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6․4이후 중국 영화에 표출된 냉소주의 양상 고찰
A Study of Cynicism Expressed in Chinese Movies after 6․4 Tiananmen Square Massacr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2721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완호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영화는 광범위한 문화적 재현 체계 중의 한 부분으로서 사회 현실의 특정한 방향을 형성하는 심리적인 성향이나 사회제도들을 유지시켜 주는 그 무엇인가에 대한 상식적인 감각을 만들어 낸다. 이는 2011년 한국 사회를 휩쓸었던 영화 <도가니>가 발휘하였던 파괴력을 통해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지나친 선전성 영화나 프로파간다 영화는 한 국가나 민족의 집단주의를 부추겨 잘못된 문화인식을 일방적으로 심어줄 개연성이 높다. 지속적인 선전 선동과 프로퍼간다에 매몰되면 의식하지 않는 가운데 집단적 이성 상실과 마비 증세를 초래한다. 개혁개방 이후 그 성과에 대한 공평한 분배와 자유의 외침이었던 6․4 천안문사태에도 불구하고 베이징 올림픽을 기화로 세상의 중심으로 성장한 자신들을 세계에 알린 중국 정부는 성장의 긍정적인 부분만을 강조하였다. 경제성장은 분명 중국인들에게 물질적 풍요를 제공하였지만, 6‧4가 말하듯 경제적 성장의 혜택은 일부 계층에 편중되었고, 부익부 빈익빈 및 계층의 고착화가 초래 되었다. 여기에 물질 만능주의의 만연과 지도층 내부의 부정부패 및 도덕적 헤이 등의 문제가 끊이지 않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중화민족 우월주의, 사회화해론 등을 강조함으로써 정부 정책과 사회주의 시장경제 등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우려 하지만 여의치 않는 상황이다.
    도저히 개선의 여지없이 더욱 악화되는 사회의 각종 병리 현상에 대해 영화계는 리얼리즘의 바탕으로 차갑고도 냉소적인 시선으로 적나라하게 그 현상들을 영상화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 미술계에서 6‧4 이후 희망을 잃어버린 중국 사회를 냉소주의적 시각으로 그려낸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미술계의 냉소주의는 지침·비열함·체념·무관심·조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냉소주의 관점은 잠시 주춤하다 사회의 병리현상이 심화 되면서 개선의 여지가 보이지 않는 시점에 더 이상의 침묵을 거부한 영화 제작자들에 의해 수용되어 영화에 표출되었다. 중국의 현대사는 격동의 역사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식과 시각이 필요하다. 때문에 그 한 방법론으로 냉소주의 성향의 영화들을 정리 분석함으로써 현재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하는 지평을 넓히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 기대효과
  • 냉소주의(cynicism)는 쌀쌀한 시선이나 비웃음으로 상대를 대하는 것을 칭하지만, 철학적으로는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든 관습이나 도덕, 제도 등을 부정하면서 본성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활할 것을 주장하는 태도를 말한다. 그것은 계몽주의의 결과인 동시에 계몽주의의 한계이다. 계몽이 끝난 뒤 바뀌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서도 바뀌지 않는 현실에 대한 사람들은 분노한다. 그러다 분노를 주체할 수 없게 될 때 체념해 버리곤 한다. 냉소주의는 단순히 체념하지 않고 보다 강력한 개선의 의지를 담아내는 것으로부터 출발이다. 때문에 계몽주의와는 전혀 다른 무엇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현상이다. 불편한 현상들이 계몽되지 않는, 계몽될 가능성이 없는 현실에 직면하여 조금이라도 더 개선해 보려는 시선이 머무는 곳에 냉소주의가 존재하기 마련이다.
    개혁개방이후 지속된 경제 성장의 어두운 측면을 애써 무시하고 눈감아 버림으로써 각종 모순과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되는 현실에 대해 계몽의 단계를 넘어 더 강력한 개선의 필요를 표현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6․4이후 미술계에서 시작된 이러한 시도들이 남순강화이후 잠시 주춤하더니, 최근에 이르러 한층 더 냉철해진 시각으로 보다 대중성을 지닌 영화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 현재 진행형이지만, 이러한 냉소주의 영화들을 분석 고찰한다는 것은 21세기 중국의 당면 현안에 대한 해결의 시각을 살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학문적으로는 중국인 중국 그리고 중국 문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매학기 교양으로 <중국의 이해>와 <영화로 이해하는 중국>을, 전공과정에 <중국의 예술과 문화(2-1학기)>와 <대중매체와 중국문화(3-1학기)>, <중국현대문학과 영상예술(3-2학기)>라는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본교의 교과 운영상, 본 연구 결과는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 연구목적: 6‧4이후 갈수록 심각해진 사회적 갈등과 반목, 물질만능주의가 만들어 낸 인간성 상실 등은 현실에 침묵하기를 거부하는 영화감독들에 의해 영상으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직접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은 심의의 통과에 장애로 작용하기에 영화는 비판적 의도를 드러내지 않고 현실 그대로를 묘사하듯 그려내었다. 그러면서 문제에 대한 적확한 직시를 바탕으로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하듯 냉소적인 시각으로 해결의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향점은 작품 분석을 통해 명확히 규명할 것이며, 이는 21세기 ‘부자 중국 가난한 중국인’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다.
    * 연구내용: 2015년 5월까지 냉소주의적 시각을 담고 있는 영화는 <頤和園>과 <白日焰火>, <天注定> 등 3편이다. <頤和園>은 6‧4이후 정체성 혼란에 직면한 청춘들의 사랑과 이별, 자살과 좌절, 화해를 담고 있으며, 자신들을 그렇게 만든 국가권력에 대해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白日焰火>는 세탁소 종업원답지 않은 미모를 지닌 여인의 주위에서 발생한 미궁에 빠진 연쇄토막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인간의 본능과 도덕적 모호함, 매섭도록 시린 소도시의 풍경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면서 범죄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보여주지 않는다. <天注定>은 실화를 바탕으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확립한 중국의 불쾌한 이면을 그려내었다. 네 개의 짧은 에피소드로 구성된 영화는 신에 의해 정해진 운명(天注定)의 모습을 전한다. 이들 영화들은 한결같이 작가의 주관이 철저하게 배제된 체 불편한 현실적 문제에 눈감지 않고 여과 없이 냉소적인 시각으로 있는 사실 그대로를 담아내고 있다. 본 연구의 종착역은 바로 냉소주의의 표현 양상과 표현을 통한 최종 지향점에 무엇이 있느냐를 파악하는 것이다.
    * 연구방법: 연구대상 영화의 선별과 정리 그리고 분석과 논문작성 등의 4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6·4이후 출시된 작품을 대상으로 리뷰읽기와 감상을 통해 작품을 선별하고 유관내용으로 1차 자료를 구축한다. 다음으로 1차 자료를 분석해 낼 수 있는 유관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2차 자료를 생성한 후 분석의 틀을 확정한다. 다음 단계로 연구 과제의 전체적인 얼개를 구상한 후, 기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논문의 초고를 작성한다. 마지막 단계로 작성된 초고 논문의 발표 후 수정 보완을 경과하여 학술지에 게재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작품성과 흥행성을 갖춘 웰 메이드(well-made) 영화는 광범위한 문화적 재현 체계 중의 한 부분으로서 사회 현실의 특정한 방향을 형성하는 심리적인 성향이나 사회제도들을 유지시켜 주는 상식적인 감각을 만들어 낸다. 짜임새 있는 각본과 안정적인 연출력, 설득력 있는 연기 조화를 이룬 영화들의 문화 재현력은 여타 장르 보다 강하다. 짜임새 있는 각본과 안정적인 연출력, 설득력 있는 연기 등이 조화를 이룬 영화들은 문화 재현력이 여타 장르 보다 강하다. 그렇다고 영화 내부의 완결성만으로는 폭넓은 대중의 관심을 이끌지 못한다. 영화가 영화 외부의 세상과 만날 때 더 큰 힘을 얻게 되며, 관중들에게 흥미를 제공하기 위해서 먼저 시대와 만나야 한다. 이 시대의 관객이 무엇을 꿈꾸고, 무엇을 그리워하며, 무엇에 분노하는가를 영화는 영화 이상의 무엇을 담아야 한다. 그것을 영화의 ‘시대정신’이라고 하며, 감독이 자신의 색깔을 강하게 내기보다는 대중의 취향 보다 반 발자국 앞서가는 영화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이다. 영화가 국가의 이념이나 지향점에 부응한다면 국가주의에 함몰되어 자칫 영화의 가치를 잃어버리게 된다. 지나친 선전성 영화나 프로파간다 영화는 한 국가나 민족의 집단주의를 부추겨 잘못된 문화인식을 일방적으로 심어줄 개연성이 높다. 의도하지 않는 가운데 집단적인 이성 상실과 마비 증세를 초래한다.
    도저히 개선의 여지없이 더욱 악화되는 사회의 각종 병리 현상에 대해 영화는 리얼리즘의 바탕으로 차갑고도 냉소적인 시선으로 적나라하게 그 현상들을 영상화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 미술계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은 6‧4 이후 희망을 잃어버린 중국 사회를 냉소주의적 시각으로 그려낸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미술계의 냉소주의는 비겁함·체념·무관심·조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6‧4 이후 사회 체계에 대한 불신과 소련 및 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으로 사회주의에 대한 회의가 일었던 시대적 상황에서 진중한 비판 대신에 있는 그대로를 현시하는 냉소적 시각을 지니게 하였다. 이러한 냉소주의적 시각은 사회의 병리적 현상에 침묵하지 않았던 영화 제작자들에 의해 수용되어 영화에 연출되었다. 냉소주의는 단순히 체념의 단계를 넘어 보다 강력한 개선의 의지를 담아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때문에 계몽주의와는 전혀 다른 그 무엇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불편한 현상들이 계몽되지 않는, 계몽될 가능성이 없는 현실에 직면하여 조금이라도 더 개선해 보려는 시선이 머무는 곳에 냉소주의가 존재한다.
    <여름궁전:頤和園>은 6‧4이후 정체성 혼란의 시대에 청춘들의 사랑과 이별, 자살과 좌절 그리고 화해를 담은 영화로, 자신들을 그렇게 만든 국가권력에 대해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백일염화白日焰火>는 중국 동북지역 여성의 특성이나 세탁소 종업원답지 않은 미모를 지닌 여인의 주위에서 발생한 미궁에 빠진 연쇄토막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인간의 본능과 도덕적 모호함, 매섭도록 시린 중국 동북부 소도시의 풍경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면서 범죄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보여주지 않는다. <천주정天注定>은 2000년대 실화를 바탕으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확립한 중국의 불쾌한 이면을 그려내었다. 네 개의 짧은 에피소드로 구성된 영화는 신에 의해 정해진 운명(天注定)의 모습을 전한다. 이들 영화들은 작가의 주관이 철저하게 배제된 체 불편한 현실적 문제에 눈감지 않고 있는 사실을 카메라에 담아내었다. 본 연구의 종착역은 바로 사실 그대로를 표현한 냉소주의의 최종 지향점에 무엇이 있느냐를 파악하는 것이다. 현재의 진행형이지만, 이러한 냉소주의 영화들을 분석 고찰한다는 것은 21세기에 중국의 당면 현안에 대한 해결의 시각을 살피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학문적으로 중국인과 중국 그리고 중국 문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영문
  • Well-made films, with both work and entertainment, are part of a widespread cultural representation system. It creates a sense of common sense that maintains the psychological tendencies or social institutions that form a particular direction of social reality. Movies with a harmonious blend of artistic script, stable performance, and persuasive acting are stronger than any other genre. Films that combine well-structured screenplay, stable production performance, and persuasive acting are more Cultural Reproduction Ability than other genres. Nevertheless the completeness of the film itself does not lead to broad public attention. When a movie meets the world outside the film, it gains greater power. In order to provide the Movie audience with an interest, we must first meet with the times. The film must face what the audience of this age dreams about, what they miss, and what anger they get. And the movie has to put something more then on the screen. It is called the "spirit of the times" of the movie. If the film responds to the ideology or the orientation of the nation, it will fall into the nationalism and lose the value of the film. Excessive propaganda and propaganda films are likely to unilaterally instill false cultural perceptions by encouraging the collectivism of a nation or nation. So, unintentionally, it causes collective intellectual loss and paralysis.
    As for the various pathological phenomena of the society which is getting worse without any improvement, the film paints the phenomenon nakedly with the cold and cynical gaze on the basis of realism. These attempts originated in the Chinese art world, and they cynically sketched a Chinese society that lost hope after 6·4. The cynicism of the art world contains meanings such as instruction, meanness, passion, indifference, and mockery. In particular, the distrust of the social system after 6·4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and Eastern European socialist nations gave the Chinese people a skeptical view of socialism. This situation of the times has a cynical viewpoint to face as it is instead of prudent criticism. This cynical view was embraced by filmmakers who were not silent on The pathological phenomenon of society, and they were directed to films. Cynicism starts with simply putting the will of stronger improvement beyond the step of resignation. It tells us that we need something entirely different from the Enlightenment. Uncomfortable phenomena are not enlightened, there is no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but there is a cynicism under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a willingness to improve even a little.
    <Summer Palace> is a film about the love, separation, suicide, frustration and reconciliation of youth in the era of identity confusion after 6‧4. The characters in the film did not mention a single word about the state power that made them do it. <Black Coal, Thin I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in northeast China and the murder that occurred around a woman with a beauty that was not like a laundry employee. Centered around the unresolved slice murder case, expressed human moral ambiguity that does not distinguish good fortune from human instinct for struggle for survival, and portrayed the scenery of a very cold northeast small city. But it does not show any criticism of the crime. Based on the true story of the 2000s, the <天注定, A Touch of Sin> portrays the uncomfortable aspects of China that established Chinese socialism. A film composed of four short episodes conveys the destiny set by God.
    These films completely excluded the subjectivity of the artist, and presented uncomfortable realistic problems. The ending poin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is the final point of cynicism which expresses the fact exactly. Although the present continuous, Analyzing these cynical movies will be a chance to look into the solution of the current issues in China in the 21st century. It will be a study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ina and Chinese literatures academical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작품성과 흥행성을 갖춘 웰 메이드(well-made) 영화는 광범위한 문화적 재현 체계 중의 한 부분으로서 사회 현실의 특정한 방향을 형성하는 심리적인 성향이나 사회제도들을 유지시켜 주는 상식적인 감각을 만들어 낸다. 짜임새 있는 각본과 안정적인 연출력, 설득력 있는 연기 조화를 이룬 영화들의 문화 재현력은 여타 장르 보다 강하다. 지나친 선전성 영화나 프로파간다 영화는 의도하지 않는 가운데 집단적인 이성 상실과 마비 증세를 초래한다.
    도저히 개선의 여지없이 더욱 악화되는 사회의 각종 병리 현상에 대해 영화는 리얼리즘의 바탕으로 차갑고도 냉소적인 시선으로 적나라하게 영상화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 미술계에서 시작되었고, 그들은 6‧4 이후 희망을 잃어버린 중국 사회를 냉소주의적 시각으로 그려낸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미술계의 냉소주의는 비겁함·체념·무관심·조롱 등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냉소주의적 시각은 사회의 병리적 현상에 침묵하지 않았던 영화 제작자들에 의해 수용되어 연출되었다. 냉소주의는 단순히 체념의 단계를 넘어 보다 강력한 개선의 의지를 담아내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계몽될 가능성이 없는 현실에 직면하여 조금이라도 더 개선해 보려는 시선이 머무는 곳에 냉소주의가 존재한다.
    <여름궁전:頤和園>은 6‧4이후 정체성 혼란의 시대에 청춘들의 사랑과 이별, 자살과 좌절 그리고 화해를 담은 영화로, 자신들을 그렇게 만든 국가권력에 대해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백일염화白日焰火>는 미모를 지닌 여인의 주위에서 발생한 미궁에 빠진 연쇄토막 살인사건을 중심으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인간의 본능과 도덕적 모호함, 매섭도록 시린 중국 동북부 소도시의 풍경 등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면서 범죄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보여주지 않는다. <천주정天注定>은 2000년대 실화를 바탕으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확립한 중국의 불쾌한 이면을 그려내었다. 네 개의 짧은 에피소드로 구성된 영화는 신에 의해 정해진 운명(天注定)의 모습을 전한다. 이들 영화들은 작가의 주관이 철저하게 배제된 체 불편한 현실적 문제에 눈감지 않고 있는 사실을 카메라에 담아내었다. 냉소주의 영화들을 분석 고찰한다는 것은 21세기에 중국의 당면 현안에 대한 해결의 시각을 살피는 계기이자, 학문적으로 중국인과 중국 그리고 중국 문예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교에는 매학기 교양과정에 <중국의 이해>와 <영화로 이해하는 중국>이라는 교과목이, 전공과정에 <중국의 예술과 문화(2-1학기)>와 <대중매체와 중국문화(3-1학기)>, <중국현대문학과 영상예술(3-2학기)>이 개설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이들 교과목에서 중국의 현실 상황과 당면 현안 및 그 해결 방안 모색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중국의 이해를 촉진시키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양과정의 <중국의 이해>와 <영화로 이해하는 중국> 교과목에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한다면, 급변하는 경제 상황 및 급격한 다원화와 급속한 진행되고 있는 이기주의의 만연 현상 등 제반의 문화적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를 촉진하는 동시에 현대 중국인들의 사유세계를 이해하는데 폭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국 문화와 문예 관련 전공 교과목에서는 중국 문예계에 냉소주의의 시각이 출현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사회현상들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의 필요성과 영화의 감상 및 내용 분석을 통한 심도 있는 논의를 전개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그 동안 <중국의 이해>, <영상으로 이해하는 중국>, <중국문화 이해>를 담당하여 강의한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은 중국의 이해를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에 주의하게 되었고, 그 방안의 하나로서 계몽주의 보다 더 강력한 개선 의지를 담아낸 냉소주의에 주목하기에 이르렀다. 이후에도 문화와 관련된 교과목의 강의를 통해 학생들과 함께 ‘부자 중국 가난한 중국인’을 이해하는 수단을 공유하고 발굴하smsep dlfwhgkf rjtdlek.
  • 색인어
  • 작품성, 흥행성, 영화, 문화적 재현, 사회현실, 심리적 성향, 사회제도, 상식적인 감각, 짜임새 있는 각본, 안정적인 연출력, 설득력 있는 연기, 조화를를 이룬 영화, 영화 내부의 완결성, 대중의 관심. 영화 외부의 세상, 시대와의 만남, 대중의 꿈, 그리움, 분노, 영화의 시대정신, 대중의 취향, 국가적 이념, 선전성 영화, 프로파간다, 잘못된 문화인식, 집단적인 이성 상실과 마비, 사회의 각종 병리 현상, 리얼리즘, 냉소적인 시선, 중국 미술계, 6‧4, 비겁함, 체념, 무관심, 조롱, 사회주의에 대한 회의, 강력한 개선의 의지, 계몽주의, <여름궁전>, 정체성 혼란, 사랑과 이별, 자살과 좌절, 화해, <백일염화>, 연쇄토막 살인사건, 인간의 본능, 도덕적 모호함, 스산한 소도시의 풍경, <천주정>, 중국식 사회주의의 불쾌한 이면, 에피소드, 주관배제, 냉소주의의 최종 지향점, 21세기 중국의 당면문제, 중국인, 중국 문예, 이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