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공공성 및 국가역량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시민행태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Publicness, Government Capacity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4642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민경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시민의 환경행태와 공공성의 상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 같은 연구 목적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는 24개국 31262명의 세계 가치관 조사자료와 국제기구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위계선형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목적 1: 세계 각 국의 공공성과 국가역량의 수준을 측정하고, 차이점을 확인한다.
    연구질문 1-1: 세계 국가들의 공공성과 국가역량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질문 1-2: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들의 공공성 및 국가역량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가?

    목적 2. 공공성 및 국가역량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한 시민들의 환경행태의 상관성을 규명한다.
    연구질문 2-1: 공공성은 시민환경행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질문 2-2: 어떤 유형의 공공성이 시민환경행태 촉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 2-3: 국가역량과 시민들의 환경행태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목적 3: 공공성 및 국가역량이 시민들의 환경인식과 행태변화의 영향강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다.
    연구질문 3-1: 공공성 및 국가역량에 따라 환경인식과 행태의 관계강도에 차이가
    있는가?
  • 기대효과
  • 공공성 및 국가역량과 시민들의 참여행태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바람직한 미래국가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고 시민과 협력하는 바람직한 국가를 이룩하기 위한 가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미래가치의 방향성이 바람직한 국가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국가제반요건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수시간 중 각종 학술대회에서의 발표와 투고를 통하여 국가와 시민의 관계 및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연구요약
  •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해서 공공성을 강화하고,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다. 신자유주의 하에서 환경문제를 비롯하여 빈부격차 심화, 신뢰 부재, 인권문제 등 공공성의 위기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공적인 것’(the public)에 대한 가치 제고를 배제하고는 지속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어렵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김희강, 2010; 배수호․김도영, 2014; 채장수, 2014). 그런데 국가의 공공성 강화와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공공성의 활성화는 시민참여의 활성화 없이는 불가능하며(정회성․김미숙, 2000), 시민참여의 활성화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사회적 연대의식의 회복을 전제할 수 밖에 없다(나종석, 2011). 이처럼 시민들이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조장하는 정책수단들은 환경규제의 비효율성을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생태위기의 근원적 해결책이고 여타의 환경정책수단보다 윤리적이라는 장점을 가진다(김기환・문성진, 2013; 김민경, 2014).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구현을 위한 시민의 환경행태와 공공성의 상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의 수행을 위해 본 연구는 24개국 31262명의 세계 가치관 조사자료와 국제기구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위계선형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과정은 크게 문헌조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실증분석 및 해석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공공성과 국가역량을 유형화하고, 측정기준을 설정하고자 한다. 이후 설정된 측정기준에 기반하여 세계 국가들의 공공성 및 국가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이다. 세계 국가들의 통계자료는 국제기구의 통계자료를 활용할 예정이며, 시민들의 환경행태에 관한 자료는 제 5차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s survey)자료를 사용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 시대적 맥락에 따라 좋은 정부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전통적인 관료제 패러다임에서 ‘좋은 행정’의 요건은 계층제적 통제, 전문화, 명령계통의 통일, 명확한 규정과 절차였다(Ostrom, 1974).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란 양질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간존엄성 실현을 최상위 목표로 하는 정부, 질 높은 사회제도를 마련하고, 시민지향성을 가진 정부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를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원하며, 활발한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협치를 통해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정부”로 정의한다. 그럼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의 요건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의 요건을 규명하고, 정부의 질 및 사회자본이 시민의 참여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인 정부, 공정한 정부, 투명한 정부, 시민의 정치적 권리를 보장하는 정부이며, 또한 시민지향성을 가진 정부는 시민의 참여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은 시민의 참여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What is a good government?In the context of the times, a good government can be defined differently. In the classic bureaucracy paradigm, the requirements for ‘ good administration ’ were hierarchical controls, specialization, command systems, and clear regulations.
    A good government in the governance paradigm is the government, which seeks to support high-quality life, establish a government, a high-quality social system, and a government oriented society that aims to achieve the highest quality of life.In this study, the government defines " Citizen's Participation " in the " Citizens Participation, " and defines the government as a " government citizen, " and defines the public as a " government citizen, " based on active civic participation.
    So what is the good government requirement in the governance paradigm? In this study, the Government identified the Government's requirements for governance and the influence of the Government's Quality and Social Capital Act on the influence of citizens ' participation
    The government is a government that guarantees the effective, fair, transparent and civil rights of citizens, which also encourage citizens to promote civil participation. Also, the quality of the social and governmental qualities has a positive impact on civic particip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좋은 정부란 무엇인가? 시대적 맥락에 따라 좋은 정부는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전통적인 관료제 패러다임에서 ‘좋은 행정’의 요건은 계층제적 통제, 전문화, 명령계통의 통일, 명확한 규정과 절차였다(Ostrom, 1974).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란 양질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간존엄성 실현을 최상위 목표로 하는 정부, 질 높은 사회제도를 마련하고, 시민지향성을 가진 정부이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를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지원하며, 활발한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협치를 통해 공공의 문제를 해결하는 정부”로 정의한다. 그럼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의 요건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패러다임에서 좋은 정부의 요건을 규명하고, 정부의 질 및 사회자본이 시민의 참여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효과적인 정부, 공정한 정부, 투명한 정부, 시민의 정치적 권리를 보장하는 정부이며, 또한 시민지향성을 가진 정부는 시민의 참여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회자본과 정부의 질은 시민의 참여행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정부의 질 및 사회자본과 시민들의 참여행태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좋은 행정’을 이룩하기 위해 정부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미래국가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고 시민과 협력하는 바람직한 국가를 이룩하기 위한 가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미래가치의 방향성이 바람직한 국가혁신으로 이어지기 위하여 필요한 국가제반요건들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발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부의 질과 사회자본에 대한 국가간 비교 분석은 연구결과의 외적 타당도를 높여줌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증가시켜 거버넌스 이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정부의 질, 정부-시민 협력, 환경거버넌스, 환경친화적 행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