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초국가적 테러리즘의 냉전적 기원 :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과 글로벌 지하드의 형성
The Origins of the Transnational Terrorism: Reagan's Policy towards the Soviet-Afghan War and the Creation of the Global Jihad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1177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강석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9.11 이후 중동 지역의 테러리즘의 문제가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로 대두되었고, 2011년 아랍의 봄 이후 중동 각국의 정치변동, 그리고 현재 이슬람 국가(IS: Islamic State)의 등장은 미국 등 초강대국들이 대응해야 할 세계 정치의 최대 관심사항으로 부각되었다. 오늘날 세계가 목도하고 있는 중동 정치지형의 불안정과 그에 따른 미국의 정치적 난관은 부시 행정부의 대중동 확대구상(The Greater Middle East Initiative)과 이라크에서의 협의 민주주의(consociational democracy)의 정치적 실험이 초래한 재앙으로 치부될 수만은 없다. 이는 부시 행정부 이전 시기부터 축적되어 온 미국과 중동관계의 역사적 유산을 오바마 행정부가 계승했다는 측면에서 오늘의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냉전을 포함한 과거의 역사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확산된 정치 이슬람 운동이 미국의 냉전적 개입으로 인해 글로벌 지하드로 변형되는 과정을 규명함으로서 오늘날 목도하고 있는 글로벌 테러리즘의 냉전적 기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현재 급진주의적 이슬람 테러리즘 단체의 확산은 레이건 행정부 시기 아프가니스탄에서 글로벌 지하디스트가 양성된 결과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탈냉전 이후 글로벌 지하드의 발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어떻게 글로벌 지하드가 형성되었는지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목도하고 있는 초국가적 테러리즘의 냉전적 기원을 규명하기 위해서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이후 글로벌 지하드 운동이 형성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핵심질문을 상정하였다. 첫째,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했는가?’ 이다. 둘째, ‘참전한 무슬림 전사들은 왜 소련군 격퇴를 목표로 한 고토회복적 지하디스트(Irredentist Jihadist)에서 글로벌 테러리즘을 지향한 급진적 지하디스트로 변모하게 되었는가?’ 이다.
    이러한 질문은 레이건 행정부가 소련과의 대결에서 승리하기 위해 추진한 전략의 변모 과정, 그리고 무자헤딘들의 이념 정향과 지하드 대상의 변화 과정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핵심질문을 규명하기 위한 관건은 소련을 무슬림의 영토에서 퇴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던 이집트, 예멘, 요르단 등 아랍 국가에서 온 무자헤딘들이 어떻게 치열한 전쟁을 겪으면서 훗날 오사마 빈 라덴, 자와히리 같은 냉전의 게임 법칙을 수용한 전략적 행동가로 탈바꿈했는지를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선행연구들은 레이건 행정부 시기 글로벌 지하디스트들의 변모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으나 어떻게 무자헤딘들이 고토회복을 지향한 지하디스트(irredentist jihadist)에서 의식화된 이념적 지하디스트(doctrinaire jihadist)로 변모되었는지를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소련을 무슬림의 영토에서 퇴각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던 이집트, 예멘, 요르단 등 아랍 국가에서 온 무자헤딘들이 어떻게 치열한 전쟁을 겪으면서 훗날 오사마 빈 라덴, 자와히리 같은 글로벌 지하디스트는 치열한 전쟁을 겪으면서 냉전의 게임 법칙을 수용한 전략적 행동가로 탈바꿈했는지를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인식하면서 아프가니스탄에 참전한 무자헤딘들이 어떻게 소련에 대한 퇴각이라는 목표를 뛰어 넘어 훗날 서방 세계에 대한 지하드라는 정치적 야망을 갖는 글로벌 지하디스트들로 변모되었는지를 철저히 규명함으로써 오늘날 글로벌 테러리즘 운동의 냉전적 기원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9.11 이후 서방 세계와 이슬람 급진주의 단체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중동 지역의 테러리즘의 문제가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오늘날 문제의 역사적 연원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커다란 연구의의를 갖는다.
  • 기대효과
  •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 원인에 관한 본 연구가 갖는 중요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우선, 국내 학계에서 소외된 연구 분야인 미국의 대 중동 외교정책(중동정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의 미국외교정책 연구가 미국외교정책 결정과정 자체 혹은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전략 혹은 한미관계 연구의 측면에 치우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미국의 대 한반도 관련 정책을 보다 적실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외교정책 우선 고려 대상지역인 미국의 대 중동 정책을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의 중동지역에 대한 외교정책이 타 지역으로 연계 혹은 투사된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 주제는 국내 연구기반이 미약한 중동정치 분야의 연구 활성화, 그리고 우리의 삶과 밀접히 연관된 주제인 미국의 한반도(동아시아 전략) 정책의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 주제는 학문적 관점에서도 미국의 대중동 정책과 오늘날 급증하는 테러리즘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 주제는 아랍의 봄과 IS 문제가 대두되면서 오늘날 국제정치의 핵심주제로 부상한 테러리즘의 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IS의 테러 행위와 확산 속도가 세계 곳곳을 위협하면서 국제적인 대테러 공조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급기야 2014년 8월 8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IS에 대한 공습을 승인 했다. 이후 국제공조 속에서 IS와 서방 세계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테러리즘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국제정치의 화두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실정치의 역사적 이해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연구의의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탈냉전 이후 글로벌 지하드의 발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어떻게 글로벌 지하드가 출현하게 되었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 과정과 그에 따른 글로벌 지하드의 형성 과정을 규명하기 위해서 과정추적의 방법을 통한 역사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과정 추적 과정에서 ‘인과기제’의 규명을 위한 주요 변수로는 ‘고토회복적 지하디스트’,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간 정책’ 그리고 ‘글로벌 테러리즘을 지향한 급진적 지하디스트’ 이다. 따라서 이들 변수들간의 상관 관계를 중심으로 인과 기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특히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1986년 4월 레이건 정부의 스팅어 미사일 지원을 기점으로 시기를 구분한다. 이를 통해서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이 당시 최점단 무기였던 스팅어 미사일을 지원하게 된 미국의 정책결정 과정과 이러한 정책의 결과로서 무자헤딘들의 급진화 과정을 함께 규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질적으로 역사학과 정치학을 이어주는 학제적 연구를 지향하면서 과정추적의 방법으로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려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 레이건 행정부 당시 미국의 정채결정자들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과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미국의 정책결정자들이란 소수의 행위자들에 의해서 독점된 중동정책 결정에 관해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이들 행위자들의 정책결정의 내역과 과정을 규명할 수 있는 일차문서에 대한 정리가 연구목표를 달성하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레이건 행정부 당시 1차 자료는 아직 완전히 공개되지 않고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비밀 해제된 한정된 1차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자료에는 레이건 회고록과 대통령 안보지시문서(NSDD: National Security Directives Document), 의회 연설문 등을 활용한다. 또한 미국 군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지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해서 와인버거 국방장관 회고록과 각 군 총장의 인터뷰 기사, 기고문을 분석한다.
    그런데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 과정은 미국 정부 문서를 활용하여 규명할 수 있으나, 아프간 참전 무자헤딘들의 글로벌 테러리스트로의 혁명적 변화 과정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프가니스탄 참전 무자헤딘들의 급진적 이념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기 위해서 오사마 빈 라덴, 알 자와히리와 같이 아프가니스탄에 참전한 이후 훗날 글로벌 테러리스트로 탈바꿈한 주요 인물들의 담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내용을 보완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훗날 글로벌 테러리스트들은 아프가니스탄의 경험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급진적인 테러 행동을 정당화하거나 새로운 지하디스트를 모집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면, 2000년 공개된 지하디스트 모집을 위한 홍보 영상에서 오사마 빈 라덴은 아프간 무자헤딘이 빈약한 군사 재원을 이용해 가장 강력한 군사적 대국을 무찔렀다는 사실을 상기하면서 “우리는 더 이상 초강대국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우리는 미국이 러시아보다 더 약하다고 믿는다.” 라는 메시지로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미국에 대한 테러공격 감행을 위한 선전 수단으로 활용했다. 이러한 급진주의자들의 자신들의 아프가니스탄 참전 경험에 대한 정치적 활용의 일례는 다양한 아랍어 텍스트와 홍보 영상에서 등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참전 테러리스트들의 텍스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어떻게 자신들이 그와 같은 글로벌 테러활동을 지향하게 되었는가? 라는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여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주요한 테러리스트인 오사마 빈 라덴이 본격적으로 테러를 감행하기 직전 내놓은 1996년 8월 최초의 성전선포 연설문 발표 이후 2011년 미국의 정예 요원에 의해 파키스탄의 은신처에서 사살하기 전까지 발표된 연설문 자료에 대한 분석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들 연설문은 아랍어 또는 영어로 되어 있으며 대중을 선동하고, 알 카에다의 테러 활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대중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자료를 확보하여 참전 무자헤딘들의 급진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9․11 이후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지역의 테러리즘의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역사적 고찰로서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미국의 냉전 정책과 그에 따른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정치적 상황의 왜곡으로 인해 급진주의적 지하디스트가 출현하게 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 및 무자헤딘들의 급진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우선,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공세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레이건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윌리엄 케이시 CIA 국장은 무자헤딘에 대한 대폭적 지원 강화를 주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이러한 공세적 전략으로의 전환은 소련 붕괴를 위한 전략의 산물로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레이건 행정부는 1985년 NSDD-166을 발표하면서 무자헤딘에 대한 대공미사일 지원을 포함한 다각적인 군사, 경제적 지원을 강화하였고, CIA의 비밀공작을 통한 무자헤딘의 훈련과 지원 활동이 공세적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레이건 행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정책 전환은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의 붕괴를 염두에 두고 아프가니스탄 참전 무자헤딘에 대한 첨단무기 제공 및 경제적 지원 증가, CIA의 비밀 전략과 은밀한 행동 추진, 사우디아라비아 및 파키스탄과 같은 아프가니스탄 주변 국가들을 활용한 직간접적인 무자헤딘에 대한 훈련 기반 조성을 병행하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전략 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된 지하디스트들이 참전 이후 글로벌 테러리즘을 지향하는 급진적 글로벌 지하디스트로 변모된 원인을 함께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레이건 행정부의 점차 공세적인 무자헤딘 지원 전략은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정치적 상황과의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무자헤딘의 급진화를 초래하는 결과를 양산하였다. 이는 아프가니스탄 내에 참전한 급진주의자들 내부로 급진 이슬람주의 이념이 전파되기 용이한 환경이 조성되는 가운데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반정부 운동이 격화되면서 정치적 불안이 증대되는 가운데 급진주의의 활동 기반이 강화되어 갔다. 특히 스팅어 미사일을 비롯한 첨단 무기가 무자헤딘에 제공되고 경제적 후원이 증대함과 동시에 아프가니스탄 내부에서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던 무장 이슬람주의 정파들이 통합되어 결속되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분열되었던 7개의 주요 분파가 레이건 행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정책 전환을 계기로 통합의 동력을 확보하게 되었고, 이는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들의 급진화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해 볼 때,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정책의 공세적 전환과 그에 따른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정치적 상황의 왜곡과 변형은 고토회복적 무자헤딘들을 급진적 글로벌 지하디스트로 전환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istorical emergence of radical Jihadists due to the aggressive U.S. Cold War strategy in Afghanistan in 1979 and the subsequent distortion of domestic politics in Afghanistan, considering the issues of terrorism has been regard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ssues in the wake of the 9.11. For achieving this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focus on the aggressive transformation of Reagan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towards Afghanistan and its effects on the radicalization of Mujahedeen.
    First of all, American foreign policy during the Reagan administration towards Afghanistan has become more aggressive with the increase of supporting Mujahedeen. Especially, after initiation of second term of Reagan administration, the CIA director, William Casey initiated widespread support of Mujahedeen with the intention of dismantlement of the Soviet Union. In this regard, based on NSDD-166 in 1985, American policy-makers upgraded their economic and military aid to Mujahedeen including sophisticated anti-aircraft missile system such as Stinger Missile. These U.S. tactics include not only economic and military aid but also covert action by CIA, direct or indirect disciplines of Mujahedeen using regional countries such as Pakistan and Saudi Arabia.
    On the other hand, it is significant to discover the causes of transformation of mujahedeen from resistant against the occupation of Soviet Union to global jihadists attacking 'Far Enemy'. In this context, under the circumstances of Reagan's changed foreign policy, the radicalization of Mujahedeen was remarkably reinforced. Above all, radical versions of Islam were easily penetrated into society of Afghanistan,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increasing contact with radical Islamists during the War. In addition, U.S. provision of sophisticated Missile weapons like Stinger missiles and a variety of actions in favor of Mujahedeen contributed to integrate and solidify dispersed 7 major local armed groups in Afghanistan, which facilitates the emergence of so called indoctrinated global Jihadists during the War. All things considered, it seems reasonable to assume that aggressive transformation of American foreign policy and the subsequent distortion of domestic politics in Afghanistan caused the changes of Iredentist Jihadists into radical global Jihadis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9․11 이후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로 부상하고 있는 중동 지역의 테러리즘의 문제를 재고하기 위해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미국의 냉전 정책과 그에 따른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정치적 상황 왜곡으로 인한 급진적 글로벌 지하디스트 출현의 역사적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1985년 3월 NSDD-166의 발표를 기점으로 전략적 기조가 크게 변화하였다. 이는 소련의 붕괴를 염두에 두고 무자헤딘에 대한 첨단무기 제공 및 경제 원조 증가, CIA의 비밀 전략과 은밀한 행동 전략 전개, 그리고 참전 무자헤딘에 대한 훈련 강화가 동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레이건 행정부의 1-2기를 거치면서 강화된 소련의 붕괴를 염두에 둔 공세적 무자헤딘에 대한 지원은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무자헤딘의 급진화를 초래하면서 아프가니스탄 정치 지형을 변형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특히 무자헤딘의 급진화 과정은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반정부 운동 확산에 따른 정치적 불안 하에서 급진주의 성장 동력 확보, 급진적 이슬람주의 사상의 침투 환경 조성, 분열된 무장 분파 세력 간의 통합과 결속 강화를 동반하면서 파생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 레이건 행정부의 전략 변화 속에서 아프가니스탄의 무자헤딘들은 고토회복적 지하디스트에서 이념화된 글로벌 지하디스트로 변모했다고 평가해 볼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핵심 질문은 두 가지를 포함하고 있다. 첫째,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어떻게, 그리고 왜 변화했는가?’ 둘째, 참전한 무슬림 전사들은 왜 소련군 격퇴를 목표로 한 고토회복적 지하디스트에서 글로벌 테러리즘을 지향한 급진적 지하디스트로 변모하게 되었는가? 이다.
    우선 첫 번째 질문과 관련하여 아프가니스탄 전쟁 당시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결정자들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은 무기의 적극적 강화, 원조 자금 지원, 은밀 행동의 강화, 중동 지역의 동맹국을 활용한 무자헤딘에 대한 지원 및 훈련 등 소련의 퇴각을 염두에 대한 공세적인 정책이 구사되었다. 레이건 행정부 2기 출범이후 윌리엄 케이시 CIA 국장은 무자헤딘에 대한 대폭적 지원 강화를 건의하였고, 이를 통한 소련 붕괴 전략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레이건 행정부는 1985년 3월 27일 NSDD-166호를 공표하고 소련이 아프가니스탄 침공의 값비싼 대가를 지불할 수 있도록 무자헤딘 지원을 위한 특별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전략의 공표 이후 1986년 4월 레이건 정부는 스팅어 미사일을 무자헤딘에게 제공하고, 비밀공작을 활용하여 소련의 약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무자헤딘에 대한 다양한 지원 확대의 추진은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된 무자헤딘들의 소련에 대한 저항 의지를 강화시키고 아프가니스탄 국내 정치적 지형 변화를 야기하는 변수로 작용하였다. 또한,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역내 친소 정부에 대한 무자헤딘의 반발을 자극시켰고, 이러한 반정부 운동의 증가로 인한 정치적 불안정 증가 속에서 급진적 글로벌 지하디스트 성장의 발판이 마련되었다.
    한편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하여 아프간 전쟁 기간 급진주의자들과의 접촉을 통해서 급진적 사상이 전파되었다. 이러한 급진 이념의 전파 속에서 전쟁 기간의 승리가 이념으로서 정치 이슬람의 과격화를 양산하면서 실천적 운동으로서 활용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었다. 또한, 1985년 3월 NSDD-166호 집행 이후 레이건 행정부의 아프가니스탄에 대한 지원 정책 이후 주요 분파를 중심으로 분열되어 있던 느슨한 네트워크의 아프가니스탄 내부의 저항 세력인 무장 정파 간의 확장과 결속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는 미국의 지원을 동력으로 급진적 글로벌 지하디스트들이 태동할 수 있는 정치적 토양이 형성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분열되었던 7개의 주요 분파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통합의 동력을 확보하게 되었다고 평가된다.
    레이건 행정부의 대 아프가니스탄 정책 변화 원인에 관한 본 연구가 갖는 중요한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우선, 국내 학계에서 소외된 연구 분야인 미국의 대 중동 외교정책(중동정치)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분야의 연구 활성화에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미국의 대 한반도 관련 정책을 보다 적실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외교정책 우선 고려 대상지역인 미국의 대 중동 정책을 면밀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미국의 중동지역에 대한 외교정책이 타 지역으로 연계 혹은 투사된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 주제는 국내 연구기반이 미약한 중동정치 분야의 연구 활성화, 그리고 우리의 삶과 밀접히 연관된 주제인 미국의 한반도(동아시아 전략) 정책의 이해를 돕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 주제는 학문적 관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오늘날 급증하는 테러리즘의 문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연구 주제는 아랍의 봄과 IS 문제가 대두되면서 오늘날 국제정치의 핵심주제로 부상한 테러리즘의 문제의 역사적 기원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제공조 속에서 IS와 서방 세계 간의 갈등이 격화되고 테러리즘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국제정치의 화두로 자리매김하는 가운데 본 연구는 현실정치의 역사적 이해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연구의의를 갖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냉전사적 관점에서 냉전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제3세계 냉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특히 중동 지역에서의 냉전은 미소의 글로벌 냉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냉전 기간 미국의 대 중동 정책은 중동 지역의 많은 역내 문제를 왜곡시키고 변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급진주의적 지하디스트들의 성장은 미국의 냉전 정책과 역내 고유한 문제 간의 상호 작용 하에서 중동 지역의 문제가 왜곡되는 과정을 규명한다는 측면에서 냉전 연구의 주요한 주제 중의 하나로서 평가해 볼 수 있다.
  • 색인어
  • 아프가니스탄 전쟁, 냉전사, 급진적 지하디스트, 레이건의 대 아프가니스탄 전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