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 동적 여가활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Leisure Activity and Lifestyle Cluster of the Single Household : Focused on The Dynamic Leisure Activ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3956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은정
연구수행기관 백석문화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과거의 가구 구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가족 구성원 형태로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 1인가구의 증가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커다란 소비층으로 인식되어 이들을 겨냥한 다양한 분야의 온⋅오프라인 마케팅은 필수적 마케팅으로 여겨지고 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2010~2035)에 의하면, 2000년 국내 가구유형 중 1인가구는 226만 가구(전체 가구의 약 15.6%), 2010년에는 415만 가구(전체 가구의 약 23.8%), 2035년 추계는 1인가구가 763만 가구(전체 가구의 약 34.3%)로 국내 총 가구에서 가장 많은 유형으로 추정되며, 세 가구 중의 한 가구는 1인가구가 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1인가구 증가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수준이며, 그 원인은 청년층의 교육 기간의 연장, 개인주의 확산, 고용 불안정, 여성 경제활동 증가, 초혼 연령 상승, 장년층의 미혼 및 이혼, 노년층의 고령화와 노인부양 가족 감소, 황혼이혼 증가, 평균수명의 남녀 차이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설명하고 있다.
    1인가구의 여가활동 선택은 개인의 취향이 강하게 작용하며, 혼자서 생활한다는 동질성을 갖고 있고 동시에 형성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등에 따라 내부적 구성도 다양하고, 특성이나 라이프스타일 등 측면에서도 이질성을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 덧붙여 1인가구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영향력 확대로 이어지고, 여가적 관점에서 여가문화 향유 및 소비주체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따른 미래지향적 여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1인가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인하여 주거 및 소비지출과 관련된 연구는 다수 논의되어졌지만, 그들의 관광⋅여가 측면에서의 연구는 원자료를 활용한 일부의 연구와 연령별 혹은 성별 등의 탐색적 보고 자료만 있을 뿐 본격적인 정량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1인가구의 범위는 연령대도 매우 다양하고, 미혼 독신 혹은 노인 단독 가구 등 그 연구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여 세부적인 특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라이프스타일은 심리적 구분 방식으로 동질적인 태도와 관심사, 의견, 신념 등의 인구 구성으로, 사회 전체 또는 사회 구성원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타인과는 다른 특정적 생활양식이다. 또한 안정적이고 지속적 속성을 지닐 뿐 아니라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의 전반적인 소비성향에 대한 예측변인으로 그 효용성이 높고, 특정 문화와 집단을 구별하고 다양한 개인의 특성을 잘 나타내기 때문에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한 시장세분화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개인의 소비행위 전후를 종합적이고 명시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소비자 설명변인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가활동은 인간의 삶의 질 향상, 자아실현, 행복추구, 건강 유지 및 증진에 효과적으로 부응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가시간 활용 방식은 개인적⋅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특히, 현대의 다양한 변화는 여가산업 발전과 개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비중을 높이는 사회적 변화를 가져오며, 개인은 자신의 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여가활동 가운데 가장 적합한 활동을 선택하고 이를 수정해 가면서 독특한 여가활동유형을 형성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 소비자의 여가활동유형 분석은 다양한 마케팅 측면에서 중요한 변수로 설명될 수 있다.
    많은 선행 연구자들은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 서로간의 유의성을 밝혀, 다양한 주제를 갖고 연구를 하였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극적 여가활동보다는 적극적이며 활동적인 여가활동을 항목을 변수로 선정하여 보다 실용적 측면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는 1인가구 집단의 차이를 보다 유용하게 설명하고, 변수 간의 유의성을 통하여 특정 대상의 여가활동 성향을 예측하고, 학계 및 관련 기관에서 1인가구의 여가활동소비를 제대로 이해하고,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모색하며, 마케팅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그들의 행복하고 안정된 여가 생활 만족을 위한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20~30대의 청년층, 40~50대의 중년층, 60대 이상의 노년층을 나누어, 이들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차이검증을 실시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들 연령층에 따른 생활패턴이나 소비형태 등을 추론 해 볼 수 있을 것이며, 여가활동유형 또한 연령층 간의 특이성을 추론하여 여가활동 및 관광의 패턴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의 세분화를 통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활동유형 간의 차이검정을 통하여 여가활동 관련 실무자의 독특한 1인가구 라이프스타일을 갖는 소비자 집단 대상을 위한 마케팅 활용에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서 학계와 실무자들을 위한 여가소비 분석에 도움이 될 것이며, 여가활동 프로그램 및 관광 프로그램 모색, 관광정책 방안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1인가구의 진지한 여가의 하나인 ‘전문형 여가스포츠’ 또는 ‘적극형 여가스포츠’를 하고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이들의 체험 여가스포츠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진행 해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여가 몰입도, 관여도와 함께 여가만족, 삶의 질과 같은 세부 연구 진행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1인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청년층과 중년층, 노년층으로 연령대를 구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동적 여가활동유형을 차이를 분석을 하고,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동적 여가활동유형과의 차이검정을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5년~2016년이며, 공간적 범위는 1인가구가 가장 많은 서울시(85만 가구)와 경기도(78만 가구)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이다. 연구대상은 20대 이상의 1인가구로 1:1 면대면, 혹은 e-mail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한다. 설문은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하여 작성하도록 하며, 총 500부 이상을 배포하고, 샘플 수집 기간은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 중에 진행한다.
    연구방법은, 먼저 독신가구, 비혼가구, 미혼가구, 1세대가구 등의 1인가구와 유사단어와의 차이점을 밝히고 1인가구를 개념정의 하고, 국내의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특성을 파악한다.
    라이프스타일은 여가활동을 즐기는 1인가구 집단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파악을 위해 AIO분석을 사용한다. AIO분석을 위해 김동준⋅황대욱(2012)의 ‘외모중시형’, ‘계획적생활형’, ‘서구편리추구형’, ‘여가향유 및 리더적활동형’, ‘건강중시형’, ‘알뜰절약형’의 요인으로 분류된 라이프스타일 척도 37개 항목을 활용한다.
    여가활동유형 설문을 위해 문화관광체육부의 2012년과 2014년의 '국민여가활동조사'와 선행연구자들의 여가활동유형 항목을 참고하여 활동적인 여가활동유형만을 선택하여 변수로 활용한다.
    라이프프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각 변수 별로 빈도분석 등의 기술분석을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한다.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후 차이검정을 실시하여, 청⋅중⋅노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라이프스타일은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응답자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군집명을 부여한다. 라이프스타일 군집에 따른 여가활동유형에 미치는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t-검정, ANOVA,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분산분석 등을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20~50대 청⋅장년층의 1인가구가 연구대상이며, 청년층과 장년층으로 연령대를 구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능동적 여가활동유형에 어떠한 특성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시간적 범위는 2016년이며 공간적 범위는 SNS를 이용한 샘플 수집으로 전국 대상이다. 인터넷 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SNS를 활용하여 설문을 배포하고 직접 작성하여 자동으로 연구자에게 수집되었으며 총 160부의 샘플을 활용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각 변수 별로 빈도분석 등의 기술분석과 요인분석, 차이검정(t-검정, ANOVA)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은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응답자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후, 라이프스타일 군집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유형 간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창작추구형’, ‘도전지향형’, ‘리더십형’, ‘종교지향형’, ‘지적성취형’의 6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여가활동유형은 ‘문화여가’, ‘야외레크레이션여가’, ‘체력단련지향여가’, ‘취미여가’, ‘사회적여가’ 유형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청⋅장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군집분석은 ‘도전적-종교적 삶 추구형’과 ‘도전적-리더십형 추구형’ 2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차이검정 결과 청⋅장년층 1인가구 라이프스타일과 능동적 여가활동유형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2개의 라이프스타일 군집과 능동적 여가활동유형과의 차이검정 결과 ‘체력단련지향여가’ 유형을 제외한 모든 여가활동 유형은 ‘도전적-종교적 삶 추구형’ 군집이 ‘도전적-리더십형 추구형’ 군집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 영문
  •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and active-leisure activities by age group in 20~30s and 40~50s people. The questionnaires were written on the Internet(Google Web-site), and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using the SNS. The questionnaires were automatically collected by the researchers and 160 samples were used by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techn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difference test(t-test, ANOVA) were conducted for each variable of lifestyle and leisure activity type.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respondents, and then conducted a difference test for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according to the lifestyle group type.
    The lifestyle was classified as 6 factors of 'fashion pursuit type', 'creative pursuit type', 'challenge-oriented type', 'leadership type', 'religious-oriented type' and 'intellectual achievement type'. The leisure activity was classified as 5 factors of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exercise-oriented activities', 'hobbies', and 'social activities' typ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lifestyle and leisure activities. The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lifestyle type of the youth and the elderly single household’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challenge-religious seeking' and 'challenge-leadership seeking' clusters.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lusters and the leisure activity types, all types of leisure activities except the type of 'exercise-oriented activities' showed higher mean value than 'challenge-religious seeking' cluster compared to 'challenge-leadership seek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20~50대 청⋅장년층의 1인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청년층과 장년층으로 연령대를 구분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에 어떠한 특성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장년층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그들의 행복하고 안정된 여가 생활 만족을 위한 여가활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갖는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6년이며 공간적 범위는 SNS를 이용한 샘플 수집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등의 SNS를 활용하여 설문을 배포하고 자기평가기입법에 의하여 작성하여 자동으로 연구자에게 수집되도록 하였다. 웹을 통한 설문의 특성상 기입을 하지 않거나 이중으로 응답을 하면 다음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설정하여 모든 설문이 실증검정에 사용되었으며, 총 160부의 샘플을 활용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유형의 각 변수 별로 빈도분석 등의 기술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후 차이검정(t-검정, ANOVA)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은 요인분석을 바탕으로 응답자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정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군집명을 부여하였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군집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유형 간의 차이검정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분석을 위한 항목은 소비자 개인 성향에 따라 세분시장을 나누어 실질적 행동을 예측하고 변화를 추정할 수 있는 VALS-2의 항목을 활용하였고, 여가활동유형 분석을 위한 항목은 TV보기⋅독서 등과 같은 수동적 활동은 제외하고 능동적 항목만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창작추구형’, ‘도전지향형’, ‘리더십형’, ‘종교지향형’, ‘지적성취형’의 6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여가활동유형은 ‘문화여가’, ‘야외레크레이션여가’, ‘체력단련지향여가’, ‘취미여가’, ‘사회적여가’ 유형의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차이검정 결과 청⋅장년층 1인가구 라이프스타일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직업을 제외하고 성별, 나이, 혼인여부, 거주지, 학력, 월소득 등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가활동유형은 직업, 학력, 월소득을 제외하고 성별, 나이, 혼인여부, 거주지 등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청⋅장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세분화로 ‘도전적-종교적 삶 추구형’과 ‘도전적-리더십형 추구형’ 2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고, 능동적 여가활동유형 요인과의 차이검정 결과 ‘체력단련지향여가’ 유형을 제외한 모든 여가요인은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여가’, ‘야외레크레이션여가’, ‘취미여가’, ‘사회여가’는 ‘도전적-종교적 삶 추구형’ 군집 유형에서 ‘도전적-리더십형 추구형’ 군집 유형에 비해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20~30대의 청년층과 40~50대 장년층의 1인가구의 소비성향이나 생활성향 등을 파악 해 볼 수 있어, 향후 10대들이 청년이 되었을 경우와 중년층이 예비 노년층으로 편승되었을 경우의 여가⋅레저 소비성향 등을 추정하여 레저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여가활동유형을 살펴봄으로서, 이들에게 유의한 작용을 하는 라이프스타일 요인과 또 유의하게 작용하지 않는 요인 등을 발견하여 어떤 점들이 1인가구의 여가활동을 위하여 더 요구되어야 할 것인지, 정책적으로 어떤 점들을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는지를 파악 가능하게 될 것이다.
  • 색인어
  • 청⋅장년층 1인가구, 라이프스타일 유형, 능동적 여가활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