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A Influence of the External Self-Management Program to Self-esteem and Happiness -Focusing on At-risk Youth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375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현영 [ NRF 인문사회 연구책임 5회 수행 / 학술논문 5편 게재 / 총 피인용 34회 ]
연구수행기관 국립창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우리나라의 청소년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위기청소년은 증가하는 위험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와 가정에서 보호 받지 못하고 미디어중독, 대인관계 미숙, 학업에 대한 흥미상실, 학교 폭력, 가정문제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위기청소년의 증가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보호받지 못함으로 내재되어 있던 환경적·개인적 위기요인이 다양한 외적 요인으로 표출되며 불안, 우울증, 분노, 열등감, 무기력, 폭력, 따돌림 등 다양한 외적 특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2차 범죄로 발전되거나 또 다른 피해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이는 사회적으로 많은 인적자원의 유실을 가져온다.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해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정서적 교류를 시도함으로서 패션 스타일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물론이고 외적자기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의생활을 통한 문화적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향상, 내․외적 자신감 상승으로 올바른 품성 및 대인관계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적응,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개성과 자기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패션 및 뷰티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관심도가 아주 높다. 청소년시기에는 외모의 중요성이 강하게 인식되면서,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고, 동료집단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자신감과 사회적 안정감을 얻고자한다. 이처럼 청소년은 의복에 대한 심리적인 의존성이 높으며, 직접 제품을 탐색하여 선택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소비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패션에 대한 교육이 실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사실상 학교나 가정에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이나 기초지식을 배우는 기회가 없다. 자신의 이미지 향상이 외면의 아름다움 뿐만 아니라 내면의 가치를 재발견 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하고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그 활용가치가 크다는 것을 각인시켜주는 의미에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기대효과
  • 첫째, 패션은 매일의 삶에 있어서 우리 자신에게 가장 가까우며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위기청소년의 자존감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일반 중고등학교의 일탈가능성이 있는 잠재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여 위기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 혹은 가정의 문제로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측면을 넘어서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전체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인간의 행복은 주어진 정보의 양이 아니라 질의 가치로 판단되며 이러한 질적 가치를 느끼는 것이 감성이다. 그러므로 위기 청소년들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할 수 있는 외적자기관리의 패션, 미용, 문화, 예술 분야 등에 관한 창의적 전공체험활동을 통한 동기부여 및 다양한 직업탐색 및 진로개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외모향상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적극적 사회참여와 능동적인 생활방식으로 점점 심각해 가는 위기청소년 문제에 도움이 될 것이며, 자기신체 인식과 외적자기관리를 통해 바람직한 사회적응의 기초를 마련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자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해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정서적 교류를 시도함으로서 패션 스타일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물론이고 외적자기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의생활을 통한 문화적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향상, 내․외적 자신감 상승으로 올바른 품성 및 대인관계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적응,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경남지역의 대안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특별처분으로 받은 실제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을 적용을 통해 위기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존감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또한 센터에 근무하시는 선생님, 사회복지사, 외부활동 강사선생님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질적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방법(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방법을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을 분석하는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지법을 이용한 사전, 사후 검사를 진행할 것이다. 또한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사전 이미지와 사후 이미지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할 것이다.
    외적이미지는 인간의 외부로 나타나는 종합적인 이미지로써 내적이미지가 외모, 언행, 자세, 표정 등의 꾸밈행동으로 통하여 외부로 표현되는 현상이다. 청소년에게는 급속한 신체성장, 사회성의 발달로 자신의 신체 및 외모에 관심이 집중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 따라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사고 및 자신감의 자기 이미지 강화를 위해서는 외적 이미지가 중요한 변인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의 적용을 시도하고 프로그램 적용 전, 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고, 전체적인 외적 이미지의 변화를 분석할 것이다.본 연구는 특히 청소년기에 관심도가 높은 패션, 뷰티라는 주제로 학교 및 사회적응이 힘든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외적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한 자존감 및 행복감 추구에 관한 실증적․질적 연구로 매우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청소년기는 인생 전반을 살펴볼 때, 인간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이고 자신의 정체감을 발견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와 고민을 하는 시기이며 많은 변화에 적응해야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쉽게 위기상황에 노출되는 취약한 단계이기도하다. 그러나 청소년은 성인에 비해 위기를 극복할 자원이 부족하면서도 도움의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의도적으로 도움받기를 거절하기 쉽다. 여러 해 동안 청소년의 위기실태를 반영하는 여러 부적응적 문제들의 심각성이 연구와 방송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위기청소년이 저연령화 되고 있어 사회적인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청소년의 약 16%정도(17만명)를 위기청소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점차 증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청소년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위기청소년은 증가하는 위험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학교와 가정에서 보호 받지 못하고 미디어중독, 대인관계 미숙, 학업에 대한 흥미상실, 학교 폭력, 가정문제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위기청소년의 증가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보호받지 못함으로 내재되어 있던 환경적·개인적 위기요인이 다양한 외적 요인으로 표출되며 불안, 우울증, 분노, 열등감, 무기력, 폭력, 따돌림 등 다양한 외적 특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2차 범죄로 발전되거나 또 다른 피해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이는 사회적으로 많은 인적자원의 유실을 가져온다.
    이러한 인적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위기청소년의 자신에 대한 올바른 파악을 통한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활동 프로그램으로 자신이 알지 못했던 특기, 꿈, 적성계발 등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청소년기는 패션소비나 개성에 대한 표현에 있어서도 성인에 비해 정서적 불안이나 심리적인 혼란으로 충동적이거나 비합리적인 소비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으며 패션 스타일링을 단지 겉모습으로만 드러나는 외적 치장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가정이나 학교에서 세심한 보호를 받지 못한 위기 청소년들은 또래집단 보다 이른 시기에 가정이나 학교의 테두리를 벗어나 많은 시간을 사회의 환경적 자극과 접촉하게 되면서 성인의 패션 이미지를 그대로 모방하거나 과시하는 현상이 많이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해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정서적 교류를 시도함으로서 패션 스타일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물론이고 외적자기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의생활을 통한 문화적 소양을 기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향상, 내․외적 자신감 상승으로 올바른 품성 및 대인관계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적응,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는 경남지역의 대안교육학교 2곳을 중심으로 일반 중・고등학교의 부적응학생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외적자기관리가 주관적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학교에 근무하시는 선생님, 외부활동 프로그램 진행 강사선생님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행복이란 삶의 만족, 좋은 경험, 긍정적 사고방식과 같이 생활 전반에서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긍정적 정서를 의미한다. 행복감이란 자신의 경험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얻게 되는 만족감이며 자신이 가진 강점과 자원을 스스로 인식하고 발휘할 때 느낄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로 정의할 수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행복이란 우리가 전반적인 삶에 대하여 느끼는 만족이라고 정의하였다. 특히 청소년기의 행복감은 청소년이 앞으로 세상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며 어떻게 성장하느냐 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즉 행복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청소년과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의 인성이나 사회적응력 등 차이는 크게 나타날 것이다.
    자아존중감은 자기 능력에 대하여 확신감, 자기존중에 대하여 가치성을 인정하는 태도를 말하고, 개인의 발달과정 및 적응에 있어 중심이 되는 심리적 변인을 말한다. 자아존중감의 형성, 변화, 발달은 인생의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되어지고 있지만, 특히 청소년기에는 자아 인식과 평가가 다른 발달 단계보다 더욱 활발히 진행되며, 자아존중감이 낮을 경우 청소년들은 행동적, 학업적, 심리적 문제들이 더 심각하게 대두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일반 중고등학교의 일탈가능성이 있는 잠재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여 위기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 혹은 가정의 문제로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측면을 넘어서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전체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인간의 행복은 주어진 정보의 양이 아니라 질의 가치로 판단되며 이러한 질적 가치를 느끼는 것이 감성이다. 그러므로 위기 청소년들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할 수 있는 외적자기관리의 패션, 미용, 문화, 예술 분야 등에 관한 창의적 전공체험활동을 통한 동기부여 및 다양한 직업탐색 및 진로개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자신감을 도모하여 자신의 개성과 자아개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상위학년 진학 및 사회생활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모향상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적극적 사회참여와 능동적인 생활방식으로 점점 심각해 가는 위기청소년 문제에 도움이 될 것이며, 자기신체 인식과 외적자기관리를 통해 바람직한 사회적응의 기초를 마련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자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Adolescence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personal growth considering the life as a whole and a period when a person tries many things and has many thoughts in an effort to find his or her identity while being asked to adapt to many changes. It is also a vulnerable stage in life easily exposed to crises. However, adolescents have less resources to overcome crises than adults and are less likely to recognize the need for help and more likely to refuse help intentionally. The seriousness of many problems of maladjustment that reflect the crises of adolescents has been reported through research and broadcasting over the years. Recently, adolescents at risk have been found at younger ages and the society is raising its concerned voices. In Korea, approximately 16% (170,000) of all adolescents are estimated to have crises, and this rate is expected to grow gradually. The number of adolescents at risk has increased while the population of adolescents has decreased continuously, and particularly, the number of adolescents unprotected at school and home and undergoing crises due to media addiction, lack of interpersonal relations, loss of interest in study, school violence, and domestic problems is increasing day by day.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adolescents at risk, environmental and personal risk factors built up in adolescents while they were not protected by the family or the school are expressed as a variety of external factors and manifested as various external characteristic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ger, inferiority complex, helplessness, violence, and bullying. This phenomenon can lead to a secondary crime or victimization, which can result in a loss of significant human resources in social sense.
    In order to minimize such a loss of human resources, it is urgent to help the adolescents at risk understand themselves correctly and improve self-esteem and sense of happiness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art experience programs which would guide them to find the special skills they had but not realized, have dreams, and develop aptitude. It is more likely that adolescents to engage in impulsive or unreasonable consumption behaviors due to emotional anxiety or psychological confusion compared to adults even in terms of fashion consumption and personality expression and to regard fashion styling as external adornment that only appear on the outside. Especially, adolescents at risk who have not been carefully protected at home or school a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al stimuli of society for heaps of time outside of the boundaries of home or school earlier than their peer group in most cases.
    This study was determined to gi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fashion styling by trying to emotionally communicate with adolescents exposed to risky situations through the medium of fashion and also cultivate cultural literacy through wholesome clothing habit through external self-management program. Through such activities, this study intended motivate adolescents to enhance self-esteem and subjective sense of happiness and adapt to and grow in the family, school, and local community through increased internal and external confidence, wholesome character,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interviews with school teachers and instructors operating external activities about how the management of one’s own appearance influence the changes in subjective happiness and self-esteem by focusing on maladjusted students of two alternative schools and ordin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Happiness refers to a positive emotion that can be felt continuously throughout life such as life satisfaction, good experience, and positive way of thinking. The sense of happiness is the satisfaction that one feels by interpreting and evaluating his or her experience in a positive way and can be defined as the positive emotions that can be felt when one perceives and uses the strengths and resources that he or she has. Many researchers have defined happiness as the satisfaction that we feel about the life as a whole. The happiness in life, particularly during the adolescence, is an important issue that affects the perspective in which the adolescents would look at the world in the future when they grow up. In other words, the adolescents that feel happy in life and those who do not will show a great difference in personality and social adaptability.
    The self-esteem refers to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belief in one’s own ability and the value of self-esteem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that are important in the individual's developmental process and adaptation. Although the self-esteem is formed,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out life, the self-awareness and self-evaluation develop more actively than other stages of development particularly in adolescence, and the adolescents with low self-esteem are faced with more serious behavioral, scholastic, and psychological issues.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help current adolescents at risk to improve their self-esteem but also become a chance to see the issue of adolescents at risk as a part of social issue instead of limiting the issue as personal or domestic issue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scope of the results to adolescents i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who have the potential of going astray in order to approach the issue on the level of the entire society. A person’s happiness is judged by the value of quality rather than the amount of information given, and the emotion feels such a qualitative value. In other words, the management of their own appearance that can stimulate the emotional aspect of the adolescents at risk will be able to motivate them through the creative experience of special fields relating to fashion, beauty, culture, and art and directly help the search of various jobs and career development.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for adolescents to recognize their personality and the concept of self by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confidence and chang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ir own appearance in daily life, helping them to move on to upper grades and start social life. Also, it will improve the worsening issue of adolescents at risk by enhancing self-esteem and reducing negative emotions to promote full social participation and active lifestyle, and it will help adolescents to prepare the basis upon which to adapt to the society in a wholesome way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ir own bodies and the management of their appearances, change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their appearance in everyday living, an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based on the spirit of care and sha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우리나라의 청소년 인구는 계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위기청소년은 계속 증가(장아름, 2007)하는 위험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학교와 가정에서 보호 받지 못하고 대인관계 미숙, 학업에 대한 흥미상실, 학교 폭력, 가정문제 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위기청소년의 증가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보호받지 못함으로 내재되어 있던 환경적·개인적 위기요인이 다양한 외적 요인으로 표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위기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마인드를 함양하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은 중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는 학생이 변화하는 사회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개성과 자기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패션 및 뷰티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관심도가 아주 높다. 청소년시기에는 외모의 중요성이 강하게 인식되면서,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고, 동료집단과의 동일시를 통하여 자신감과 사회적 안정감을 얻고자한다. 이처럼 청소년은 의복에 대한 심리적인 의존성이 높으며, 직접 제품을 탐색하여 선택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소비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교육을 필요로 한다. 특히 패션은 매일의 삶에 있어서 우리 자신에게 가장 가까우며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패션에 대한 교육이 실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사실상 학교나 가정에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이나 기초지식을 배우는 기회가 없다. 자신의 이미지 향상이 외면의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면의 가치를 재발견 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하고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도 그 활용가치가 크다는 것을 각인시켜주는 의미에서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위기 상황에 노출된 청소년에 대해 패션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정서적 교류를 시도함으로서 패션 스타일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물론이고 외적자기관리프로그램을 통해 올바른 의생활을 통한 문화적 소양을 기를수 있을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향상, 내․외적 자신감 상승으로 올바른 품성 및 대인관계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건강하게 적응, 성장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외적인 이미지는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받는다. 우선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평가적인 차원에서 강력한 후광효과를 낼 수 있다. Mac Gillivray &Willson(1997)은 외모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즉, 자신의 외적이미지 메이킹을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자기존중감을 높일 수 있으며, 타인에게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지각을 가져와 자신의 가치를 높여 이것이 사회적 성공요인으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아개념 및 청년기의 문제에 관한 많은 연구들은 자신의 신체 자아에 대한 심각한 불만족을 보이고 있으며 자아실현에 대한 실패를 우려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자아실현에 대한 자신감의 감소는 특히 청소년기에 있어서 어떠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개인의 신념을 감소시켜 자존감이나 행복감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일반 중고등학교의 일탈가능성이 있는 잠재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여 위기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 혹은 가정의 문제로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측면을 넘어서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전체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인간의 행복은 주어진 정보의 양이 아니라 질의 가치로 판단되며 이러한 질적 가치를 느끼는 것이 감성이다. 그러므로 위기 청소년들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할 수 있는 외적자기관리의 패션, 미용, 문화, 예술 분야 등에 관한 창의적 전공체험활동을 통한 동기부여 및 다양한 직업탐색 및 진로개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자신감을 도모하여 자신의 개성과 자아개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상위학년 진학 및 사회생활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대안학교의 세 번째 유형으로 일반 중고등학교의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 중고등학교에 원적을 두고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일반교과과목(국,영,수,과)을 적정시간 이수하고, 학생들이 흥미 있어 하는 다양한 대안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원적을 둔 고등학교에서 졸업장을 이수하는 형태이다. 검정고시나 퇴학, 자퇴등의 사유는 대안학교에 인계될 수 없는 형식이었다. 본 연구를 위해 방문한 대안학교는 주로 고등학교 1-3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년별 수업인 아닌 1학년부터 3학년 학생이 통합수업을 진행하였다. 남․녀 합반의 형태이고 남․여 학생의 비율 또한 학기별로 상이하였다. 학기별 경남의 각 고등학교 재학생 중 대안학교로 위탁되는 학생이므로 학생의 정원 또한 10~20명 내외의 소규모형태로 각 학생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보살필 수 있는 형식이었다. 학교의 조직형태는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교장선생님, 담임선생님.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과목의 선생님들, 그리고 외부 강사를 초빙한 강좌를 진행하는 형태였다.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외국어, 체육 과목을 주당 약 18시간 진행하고, 학생들의 선호도 및 학교에서 선택한 특별활동 시간으로 바리스타, 승마, 인성, 미술, 집단상담, 미디어 등의 외부강의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외부 프로그램 또한 학생들의 선호도나 흥미도를 분석하여 적용하여 진행하므로 대안학교마다 프로그램의 차이는 현저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대학 진학을 목표로 입시형태의 학업위주 교육이 아닌 고등학교 졸업을 위한 기본적인 교과과목을 수업하고 주로 학생들의 꿈, 미래, 지립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나이제한 없이 기술로 직업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바리스타, 미용교육 등이 선호된다고 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일찍 스스로 자립해야하는 가정환경의 이유도 있다고 설명하였다. 선생님은 주로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나 적응도, 수업태도 등이 현저히 낮은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한다. 어린나이에 다양한 불안요소에 노출되어 심리적으로 일반학생들에 비해 다양한 문화, 인성 교육 등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가장 중요한 자신에 대한 외적 자기관리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특별히 교육되는 부분이 없어 학생들에게는 도움이 될것이다.
    - 패션은 매일의 삶에 있어서 우리 자신에게 가장 가까우며 일상생활에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재 위기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 뿐 아니라 나아가 일반 중고등학교의 일탈가능성이 있는 잠재 위기청소년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하여 위기청소년들의 문제를 개인의 문제 혹은 가정의 문제로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측면을 넘어서 사회문제의 한 영역으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전체 사회적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기를 제안한다.
    - 인간의 행복은 주어진 정보의 양이 아니라 질의 가치로 판단되며 이러한 질적 가치를 느끼는 것이 감성이다. 그러므로 위기 청소년들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 할 수 있는 외적자기관리의 패션, 미용, 문화, 예술 분야 등에 관한 창의적 전공체험활동을 통한 동기부여 및 다양한 직업탐색 및 진로개척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의 확립과 자신감을 도모하여 자신의 개성과 자아개념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상위학년 진학 및 사회생활을 시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또한 외모향상을 통해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적극적 사회참여와 능동적인 생활방식으로 점점 심각해 가는 위기청소년 문제에 도움이 될 것이며, 자기신체 인식과 외적자기관리를 통해 바람직한 사회적응의 기초를 마련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외적자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변화시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외적자기관리, 자아존중감, 행복감, 위기청소년
  • 연구성과물 목록
1. 논문
KCI등재
패션스타일링을 통한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탁형 대안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pp.279~286 생활과학
출처연구과제 :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2. 보고서
연구결과물
(결과보고)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이현영 | 2017-02-25 | 복식문화
출처연구과제 : 외적자기관리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기청소년을 중심으로-
PDF(1)
데이터 이용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