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역별 발전전략과 지방정치 비교모형 구축
Comparative Model of Development Strategy and Local Politics for Regional Developmen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연구과제번호 2015S1A3A2047036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차재권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류태건(부경대학교)
손정원(University College London)
이동윤(신라대학교)
피오나 얍(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지병근(조선대학교)
박범종(부산외국어대학교)
권오혁(부경대학교)
주인석(동아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는 제1단계 연구 결과로 정립된 이론적 토대와 지역발전 사례 모형을 제2단계 연구로 확대 적용하여 전국 각 지역별 환경과 지역발전 요건에 부합하는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정치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장기 비전과 목표를 살펴보면, ⑴ 지역별 균형발전과 성장을 위한 동력과 경쟁력을 검토하여 한국형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정치의 모형을 제시하고, ⑵ 중앙과 지방, 지방과 지방 사이의 지역발전과 성장전략을 연계하는 지방정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며, ⑶ 더 나아가 지방 수준에서 정치학의 위상과 정체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지방정치학’의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학문적 후속세대 양성과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의 또 다른 궁극적 비전과 목표는 중앙이 아닌 지방 차원에서 지방이 중심이 되는 지역발전연구센터를 설립하여 지역발전과 지방정치를 연구하고 지방정부와 중앙정부에 지역발전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는 싱크탱크(think tank)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지역발전과 지방정치’라는 연구주제를 통해 궁극적으로 제3단계 연구의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정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제2단계 “지역별 발전전략과 지방정치 비교모형”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지방 차원에서 그 위상과 학문적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는 정치학을 기반으로 지역발전과 지방정치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지방정치 선진화를 통한 지역발전의 현실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정치학의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그 학문적 함의와 정책적 실효성을 함께 증진시키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한국의 지역발전 및 지방정치 선진화를 위한 각 지역별 사례․비교 모형과 한국형 통합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각 지역의 성장 동력과 지역 경쟁력을 개발하고, 궁극적으로 한국의 지역적 균형발전과 성장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현재까지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한국의 지역발전을 위한 제반 논의와 정책 제안을 내놓고 있으나, 실질적인 정책 효과를 충분하게 거두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1단계 부산광역시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사례모형의 이론적 논의 발전모형을 확대, 발전시켜 제2단계 연구에서 한국의 지역발전과 지방정치에 관한 사례 및 비교연구와 종합연구를 추진하고, 각 지역별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선진화를 위한 보다 실용적인 발전모형과 정책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의 또 다른 목표는 한국의 지역발전과 지방정치를 연계한 지방정치 모형을 개발하는 한편, 이것을 교육과정에 직접적으로 활용하여 지방 차원에서 지방정치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발전을 도모해 나가는 것이다. 과거 중앙정부의 일률적 지역발전 정책은 한국의 정치과정이 아직도 관치행정(官治行政)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지역 차원에서 지방정치가 활성화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2단계 연구 목표 및 비전에 맞추어 사회과학, 특히 정치학의 한 영역으로서 지방정치학의 이론적 토대와 교육 방안을 제시할 것이며, 이를 통해 각 지역의 지방정치를 활성화시키고 지역발전을 상향식으로 제안할 수 있는 지역발전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셋째, 이 연구는 지방 차원에서 보다 현실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정치학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지방 대학들에서 점차 약화되고 있는 정치학의 위상과 정체성은 결국 지방 차원에서 지역발전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정치학의 역할이 감소되고 지방정치가 지나치게 중앙정치에 매몰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역 차원에서 지방정치를 활성화시키지 못한 정치학 자체의 한계도 함께 작용한 결과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모형은 궁극적으로 지역 단위에서 지방정치의 활성화를 총괄적으로 강조하는 내용이 될 것이며, 특히 이론과 실제, 학문과 현실을 연계할 수 있는 연결고리로 작용하여 지역 단위에서 지방정치와 정치학의 활성화를 통해 차세대 후진 양성에도 기여할 것이다.
    끝으로 이 연구는 지역발전과 지방정치를 연계한 지방정치학을 정립하여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연구에 참여하는 연구진은 이미『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을 집필하여 출간한 바 있으며, 2012년『지방정치학으로의 산책』(한울아카데미)과『지방자치의 이해』(부경대학교 출판부)를 집필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는 제1단계 연구에서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관련 연구논문 25편, 개인 연구저서 1편과 공동연구총서 1편을 기획하여 출판하였으며, 이 연구의 진행과정에 따라 각 연차별 연구 내용이 각 대학의 학부․대학원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특히 이 연구의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는 학부 및 대학원생은 공동연구 및 보조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지역발전 및 지방정치 전문가로 육성되고 있으며, 특히 석사 1명 배출과 더불어 차년도에 석사 2명, 박사 1명이 배출될 예정이다. 아울러 이 연구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각 지역의 시민사회단체 및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되어 교양강좌나 특강 형태로 발표될 예정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제1단계 “지역발전과 지방정치학 사례모형 구축: 부산광역시 지방정치 모형을 중심으로”와 연계된 2단계 확대연구로서 “지역별 발전전략과 비교모형 구축”이라는 주제로 각 지역별 지역발전 모형을 구축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본 연구팀은 이미 제1단계 연구를 통해 구축한 지역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지역발전과 지방정치 사례모형의 하나로 부산광역시 지역발전 모형을 새롭게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지역발전에 필요한 대내외적 요인과 환경이 각 지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환경과 지역발전 여건에 부합하는 지역발전 모형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2단계 1차년도에서 각 지방별 지역발전의 다양한 사례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경험적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국내외 사례의 비교 연구를 수행하며, 3차년도에는 각 지역별 지역발전을 위한 발전 모형을 구축함과 아울러 지방정치 선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제2단계 연구 수행을 위해 전체 9명의 연구진 중 8명을 각 2인 1조로 편성해 수도권․강원 지역, 충청지역, 영남지역, 호남지역 등 총 4개 지역 연구팀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또한 나머지 1명의 연구자는 각 지역 간 혹은 중앙과 지방 간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네트워크 연구를 수행토록 함으로써 각 지역의 발전에 필요한 제반 요인과 협력 과제를 점검하고, 이를 종합하여 각 지역별 지역발전 전략과 모형을 정립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이 연구는 제1단계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각 지역의 지역발전에 필요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영역별 분석을 통해 세부적인 지역별 발전전략을 모색하며, 이러한 모든 것들을 아우르는 지방정치의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여 지역 주민이 참여하는 지방 중심의 발전전략과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제1단계 연구 결과인 부산광역시 지역발전 모형을 구축하는데 토대가 된 이론적 논의와 발전전략을 기반으로 제2단계 연구에서 한국의 4개 지역으로 확대 발전시켜 각 지역별 지역발전 모형을 정립하는데 연구 의의가 있다. 과거 중앙정부에 의해 일률적으로 추진되던 지역발전 전략과 달리 이 연구는 각 지역의 실정에 부합하는 지역발전 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제시하는 상향식 발전모형과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과 지방정부 중심으로 지역발전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는 발전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연구는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지방 단위에서 소외되고 침체되었던 정치학을 ‘지방정치학’이라는 이름으로 활성화시켜 정치학의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연구단의 주류를 형성하는 부산 거점을 확장하여 수도권지역, 충청지역, 호남지역, 영남지역 등 전국 단위의 각종 연구기관 및 지역발전 실무기관과 연계활동을 강화함으로써 연구의 실용성과 정책적 실효성을 증진시켜 장기적 차원에서 지역발전연구센터로의 발전을 도모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실적으로 지역발전은 중앙정부에 의한 하나의 일률적 발전전략이나 모형을 통해 이루어지기 보다는 각각의 지역적 특성과 환경이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기 마련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각 지역의 대내외적 발전 요인들이 지역적 특성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전체 국가의 지역발전을 주동해 나가는 새로운 발전전략과 모형이 모색되어야 한다. 과거 ‘지역발전’이라는 이름으로 중앙정부에 의해 일방적으로 추진된 지역발전 정책들은 오히려 지역적 특성과 환경이 간과된 채 지나치게 일방적으로 진행되다보니 지역의 충분한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또한 지역의 균등한 성장과 발전만을 강조하다보니 오히려 지역 간 ‘나눠먹기’식 자원 배분이라는 비판과 더불어 경우에 따라서는 지역적 불만을 초래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한 국가의 지역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과 발전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각 지역별 특성과 발전요인을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인 과정이며, 이를 통해 지역별 구체적인 발전전략과 통합적인 모형이 함께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입각하여 이 연구는 ‘지역발전과 지방정치’라는 연구주제를 통해 궁극적으로 제3단계 연구의 한국적 현실에 적합한 지역발전 전략과 지방정치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서 제2단계 “지역별 발전전략과 지방정치 비교모형” 연구를 진행코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지방 차원에서 그 위상과 학문적 정체성이 약화되고 있는 정치학을 기반으로 지역발전과 지방정치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지방정치 선진화를 통한 지역발전의 현실적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정치학의 위상과 역할을 재정립하고, 그 학문적 함의와 정책적 실효성을 함께 증진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지역발전은 결국 지방의 특성과 환경, 발전요인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지방정치의 역량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는 바, 이 연구는 지역발전의 동력과 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지방정치 모형을 제시하여 지역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 영문
  • In reality,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through a single, one-size-fits-all development strategy or model by the central government, each region's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will influence in various forms. Thus each home and regional development factor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local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development of the entire country by a complex as a prime mover.A new effort is made to development strategies and models.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which were promoted unilaterally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past under the name of 'regional development', failed to elicit sufficient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region as they were carried out too unilaterally, with the lo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verlooked. In addition, the emphasis on equal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region has led to regional discontent in some cases, along with the criticism that it is a distribution of 'luck-eating' resources among regions. Therefore, in implementing the strategy and development policy of a country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it is an essential process to hav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factors of each region, through which specific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integrated models should be built together.
    Based on these issues, the research was intended to conduct the second stage of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and Comparison Model of Local Politics" as an intermediate step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regional political models suitable for the Korean reality in the third stage of the study.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redefining the status and role of political science, emphasizing the link between regional development and local politics on the basis of political science, presenting a realistic model of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advancement of regional politics, and promoting its academic content and policy effectiveness together as a branch of social science. As regional development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the capacity of local politic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actors comprehensiv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by presenting a model of local politics that can enhance the power and competitiveness of regional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단이 중형단계에서 이룩한 연구성과는 기본적으로 3단계 대형단계 연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중요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의 토대를 제공한다. 특히 2단계인 중형단계 연구에서 수행한 국내 각 지역별 지역발전 모형 구축은 대형단계 연구의 최종 목표인 한국형 지역발전·지방정치 통합모형 구축을 위한 각 지역별 지역발전 전략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단이 중형단계에서 수행한 다양한 국내외 지역에 대한 부분적인 사례연구의 성과들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차원에서의 새로운 분석적 사례연구와 연구방법론적 차원에서의 학제적 연구를 도모함으로써 향후 한국적인 특수 상황에서 지역발전에 대해 지방정치가 갖는 보편적인 역할 설정의 방향을 도출해 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소형 및 중형단계에서 계속해 온 사회자본 연구의 성과를 종합해 우리나라의 현실에 부합하는 새로운 정치적 신뢰형성을 위한 제도화의 방법과 지방정치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시민참여 모형, 그리고 이념과 지역의 차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통합된 사회체제로서의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방정치가 주도하는 새로운 지역발전의 전략과 그것의 전개과정은 하버마스가 언급하였듯 국가와 개인의 공공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주의의 개체화와 분절화를 극복하는 국가적 통합차원의 풀뿌리 정치참여의 실제화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형단계에서 지역별 사례연구를 통해 확보한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양적, 질적 자료들을 종합하여 지역발전에 관한 통합적인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국내 지역발전 관련 연구의 중요한 연구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중형단계 연구결과를 통해 대형단계의 연구에서 도모해 볼 수 있는 중요한 발전 방향이라 할 것이다. 중형단계에서 수행한 각 지역별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는 그동안 우리나라의 지방정치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났던 지역주의와 집단이기주의, 이념적 대립의 심화, 정치참여 주체의 진영논리와 갈등이 극도로 증폭되는 상황을 배제한 지방정치의 제도적 문제점들을 포착하여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수평적 네트워크 구축과 지역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역량의 제고 및 지역사회 내부의 사회문화적 가치의 재생산 구조 형성을 통해 한국적 지역 공동체와 지방정치발전의 집단적 계열화를 추진하는 데에도 도움을 줌으로써 이상적인 형태의 한국형 지방정치·지역발전 통합모형 구축의 중요한 이념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특히 2단계인 중형단계 연구에서 확인된 지역별 다양한 사례들을 참고하여 3단계인 대형단계에서 시민참여와 거버넌스, 상생의 문화적 모델화를 통해 이를 보다 체계적,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한다면 향후 한국형 지방정치·지역발전 통합모형 구축은 물론 다른 개발도상국가들의 지역발전을 통한 국가발전 모형의 구축에 대한 정책적 함의와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가능성도 모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중형단계 연구에서 축적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지방정치, 지역발전, 로컬 거버넌스, 지역혁신 등 지방자치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연구를 지역적, 학제적 차원에서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대규모 연구자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구자 네트워크를 횡적으로 확산하여 지역발전과 관련한 정책과정의 행위자들과도 수평적으로 연계함으로써 지역발전과 관련된 연구가 학문공동체 내부의 지식담론 생산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정책과정에의 직접적 관여와 개입을 통해 현실에서의 지역발전정책의 방향까지도 선도해 나갈 수 있는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띌 수 있다는 점도 중형단계의 연구성과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지역발전, 지방정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