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사회적 자본이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Wilensky 와 Lebeaux의 복지국가 유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the Types Preference of Welfare Stat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1898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하상근
연구수행기관 (구)경남과학기술대학교(폐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970년대 후반 세계적인 경제 불황 이후 각 국가들은 아주 다양한 방식으로 복지를 진행시켜 나갔다. 경제성장에 매달려 극단적인 불평등을 낳은 영미식 자본주의는 복지지출 축소와 시장의 자율성 강화를 통해, 최저수준의 저소득층에 대해서만 복지를 제공하는 이른바 잔여적(선택적) 복지를 추구했다. 반면에, 북유럽 경제모델은 사회적 일자리 창출을 통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확대함으로써, 사회보장 제도의 보편성을 확대하는 이른바 제도적(보편적) 복지를 추구했다.
    북유럽 복지국가들은 많은 세수를 통해 교육과 의료ㆍ연금 등 사회보장을 국가가 해결하는 고부담ㆍ고복지 체제의 틀을 갖추고 있다. 그렇다고 북유럽 국가들이 성장을 외면하고 복지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다. 높은 수준의 복지를 제공하면서 재정건전성을 유지하려면 일정 수준의 경제성장률이 전제되어야 한다. 오히려 북유럽 경제모델은 철저한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즉 경제정책(성장)과 사회정책(복지)을 두 축으로 하여 서로 대립적이지 않고,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선순환을 가진다는 의미이다.
    우리나라의 사정은 어떠한가? 지난 대선 때 각 후보들이 경쟁하듯이 ‘경제민주화’를 공약으로 제시하면서 ‘보편적 복지’가 대세를 이루고 있었으나, 지금은 기존의 선택적 복지로 회귀하고 오히려 복지의 구조조정을 주장하고 있다. 즉 정부는 “지금은 성장이다. 경제성장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쳐서는 안 된다. 경제둔화의 늪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서는 아직은 복지가 아니다.”라고 말한다. 그리하여 경제활성화를 위한 각종 규제를 완화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면, 경제성장도 하고 소득과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우리 국민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침묵을 지키고 있는 소수의 기득권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민들은 보편적 복지를 원칙적으로는 지지하고 있으나, 복지재원의 한계 및 기존의 복지정책에 대한 불신 등으로 반대 역시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즉 복지재원의 한계로 인해 사회적 약자에게만 복지혜택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과, 기존의 복지정책(예를 들어, 최근 기초연금, 누리사업,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에 대한 대통령의 공약사업 취소 및 복지 구조조정 등으로 많은 국민들의 불신으로 보편적 복지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복지국가 유형 선호와 관련하여 선택적 복지를 주장하는 원인이 복지재원의 한계와 기존 복지정책에 대한 불신 때문이라고 하지만, 이는 우리사회의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의 부재로 인한 주장일 가능성이 크다. 즉 복지재원의 한계 때문에 잔여적(선택적) 복지를 해야 한다고 할 경우, 이는 사회적 자본 중 사회 내 네트워크의 부재로 인한 사회권적 기본권인 보편적 복지의 불인지의 결과이다. 반면, 기존 복지정책에 대한 불신 등으로 잔여적(선택적) 복지를 해야 한다고 할 경우, 이는 사회적 자본 중 기존의 복지정책과 관련된 신뢰와 규범의 부재로써 나타나는 결과로써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사회적 자본은 국민통합의 전제조건으로서 각종 신뢰(개인 간 신뢰, 개인과 조직의 신뢰, 개인과 정부와의 신뢰)를 향상시키고, 경제성장과 사회발전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급격히 심화되고 있는 사회적 불평등과 위기상황,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규범, 그리고 국민들 사이의 소통에도 그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하고자 한다. 즉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해 사회적 자본이라는 거시적인 모형을 접목시켜, 사회적 자본이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기존의 복지국가 유형에 관한 연구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사회적 자본이라는 거시적 분석모형을 적용시킨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과연 복지국가 유형 선호와 사회적 자본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서 정부는 지금까지 논의 중인 복지국가에 대해 얼마나 진정어린 노력하였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우리 사회의 사회적 자본의 현황을 확인해 볼 뿐만 아니라, 정부의 복지국가 지향점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큰 기대효과를 가지며, 실용성 역시 높다고 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문적인 관심 및 후속연구 증대
    첫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본 연구는 정부의 일방적인 복지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복지정책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복지국가의 유형화에 가장 오래된 개념적 틀을 제시한 Wilensky와 Lebeaux(1965)의 유형화 이후 많은 국내ㆍ외의 경험적인 연구가 있어 왔지만, 국가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일반화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 같다. 따라서 보다 체계화되고 우리 상황에 적합한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문제는 특정 국가 혹은 특정 사회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의 결과이다. 따라서 21C 초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고 준거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 또한 중요한 연구 내용이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복지정책을 둘러싼 각종 가치의 배분과 관련된 것이므로,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민주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성공적인 복지국가에 기여 및 정부의 복지정책 관리능력의 향상
    첫째, 이 연구는 우리 국민들이 왜, 어떠한 이유로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지국가 유형 선호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복지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 요인연구는 정부로 하여금 바람직한 복지국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정부의 복지정책 관리능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지속적으로 국민들이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정부는 복지정책 관리에 소홀하고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이는 사회통합을 위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3. 교육에의 활용정도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적인 차원에서 국민들의 복지국가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대학교육과의 연계를 통한 활용이 가능하다.
    첫째,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논의는, 현재 우리 국민들이 논의하고 있는 복지국가 일반의 보편성뿐만 아니라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고, 아울러 우리 국민들이 복지국가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이론적인 연구와 실증적인 연구를 포함한 본 연구는 한국적 복지국가 지향을 높이는 교육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국민들의 지나친 인식 차이와 혼란은 복지정책의 성공과 실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을 담당할 예비인과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이다. 따라서 정책교육적인 측면에서 성공적인 복지국가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며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복지정책교육과 공무원 복지마인드에서 강화되어야 할 부분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내용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산업사회의 변화와 함께 각종 복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복지국가의 지향이라는 측면에서 헌법에서 보장된 사회권적 기본권의 실질적 법적 지위 부여 여부와, 복지국가로서의 복지정책의 범위나 대상과 관련하여 국민들과 정부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대선 때 각 후보자들의 경제민주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약과 논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지의 수준은 후퇴하거나 축소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상보육과 무상교육 등의 복지국가와 관련하여, 이른바 보편적(제도적) 복지와 선택적(잔여적) 복지 간의 뜨거운 논쟁으로 국민들의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복지국가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즉 우리 국민들은 Wilensky와 Lebeaux(1965)의 복지국가 유형(제도적 복지와 잔여적 복지) 중 어떤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확인하고,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할 경우 왜 선호하는지를 사회적 자본이라는 분석모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국민들은 Wilensky와 Lebeaux(1965)의 복지국가 유형 중 어떤 복지국가를 선호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복지국가와 관련된 주요 복지제도(정책)를 사회적 자본(구성요소를 신뢰, 네트워크, 그리고 규범으로 구분하여)으로 재구성하여, 복지국가에 대한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기존의 복지국가 유형화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복지국가 유형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론이나 어떤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체계적인 분석모델이 결여된 채, 단순한 이론적인 분류나 경험적 연구만 시도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거시적인 분석모델을 독립변수로 하여,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복지국가를 위한 사회적 자본의 정착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변수의 선정
    이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 선호를 종속변수로 하고 그 영향요인을 사회적 자본으로 구성하여 그 인과관계를 연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국가로서의 주요 특성 및 기능을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목표신뢰, 수단신뢰), 네트워크(1차적 유대, 2차적 유대), 규범(제도규범, 참여규범) 등으로 재구성하여, 이를 독립변수로 삼고자 한다.
    그리고 종속변수는 Wilensky와 Lebeaux(1965)의 제도적(institutional) 복지제도와 잔여적(residual) 복지제도와 관련된 유형화이다. 이를 측정하기 위한 변수로는 ① 사회권 인정 여부와 ② 복지대상자 범위로 정하였다.

    3. 연구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고자 한다. 이론적 연구는 국내외 문헌조사와 선행 사례연구를 통해 기술적, 분석적 그리고 인과적인 접근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그리고 경험적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등을 포함하는 행위자 개인의 행태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경험적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만 19세 이상의 울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자 한다. 표본추출방법은 도시규모를 기준으로 층화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이 사용될 것이다. 즉 울산광역시를 대도시지역, 경남지역을 중·소도시로 구분하여 시(市)지역과 군(郡)지역의 표본을 추출하되, 각 지역을 단순무작위 표본추출을 통해 표본을 선정하고자 한다.

    4. 연구의 방법
    자료의 수집은 2차 자료로서 각종 정부간행물 및 기록문서(보건복지부, 통계청, 노동부 등)의 통계자료와, 1차 자료로서 설문조사를 통한 분석자료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교차분석, 신뢰도 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복지국가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우리 국민들은 Wilensky & Lebeaux(1965)의 복지국가 유형(제도적 복지와 잔여적 복지) 중 어떤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확인하고,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할 경우 왜 선호하는지를 사회적 자본이라는 분석모형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복지국가 유형 선호 분석 결과
    우선 복지국가 유형선호와 관련하여 볼 때, 우리 국민들은 경제활성화 정책(성장 우선 정책, 33.3%)보다 복지정책(분배 우선 정책, 66.7%)이 두 배 정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대선을 비롯한 최근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나타나고 있는 각종 경제민주화 선거공약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국민적 요구에도 불구하고 현 정부에서는 복지정책(분배)에 대한 우려만을 제기하고, 성장을 위한 경제정책에 몰입하고 있는 듯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사회권적 기본권의 수용 여부와 복지대상자의 범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복지정책(제도)에 대한 사회권의 수용여부에 대해서는 각각의 절반 정도의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점을 볼 때, 우리 국민들은 각종 복지(분배)정책이 국민의 기본권인지에 대한 합의가 아직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복지정책의 대상자의 범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우리 국민들은 복지정책 적용대상자 전체 국민보다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제한적 적용을 훨씬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39.1% 對 60.9%). 이는 복지(분배)정책에 대한 마인드(mind)나 현실적인 어려움(예컨대, 예산부족 등) 등이 그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정리해보면, 우리 국민들은 복지(분배)정책 등 경제민주화에 대한 열망은 대단히 높지만, 복지정책(제도)이 헌법에서 보장된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복지대상자를 사회적 약자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잔여적(선택적) 복지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우리 국민들은 규범적으로는 성장위주의 경제정책보다 분배중심의 복지정책이 더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은 하되, 복지정책의 모형에 있어서는 서구유럽식 제도적 복지보다는 영미식의 잔여적 복지를 더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정치 및 사회적으로 분배중심의 경제민주화가 국민적 관심으로 제기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안적 복지모형을 국민적 참여를 통한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2.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인과관계 분석 결과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복지정책(제도)에 대한 사고가 복지국가 유형 선호(제도적/잔여적 복지)에 대해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정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특이하게도 두 개의 종속변수(사회권 수용여부와 복지대상자 범위)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참여규범’과 ‘연령(40대)’ 변수이다. 따라서 두 개의 독립변수는 두 개의 종속변수에 대해 동일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먼저 ‘참여규범’을 살펴보면, 국민들의 국민적 지지나 요구, 그리고 국민 참여야말로 국민의 사회적 기본권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다. 보통 국민들은 각자 개인의 생활고로 인해 국정운영에 대해 무관심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무관심이 우리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회권으로서의 실질적인 국민적 권리를 상실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리고 ‘참여규범’이 높을수록 복지대상자의 범위를 적용대상자 모두에게 복지혜택이 적용되는 제도적 복지를 더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참여한 만큼 혜택이나 적용의 범위가 더 넓어야 한다는 논리인 것이다.
    다음으로 ‘연령(40대)’의 경우 ‘연령(50대 이상)’의 고령자에 비해 비교적 젊은 40대일수록 사회권을 더 많이 지향(인정)하고 있고, 그리고 복지대상자의 범위 또한 적용대상자 모두에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제도적 복지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50대 이상’의 연령층보다는 40대가 보다 진보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 영문
  •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what type of welfare state is preferred by the our people. In other words, the Korean people identify welfare state type (institutional welfare and residual welfare) of Wilensky and Lebeaux (1965), preferring welfare state type,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Korean people have a high desire for economic democratization such as welfare (distribution) policy, but the welfare policy (system) has not been agreed as a basic social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welfare target has to be limited to the social weak residual(Optional) welfare. In other words, the Korean people think that welfare policies based on distribu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over growth oriented economic policies. That is, in the model of welfare policy, they prefer the residual welfare of British and American style rather than western European institutional welfare.
    However, as democratization centering on distribution and politics in recent years is raised as a public interest, alternative welfare models should be resolved through democratic methods through national particip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산업사회의 변화와 함께 각종 복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복지국가의 지향이라는 측면에서 헌법에서 보장된 사회권적 기본권의 실질적 법적 지위 부여 여부와, 복지국가로서의 복지정책의 범위나 대상과 관련하여 국민들과 정부는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지난 대선 때 각 후보자들의 경제민주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공약과 논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복지의 수준은 후퇴하거나 축소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무상보육과 무상교육 등의 복지국가와 관련하여, 이른바 보편적(제도적) 복지와 선택적(잔여적) 복지 간의 뜨거운 논쟁으로 국민들의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들이 선호하는 복지국가의 유형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우리 국민들은 Wilensky와 Lebeaux(1965)의 복지국가 유형(제도적 복지와 잔여적 복지) 중 어떤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하는지를 확인하고,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할 경우 왜 선호하는지를 사회적 자본이라는 분석모형으로 설명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우리 국민들은 복지(분배)정책 등 경제민주화에 대한 열망은 대단히 높지만, 복지정책(제도)이 헌법에서 보장된 사회적 기본권으로서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복지대상자를 사회적 약자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잔여적(선택적) 복지를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우리 국민들은 규범적으로는 성장위주의 경제정책보다 분배중심의 복지정책이 더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은 하되, 복지정책의 모형에 있어서는 서구유럽식 제도적 복지보다는 영미식의 잔여적 복지를 더 선호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정치 및 사회적으로 분배중심의 경제민주화가 국민적 관심으로 제기되는 만큼, 이에 대한 대안적 복지모형을 국민적 참여를 통한 민주적인 방식으로 해결해야만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는 기존의 복지국가 유형에 관한 연구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사회적 자본이라는 거시적 분석모형을 적용시킨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과연 복지국가 유형 선호와 사회적 자본 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서 정부는 지금까지 논의 중인 복지국가에 대해 얼마나 진정어린 노력하였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우리 사회의 사회적 자본의 현황을 확인해 볼 뿐만 아니라, 정부의 복지국가 지향점도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무적으로 큰 기대효과를 가지며, 실용성 역시 높다고 할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학문적인 관심 및 후속연구 증대
    첫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본 연구는 정부의 일방적인 복지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함으로써, 국민생활과 직결되는 복지정책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대한 문제는 특정 국가 혹은 특정 사회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자본의 결과이다. 따라서 21C 초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고 준거하는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 또한 중요한 연구 내용이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복지정책을 둘러싼 각종 가치의 배분과 관련된 것이므로, 사회통합의 차원에서 민주적인 방식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 성공적인 복지국가에 기여 및 정부의 복지정책 관리능력의 향상
    첫째, 사회적 자본이 복지국가 유형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우리 국민들이 왜, 어떠한 이유로 특정 복지국가 유형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러한 복지국가 유형 선호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복지국가를 형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정부로 하여금 바람직한 복지국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정부의 복지정책 관리능력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교육에의 활용정도
    첫째,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논의는, 현재 우리 국민들이 논의하고 있는 복지국가 일반의 보편성뿐만 아니라 한국적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현장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복지국가에 대한 교육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복지국가 유형에 대한 국민들의 지나친 인식 차이와 혼란은 복지정책의 성공과 실패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정책을 담당할 예비인과 정책을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에게 필요한 교육내용이다. 따라서 정책교육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복지정책교육과 공무원 복지마인드에서 강화되어야 할 부분이다.
  • 색인어
  • 복지국가 유형, 사회적 자본, 제도적 복지, 잔여적 복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