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구어 및 문어담화에 나타난 응집장치 사용 양상
Cohesive Devices in Spoken and Written Discourse by Korean EFL Learn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199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안수진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40;ERICA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담화능력을 갖춘 사람은 응집장치를 이용하여 의미적 완결성과 통일성이 있는 담화를 구성해 내고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응집장치에 대해 아무런 교육도 받지 않은 학습자들은 연속적으로 문장들을 의미적으로 나열하고 적절한 응집장치를 사용하여 문장을 연결한다는 것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만약 학습자들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응집 장치가 어떤 것들이고, 그것이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그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고 수준별로 지도해야할 응집장치는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나아가 영어 학습자가 응집장치의 사용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된다면 영어 능력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해 볼 수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중요한 관점은 담화 장르별 접근이다. 문어담화에서 응집장치들은 텍스트의 독해와 분석에 있어서 통일성 있는 글로서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어담화에서는 화자가 담화 수준에서 의미를 차근차근 전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응집장치의 사용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문어담화든 구어담화든 그 장르별로 특징 및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담화 장르라는 것이 장르별로 구별되는 내적 구조를 가진 것으로 본다면 담화 장르별로 응집장치 사용에 있어서도 그 특징 및 특성이 같은 빈도로 실현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구어담화와 문어담화의 특징을 상호 비교분석하는 작업이 담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 영어 학습자들의 응집장치 사용 양상은 전반적으로 문어담화에 치우쳐있고, 구어담화와 문어담화 내에서 응집장치 사용 양상이 다른지를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구어담화와 문어담화 샘플을 통한 응집장치 사용의 특징을 다룬 본 연구는 담화 응집성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교수, 학습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어담화와 문어담화의 응집장치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해 구어담화의 경우 학습자의 구어평가와 과업을, 문어담화의 경우 요약(summary)을 통해 실험 참여자들의 실제 구어와 문어담화 샘플을 추출하였다. 한편, 첫 번째 그리고 두 번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의 구어담화 및 문어담화에 사용된 응집장치의 사용 빈도를 응집장치인 지시, 대용, 생략, 접속, 어휘에 해당하는 항목별로 조사하여 양적 분표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 다시 개별 자료들을 낱낱이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여 빈도 분석에서 놓치게 되는 개별 담화의 특성들, 적절성 여부 등을 찾아 보완하였다. 그 다음으로 세 번째 연구 문제인 구어담화와 문어담화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고찰하였다. 빈도 분석은 AntConc 3.2.4를 사용하였고, 상관관계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였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담화능력을 갖춘 사람은 응집장치를 이용하여 의미적 완결성과 통일성이 있는 담화를 구성해 내고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응집장치에 대해 아무런 교육도 받지 않은 학습자들은 연속적으로 문장들을 의미적으로 나열하고 적절한 응집장치를 사용하여 문장을 연결한다는 것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한편, 학자들은 담화 장르별로 응집장치 사용에 있어서도 그 특징이 같은 빈도로 실현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구어와 문어담화의 특징을 상호 비교분석하는 작업이 담화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만약 학습자들이 빈번하게 사용하는 응집 장치가 어떤 것들이고, 그것이 원어민과 비교했을때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면, 그들에게 어떠한 교육적 처치가 필요하고 수준별로 지도해야할 응집장치는 어떠한 것이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이에 한국인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의 구두 대화와 요약문을 대상으로 응집장치를 분석한 결과 기존의 선행연구처럼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동일한 기능을 표현하는 다양한 응집 장치들 중 제한된 몇몇, 한 가지 표현에 편중하여 사용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선행연구들이 주장한 원어민이 사용하는 구어 및 문어담화의 장르별 응집장치 사용이 학습자들의 경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frequency, types and functions of cohesive devices used for oral conversation and written summary. For analysis, this study collected 35 oral conversations and 70 written summaries by Korean EFL students. Cohesive devices were classified based on Halliday and Hasan(1976)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ohesive devices were shown more frequently in written discourse than in spoken discourse. The two most frequently used devices in both discourses were pronominal reference and lexical repetition. The finding does not support the conclusion of researches that personal pronouns aren't widely used in written discourse. In both discourses, substitution and ellipsis devices were the least frequently used. Overall, the results are in line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found the overuse and misuse of certain cohesive devices by EFL/ESL learn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 영어 학습자 7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구어와 문어담화의 응집장치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어담화의 경우 학습자의 구두 대화를, 문어담화의 경우 요약문(summary)을 통해 실험 참여자들의 실제 구어와 문어담화 샘플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는 Halliday와 Hasan(1976)의 응집장치 분류 목록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빈번히 사용한 3개의 응집 장치 유형으로는 구두 대화의 경우 대명사>동일어>지시사, 요약문의 경우 동일어>대명사>정관사, 부가접속사 순서이다. 4가지 응집 장치 중에서는 구두 대화의 경우는 지시 응집장치가 가장 빈번히 사용되었고 요약문의 경우 어휘였다. 한편 구두 대화와 요약문 모두에서 구어담화의 특징인 대용과 생략이 가장 드물게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영어 학습자들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참여자들도 특정한 접속 장치의 과용 및 오용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다양하고 적절한 접속 장치 사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을 들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선행연구처럼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동일한 기능을 표현하는 다양한 응집 장치들 중 제한된 몇몇, 한 가지 표현에 편중하여 사용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선행연구들이 주장한 원어민이 사용하는 구어 및 문어담화의 장르별 응집장치 사용이 학습자들의 경우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물론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구어와 문어담화 샘플을 통한 응집장치 사용의 특징을 다룬 본 연구는 일반화하기 힘든 점이 있지만 담화 장르별 응집성 사용에 대한 기존의 선행 연구를 보완해 줄 수 있는 교수, 학습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구어담화, 문어담화, 구두 대화, 요약문, 응집장치, 한국인 영어 학습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