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현재 상황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서구사회에서는 1980년 초부터 신보수주의정부의 등장 그리고 이후 세계화 시대와 함께 국가의 기능약화로 인한 사회정책의 축소와 이어서 복지국가의 후퇴가 나타났지만 그것과 동시에 CSR과 사회적기업의 출현으로 새로운 복지사회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수신청자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바라보는 사회학적 관점과 사회적 기업의 새로운 경향들의 관계를 다양한 사회학이론과 경제학이론을 동원하여 살펴봄으로써 기업이 단순히 경제적 이익을 지향하는 것만이 아니라 지구적 수준 및 지역공동체에서 다양한 문제들을 공동으로 해결하려는 새로운 경제윤리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1990년 이후 등장한 이런 현상들을 통해 근래에 등장하는 복지국가의 성격변화와 자본주의사회의 새로운 경제윤리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연수신청자는 이러한 현실적인 그리고 이론적인 경향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보편적 복지/선별적 복지 혹은 신자유주의를 둘러싼 단순한 이념적 논쟁에 머무르고 있는 한국사회에 사회적 경제윤리 모델의 적용가능성과 향후 자본주의 사회를 전망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2. 연구내용
    연구는 전체 4장으로 구성된다. 서론에 이어 2장에서는 독일 사회국가가 변화하는 과정을 서술할 것이다. 그리고 그 변화와 함께 국가의 시민단체 혹은 복지단체와의 관계변화도 발생하였음을 설명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시민사회에 개입하였던 국가가 1990년대 중반에 다양한 유형의 기업조직법을 제정하면서 복지국가는 복지사회 혹은 복지시장으로 차츰 전환하고 있음을 기술할 것이다. 3장에서는 그 후 독일에서 나타나는 세계화 시대의 정치체계의 기능변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사회적기업의 내부분화 등을 각각 다루면서 사회적 경제윤리의 가능성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먼저 정치체계에서 활성화하는 사회국가의 개념을 도입하며 사회정책과 노동시장정책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을 설명할 것이다. 복지국가의 위기나 후퇴로 해석될 수 있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사회정책이나 노동시장정책을 비판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기업과 시민사회가 함께 문제를 풀어나가는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도 기술한다. CSR이나 사회적기업의 형태는 이러한 현상을 증명한다. 기업은 이윤극대화를 목표로 하지만 단지 그것만을 목표로 경영 되지 않는다. 70년대까지 독일 기업들이 형식적 내부책임의 소극적인 방식으로 CSR을 이행하였다면, 세계화와 함께 기업들, 특히 다국적기업들은 세계 NGOs와의 초기 적대적 관계에서 차츰 경쟁과 협력관계로 전환하면서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비형식적 방식의 CSR을 실천한다. 문제는 이러한 CSR의 변화과정에서 기업의 내부책임인 고용이나 노동조건의 문제가 소홀히 다루어지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하여 독일국내에 실업과 빈곤의 문제가 점차 심각해지게 되었다. 복지국가의 회복을 요구하는 목소리와 함께 사회공동체에서 사회적기업이 등장하고 활동하는 이유이다. 1990년 중반 다양한 법형태로 설립된 사회적기업은 주로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인물의 사회적기업가정신에 기초하여 운영되었지만 차츰 시장친화적인 기업이 되어가는 중이다. 이러한 기업과는 달리 내부분화사회적기업은 전국적, 세계적 규모의 NGOs에 의해 운영되는 내부사회적기업가정신을 가진 경영자에 의해 운영되고 빠른 시간내에 증가되면서도 시민사회의 기본이념이나 가치를 고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수는 이러한 각 영역의 변화를 종합하여 사기업, 사회적기업 그리고 내부분화사회적기업이 각자의 위치에서 단순히 이윤추구를 위해서만 기업을 경영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로부터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게 됨으로써 새로운 사회적 경제윤리가 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그리고 그것의 가능성을 모델로 설명해 볼 것이다.
    3. 연구방법
    본 연수는 (경제)사회학, 사회복지학의 연계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로 진행된다. 그리고 모델을 구성한 뒤 독일의 각 기업유형별 사례들을 찾아 사회적 경제윤리의 가능성과 모델의 적합성을 증명할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가의 기능이 약화되고 기업의 힘이 강화되는 지구화시대에 한국사회는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복지수준이 외환위기 이후 높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빈부격차는 커지고 사회양극화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더군다나 노동시장의 유연화정책으로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상태이다. 이런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기업을 유치하려는 국가 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정부는 전통적인 서구의 복지국가를 추진하기는 매우 어렵게 되었다. 새로운 대안으로서 2007년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고 2011년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된 배경이다.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을 통해 사회의 복지문제나 고용문제를 해결하려는 정부와 정치권의 의지가 담겨있었다. 전 세계적으로도 사회적기업은 복지정책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많은 기대를 받고 있기도 하였다. 하지만 높은 기대에 속에 출발한 두 정책은 한국사회에서 현실적으로 상응하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이 기업가들의 열정을 지나치게 요구하지만 그만한 성과를 가져다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 두 조직형태는 단순히 개별기업가들의 경영능력이나 열정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이미 노정되어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수자는 사회적기업이나 협동조합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연구를 통해 세계적 흐름이나 미래의 전망을 추적해보자 하였다. 앞으로 세계사회에는 두 기업형태에서 시작하여 그것을 넘어서는 사회적경제와 사회적경제윤리가 출현할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하였다. 본 연구자는 독일의 사례에서 이러한 연구의 초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먼저 독일의 국가와 기업과 시민사회의 상호연대의 역사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국가의 특징을 먼저 언급할 것이다. 독일은 다른 국가에서 복지국가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사회국가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이 개념에는 국가의 주도적 개입이 아닌 기업과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보충성의 원리라고도 불리는 이 개념은 독일사회가 국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가 서로 협력하는 환경이 어느 정도 조성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개입이라고 하지만 1980년대 대처와 레이건으로 상징되는 신보수주의정부 그리고 1990년 이후 신자유주의 흐름으로 국가의 역할은 더욱 축소되게 된다. 전통적 사회국가에서보다 기능이 축소된 상태에서 국가는 더욱 기업과 시민사회가 협력적 관계를 맺어야 했다. 그리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사회적기업이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독일에서는 여기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경제윤리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수자는 새로운 경제윤리를 찾아가는 과정에 경영학자로서 페터 울리히의 사회-경제적 합리성 개념과 사회학자 우베 쉬만크의 행위자이론에 주목하였다. 울리히는 문명화된 시장경제와 함께 지구화시대에는 경제적 이윤만을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적 역할에 따라 경제활동을 하는 경제시민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주장을 펼친다. 쉬만크는 행위자들이 서로의 관계를 통해 관찰하고 경쟁하고 타협하는 과정에 경제체계가 단순히 돈에 의해서만 작동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 두 이론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앞으로 더욱 사람들의 상호작용이나 연대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 이론을 통해 사회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정부와 기업과 시민사회가 서로 협력하는 새로운 흐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기업 혹은 사회적 경제 등의 개념이 서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대안이 현실화되면 현재의 사회적 불평등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here the function of the state is weakened and the power of the company is strengthened, South Korea fe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level of the welfare state has risen relatively, but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growing and the social polarization is getting worse and worse. In addition, the labor insecurity of workers will be able to become worse due to the flexible labor market policy. On this background, the right for Social Enterprise 2007 and the right for Cooperative 2011 were put into force. Through the two organizational forms, it is trying to solve problems of the inadequate social welfare and employment. The social enterprise is regarded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welfare system. But both political lines, which began in korea in the high expectations, do not really show any corresponding consequences. Although entrepreneurs manage passionately social enterprises or cooperative, their results are very low. To the extent that the two forms of organization are simply not concerned with the management ability or the passion of the individual entrepreneurs, but should be presumed to be civic participation, they are already exposed to the limit. The researchers want to try global trends and prospects, in the social situation that the social enterprise and cooperative in korea are not embedded. The researchers think that social economy and ethics for social economy are beyond the two organizations in the world society. The study presents the German case as a model.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tate are mentioned in order to trace the social solidarity among the state and the German company and the civil society of Germany. In contrast to countries where the concept of the welfare state is used, the concept of the social state is used in Germany. In this concept, the meaning is suggested, not that the state intervenes actively in society, but that the autonomy of the company and the civil society is guaranteed. This concept, referred to as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shows that in Germany the precondition for the link among the state, enterprise and civil society was already established. The function of the state, which had been the minimum intervention, was further reduced after the neo-conservative government by Reagan and Thatcher in the beginning 1980 years and the neoliberal flow since 1990s. The German state, which was capable of becoming a function less than in the traditional social state, had to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company and the civil society. Thu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companies or the social enterprise was emphasized. In Germany the question of the new economic ethics has been presented. The researcher draws attention to Uwe Schimank’s actor theory and Peter Ulrich’s Conception of Socio-Economic Rationality in the investigation of the new economic ethics. Ulrich claims the necessity of economic citizens in the civilized market economy, which in the age of globalization do not simply depend on the economic gain, but are concerned with economic activity according to the rational role. Schimank insists that the economic system is not simply operated by the money in the process, that the actors observe each other, compete with each other and negotiate with each other. The common point of these two theories will show that the interaction and solidarity of people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e future. If such a new alternative is realized, the current social inequality could be mitiga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수는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지구화시대에 빈부격차와 사회양극화가 심각해지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복지제도가 잘 갖추어져 있던 서유럽에서 조차 사회정책이 후퇴하면서 서서히 사회양극화의 문제를 심각하게 고민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1990년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사회적기업 혹은 사회적경제의 개념이 자주 등장하고 사회에 적용하려는 다양한 실천이 나타나고 있는 것은 복지제도의 새로운 대안으로 인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복지제도의 수준이 서구유럽국가보다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한국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을 빠르게 정책적으로 도입하여 2007년에 사회적기업육성법을, 2011년에는 협동조합기본법을 제정하였다. 복지수준이 외환위기 이후 높아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빈부격차는 커지고 사회양극화는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더군다나 노동시장의 유연화정책으로 노동자들의 고용불안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높은 기대에 속에 출발한 두 정책은 한국사회에서 현실적으로 상응하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일부 정치인이 19대 국회에서 사회적 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을 법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경제기본법을 발의하게 된 이유이다. 하지만 여야 원내지도부가 처리를 합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폐기되었다. 여당인 새누리당에서는 사회적경제가 아니라 사회주의적 경제라고 거부한 것이다.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념을 초월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기에 여전히 한국사회는 이념적 대립을 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이념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현실적으로 적절한 타협점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본 연구가 사회적 합의의 모범적 사례로 제시되고 있는 독일사회를 살펴보고자하는 목적이었다. 제출된 연구서는 독일사회의 변화를 본격적으로 보기 전에 전통적 복지국가의 대안을 모색하는 배경을 설명할 필요가 있었다.
    먼저 독일의 국가와 기업과 시민사회의 상호연대의 역사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국가의 특징을 먼저 언급하였다. 독일은 다른 국가에서 복지국가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사회국가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헤겔로까지 사상의 기원이 거슬러 올라가는 개념은 국가가 개입이 아닌 기업과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는 점을 담고있다. 보충성의 원리라고도 불리는 이 개념은 독일사회가 국가와 기업 그리고 시민사회가 서로 협력하는 환경이 어느 정도 조성될 수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최소한의 개입이라고 하지만 1980년대 대처와 레이건으로 상징되는 신보수주의정부 그리고 1990년 이후 신자유주의 흐름으로 국가의 역할은 더욱 축소되게 된다. 전통적 사회국가에서의 기능보다 더욱 작아진 상태에서 국가는 더욱 기업과 시민사회의 역할에 의존해야 했다.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사회적기업의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독일은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경제윤리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사회국가의 기본틀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는가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국가가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더욱 확장시켰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국가가 주도하는 것이 아닌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개인의 자기결정권이 높아질 수 있었던 것은 울리히 벡이 주장한 개인화현상과 연결시켜 설명할 수 있다. 울리히 벡은 1983년의 논문에서 1970년대의 복지국가의 결과인 승강기효과로 개인은 노동조합이나 가족의 굴레로부터 벗어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장하였다. 개인화현상은 두가지 상반된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으로는 개인으로서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게 되면서 사회적 양극화 심화될 것이라는 점과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들 간의 연대를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다. 거부할 수 없는 개인화현상은 새로운 경제윤리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수자는 새로운 경제윤리를 찾아가는 과정에 경영학자로서 페터 울리히의 경제윤리이론과 사회학자 우베 쉬만크의 행위자이론에 주목하였다. 울리히는 문명화된 시장경제와 함께 지구화시대에는 경제적 이윤만을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이성적 판단에 따라 경제활동을 하는 경제시민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주장을 펼친다. 쉬만크는 행위자들이 서로의 관계를 통해 관찰하고 경쟁하고 타협하는 과정에 경제체계가 단순히 돈에 의해서만 작동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 두 이론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앞으로 더욱 사람들의 상호작용이나 연대가 더욱 중요해지고 그런 노력이 결실을 맺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대안이 현실화되면서 현재의 사회적 불평등은 어느 정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의 사회정책은 주로 영미권의 연구경향들을 반영하고 있다. 영미권의 연구가 세계를 주도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복지국가가 하나의 흐름으로 수렴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지구화가 이야기 되지만 여전히 국민국가의 틀은 여전히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는 점에서 여러 국가사회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매우 클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수가 문헌연구를 통해 독일 복지국가의 변화과정을 살피는 이유이다. 독일은 세계 2차 대전이 끝나고 전쟁의 폐해를 복구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방향성을 설정하는 과정에 사회적 시장경제를 추진하였다.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정책은 근원적으로 독일의 전통적 국가이념인 사회국가의 이념과 일맥상통한 면을 가지고 있다. 본 연수자는 사회경제적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사회국가의 이념과 사회적 시장경제정책은 매우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독일의 유연한 정책적 변화는 지구화시대에 새로운 전망의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수는 자본주의경제의 위기가, 또한 복지국가의 위기가 언급되는 세계화 시대에 자본주의가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에 의해 주도되어 사회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디스토피아적 사회로 전락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보완하는 새로운 대안적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하였다. 비록 국가의 기능이 약화되지만 그것과 병행하여 나타나는 기업의 CSR이나 사회적 경제 혹은 사회적 기업의 이론연구나 실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 그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런 연구와 실천들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수는 단순히 국가의 사회정책적 변화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별개로 연구되었던 CSR과 사회적기업의 연관까지도 다룰 것이다. 먼저 본 연수신청자는 국가가 사회정책을 변경하는 방식을 언급할 것이다. 그리고 CSR을 기업의 내부책임과 중간책임 및 외부책임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세계화와 함께 내부책임이 소홀히 다루어짐으로써 나타나는 고용과 노동조건, 빈곤의 문제로 인해 사회적기업의 필요성이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본 연수신청자는 주주자본주의에서 이해당사자들을 고려하는 CSR 및 지역공동체의 주민과 시민들의 참여에 의해 운영되는 사회적 기업 간에 사회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을 동원하는 과정에서 두 영역이 경쟁하고 협력함으로써 사회를 지향하는 경제윤리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음을 전망하고 그것을 이론적 모델로 구성할 것이다. 하지만 독일의 경향을 한국에 그대로 적용시키기 위한 이론적 모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의 현재 상황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사회적기업, 사회적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복지국가, 시민권, 협동조합, 사회국가, 독일, 복지사회, 복지시장, 민간복지단체, 카리타스, 디아코니, 자본주의 경제질서, 자유와 평등, 보충성의 원리, 사회적 시장경제, 비스마르크, 사회보험, 사회정책, 신보주주의정부, 사회공동체, 영국, 대처수상, 미국, 레이건 대통령, 지구화, 현실사회주의국가 붕괴, 울리히 벡, 개인화현상, 노동조합, 계급적 대립, 가족, 국민국가, 승강기 효과, 기업의 이윤 극대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시장경제, 실업률, 활성화하는 사회국가, 국가의 채무와 긴축재정, 사회적 경영, 불확실성과 복잡성, 소비적 사회정책, 생산적 사회정책, 사회적 불평등, 노동을 통한 복지, 시민의 의식변화, 시민 참여, 네트워크, 거버넌스, 지역공동체, 주주자본주의, 세계사회, 이해당사자자본주의, 무함마드 유누스, 시민사회, 짜임관계, 행위자이론, 우베 쉬만크, 경제윤리, 페터 울리히, 비정부기구, 비영리기구, 사회적 연대, 노동윤리, 복지윤리, 생태윤리, 신자유주의, 사회양극화, 노동시장의 유연화, 경제시민, 기업가정신, 사회적기업가 정신, 초국적기업, 초국가적 시민사회단체, 경쟁과 협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