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라시아 투르크 민족 명창의 미학적 전통 연구
Study on the Esthetic Tradition of Eurasian Turkic Master Sing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A2A03049827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11월 01일 ~ 2018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김근식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오은경(동덕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유라시아 튀르크 민족 명창의 미학과 전통연구》는 한국과 튀르크 벨트 국가들과의 문화적 상호연관성을 규명하여 상호이해의 공감대를 확장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한·튀르크 벨트 국가들 간의 다각적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문화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러한 구체적 목표는 튀르크 벨트 민족들과 한민족이 보유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과 구비문학 전통을 연구·분석하여 오래 전에 잊혀 진 한·튀르크 민족 간의 공통된 문화코드를 찾아내어 상호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인프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한국은 그러한 인프라 조성에서 매우 유리한 여건을 갖추고 있다. 우선 한민족은 언어부터 튀르크 족과 동일한 알타이어군에 속해 있다는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상고시절부터 튀르크 족과 교류를 해왔던 흔적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인종학적으로 동일한 시원과 원류를 공유하고 있다. 이는 문화 혈연적 측면에서 한민족과 튀르크 족의 상호연관성을 강력히 추론케 하는 사실이다. 물론 대부분의 그러한 연관성은 기존의 역사서나 고대 기록물에서는 찾아낼 수 없는 상고시대의 흔적이다. 하지만 그러한 흔적은 튀르크 민족들과 한 민족의 고대 문화유산을 분석하는 본 연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규명될 것이다.
    튀르크 민족들에게는 오랫동안 문자가 없었던 만큼 노래를 통한 구전 작품이 매우 발달해 있다. 특히 고대부터 현대까지 맥락을 유지해오고 있는 주요 구전작품의 중심에 명창이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각 나라별로 지역적ㆍ민족적 색채와 음색을 띠고 있는 명창의 예술과 전통연구는 오래 전에 한자의 보급으로 단절된 고대 한 민족의 구전문화유산과 상호유기성을 찾아낼 수 있는 소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호유기성을 찾아내는 작업은 한 민족과 튀르크 벨트 민족들 간에 공통된 문화코드를 찾아내어 양 민족 간의 문화적 이질감과 문화적 경계를 허무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현재의 여건 하에서 이러한 문화적 경계 허물기 작업의 토대가 될 수 있는 것은 대부분의 구전작품을 매개하고 있는 튀르크 민족들의 명창의 예술과 전통 분석을 통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여러 민족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아득한 신화시대의 역사는 무의식적 기억 속에만 잠재되어 있을 뿐, 문자로서 알려져 있는 기록물이 없기 때문에 오로지 노래를 통해 구전되어오는 자료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특히 우리나라보다 노래의 전통을 원형 그대로 유지해온 튀르크 민족들에게서는 그러한 현상이 더욱 괄목할 만하다. 따라서 문자기록이 가능하지 않던 시절에도 역사기록의 대체물로서 현재까지 영웅서사시를 비롯한 구비서사시가 명창을 통해 전승되어왔다는 사실은 신화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와 문화를 가늠하게 할 수 있는 훌륭한 척도가 되고 있다.
    유목민이며 기마민족이었던 튀르크 족에게서 명창의 전통이 갖는 의미는 매우 컸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유라시아 명창의 기원은 무엇이며, 어떤 방식에서 다른 민족으로 전파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판소리를 포함한 고대한국의 구비문학의 근원을 풀 수 있는 작업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한국과 튀르크족의 구전을 비교 연구하는 과정에서 노래로 구전되어 오는 튀르크의 영웅서사시가 다채로운 데 반해 유목생활보다 더 오랜 시간 농경생활을 해왔던 한민족에게는 기마민족 특유의 역동적인 영웅서사시가 무속 서사시가(敍事詩歌) 형태로 남아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튀르크 족의 명창 예술과 전통을 연구하는 작업은 한민족의 판소리 전통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증진시킨다. 그러나 이번 공동연구에서는 튀르크 명창전통과 한민족 판소리 전통과의 비교연구는 후속 연구로 남겨둘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준비과정으로서 튀르크 벨트 국가들 간의 명창 예술과 전통이 형성 발전해온 과정을 연구범위로 한정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비문학 전통이 강한 튀르크 민족들의 구비서사시 명창의 전통을 유라시아 튀르크 벨트를 따라 비교·연구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1) 튀르크 벨트 민족들의 명창 전통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문화적·역사적 측면에서 규명
    2) 한·튀르크 벨트 민족 명창들의 상호연관성 규명
    3) 튀르크 족 명창 전통의 전파와 발전과정을 규명하며 튀르크 족 상호간의 민족 이동과 문화적 동질성과 차이점 규명
    4) 튀르크 족 명창의 전통을 통해 무속신앙의 범주를 초월한 상고시대의 문화코드를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한민족 구전 연구의 범 아시아적 지평 확대의 터전 마련
    5) 튀르크 벨트 민족들과 한민족 간의 자유로운 소통을 위한 동질적 문화 친연성 확보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① 제 튀르크 민족의 텍스트 전승과정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판소리와의 비교문학 연구를 위한 구체적 근거 제공
    본 연구에서는 튀르크 민족의 명창 전통이 유라시아 대륙에 전파되며 겪은 변이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이해하려 한다. 따라서 이는 문화권간의 텍스트 전파와 변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질적인 근거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튀르크계 제 민족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자료로 명창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는 튀르크 제 민족의 새로운 역사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한국 구전전통 및 판소리의 위상 규명과 한민족과의 상고사적 관계사를 조망하는 데에도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② 자체적 학문연구능력의 기초 확립
    우리는 본 연구를 토대로 현재까지 산출된 세계 주요 연구논문과 비평은 투르크 제 민족의 명창을 조사하고, 기록하며,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 분석할 예정이다. 본 연구수행에는 우즈벡어, 터키어, 러시아어, 영어, 카자흐어, 튀르크멘어, 키르기즈, 아제르바이잔어 등의 자료가 총체적으로 이용될 것이며, 이러한 작업은 외국학자들의 연구물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고 우리 자체적인 비평능력과 독자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2.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과 사회 환원
    ① 인터넷 사이트 활용과 연구 성과물 공개
    산출된 모든 연구 성과물을 웹 사이트를 통해 공개함으로써 타 분야 학자들에게 실질적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구전문학과 신화에 대한 특별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산하 ICHCAP(유네스코 아태무형문화센터)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국제중앙아시아 연구소에서는 중앙아시아 5개국의 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와 자료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현지에서 수집된 일차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해당 지역과 분야를 연구하는 개인, 단체 혹은 기관에게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② 논문 발표와 학술저서 출판 준비
    최종 연구결과를 등재된 국내학술지 혹은 그 수준에 상응하는 해외학술지에 연 1회 이상 발표할 것이며, 최종 결과물은 국문과 영문, 러시아어, 터키어 학술저서로 출판할 것이다.
    ③ 강의 개발과 교육과의 연계 활용
    결과물을 토대로 문학 혹은 문화사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예: 외대 중앙아시아어과, 한양대 유라시아 학과)
  • 연구요약
  • 1. 연구목적
    《유라시아 투르크 민족 명창의 미학적 전통연구》는 투르크 벨트 국가들과의 상호이해를 위한 문화적 우호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상호이해의 공감대 형성과 문화적 유대감의 결성, 그리고 거시적 틀에서 그들 문화와 원류를 파헤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이 이들 국가들로 진출할 수 있는 안정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1) 유라시아 투르크 벨트 민족 명창의 미학적 전통을 효과적으로 연구 분석하기 위해 명창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⓵예언자 유형
    ⓶영감을 받은 예술가 유형
    ③언젠가 들었거나 배웠던 텍스트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연주자 유형
    개별 민족마다 이 세 유형 중 약한 면과 강한 면을 지니고 있으며, 개별적 차이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형별 강약의 현상과 원인을 문헌과 현장 조사(field work)를 통해 분석한다.
    2) 명창들은 구전문학의 전수자로서 이들이 구연하는 작품이 유라시아 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근본 철학과 사상을 분석하고, 유라시아 힐링 버전을 비판적이고 해석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체계화한다.
    3) 신화, 서사시를 연주하는 명창은 작품 속의 주인공으로, 아니면 이 작품을 대변하는 인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명창은 작중 인물의 분신 역할을 하고 있다. 유라시아 소통의 방법론을 해석학적 차원에서 연구 분석할 것이다.
    4) 문화반영성이 강한 명창의 변이를 유형별(모방, 전용, 번안, 암시)로 정리한다. 또한, 명창들이 구연하는 텍스트의 언어적ㆍ문학적ㆍ종교철학적ㆍ윤리적ㆍ교육적 측면을 비교분석한다.
    결과적으로 튀르크 명창 연구를 통해서 튀르크 제 민족의 이동과정과 민족정체성 형성과정을 추론해 낼 수 있으며, 명창의 전파 과정을 규명하고 변이된 모습을 유형별로 정리함으로써 중앙아시아와 동북아시아(한국)의 문화 형성과 그 변용양상을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 내용
    1)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에 대한 용어의 형성과 전파
    명창은 투르크 국가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며, 같은 나라 안에서도 지방에 따라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투르크 각 부족의 명창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과정으로 의미가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상호연관성과 전파과정을 유추해 볼 것이다.
    2)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 명창이 구연하는 장르
    명창이 노래하고나 구연하는 장르는 각 투르크 국가마다 다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파나 유파에 따라 장르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내용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3)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 명창이 사용하는 악기와 음악성
    명창이 작품을 구연할 때는 돔비라(do'mbira), 서즈(soz), 코브즈(ko'b'z), 두터르(여색)와 같은 투르크 족의 고유한 민속 악기를 연주한다. 그런데 키르기스스탄의 경우에는 무반주로 명창이 창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쪽으로 갈수록 발전된 형태의 악기를 활용하는 점이 두드러진다.
    한편, 산문과 운문이 동시에 포함되는 구비서사시를 구연하는 방법은 읊조림과 노래하기 등의 창법의 차이와 소리를 어디에서 내는 지에 따른 발성법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명창의 음악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명창의 진화과정도 추적,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4)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에 현존하는 명창 유파와 학교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들은 지방마다 고유한 유파가 있어서, 그들만의 고유한 특성과 구연 풍이 있다. 같은 구비서사시도 유파에 따라 내용과 구성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투르크 민족들의 명창 학교와 학파의 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해볼 것이다.
    5)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의 기능
    유라시아 투르크 명창은 ⓵ 연희, 가수 ⓶ 점술가, 주술가, 영매 ⓷시인 ⓸ 선생님, 스승 ⓹ 치유와 치료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왔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경우 엔터테이너로서 연희와 가수로서의 기능만이 남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명창의 기능 변화와 기능의 분화과정을 투르크 국가마다 개별사례로 분석해 봄으로써 명창의 진화와 발전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고대 한국구비문학을 해석하는 데에도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명창과 샤머니즘과의 연관성
    샤먼과 명창은 두 가지가 개별적인 특징과 기능을 갖는 것이지만 과거에 하나였다는 증거들을 찾아 분석할 것이다.
    7) 명창의 즉흥성: 청중과의 관계
    명창이 아닌 청중이 명창의 창과 구연에 조화를 이루는 방식과 소통의 방식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아젠다를 통하여 유라시아 전역에 흩어져 이른바 ‘투르크벨트’를 형성하고 있는 투르크 국가들의 명창 전통의 의미와 특성, 그리고 상호텍스트성을 발굴하는 할 수 있었다. 즉, 터키,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유라시아 투르크 6개국 명창들의 명창을 가리키는 용어, 구연 장르, 그들이 사용한 악기와 창법 및 음악성, 유파와 교수법, 명창들의 기능변화, 샤머니즘과의 연관성, 청중과의 관계를 통한 즉흥성 등과 같은 요소들로 공통성과 상호텍스트성을 간추려 보았다. 이러한 특성들은 비단 위에서 언급한 6개국뿐만 아니라 알타이 공화국, 사하공화국 등의 명창들, 위구르 족, 그리고 한민족에게서도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특성들이다.
    유라시아 투르크 민족들의 명창 전통과 상호텍스트성이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무형문화유산 중에서도 유라시아 대륙과 실크로드 국가 전반에 확산·고유되어 있던 “실크로드 정체성” 형성 및 발굴 그리고 이를 통한 통합과 화합의 문화요소가 될 수 있는 무형문화유산 발굴은 현재 국제사회가 안고 있는 정치, 군사, 문명의 갈등을 풀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실크로드 국가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문화정치학의 코드로 활용하여 세계 문화 갈등 해소를 위한 기반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투르크 국가들 전반에 퍼져있으며 한민족에게까지 그 맥이 이어지는 스토리텔링과 명창 전통은 그 중 가장 중요한 문화요소 중 하나이다. 유라시아 투르크 국가들은 고대부터 실크로드의 주역이 되었던 민족이지만 문자의 도입이 늦고 기록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탓에 역사의 주인으로서는 세계사적으로 미친 영향에 비해서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실크로드가 지닌 문명사적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유적이나 유물 중심으로 유형유산과 더불어 무형문화유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이 유목민족이고 구술문화를 통해 정체성을 확보해온 실크로드 민족들에게 있어 무형문화유산은 생명이며, 계보이고, 정체성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명창들의 상호텍스트성으로 정치, 문화, 역사적 연대를 시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 모색도 함께 실행시킬 수 있기를 기원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the meistersinger’s traditions of Turkic nations that form the so-called “Turkic belt” throughout the whole Eurasian continent, and then to dig out the intertextuality of such traditions. We attempt to figure out the diverse terms of meistersingers of 6 Eurasian Turkic countries including Turkey, Kazakhstan and Kirgizstan, the genres of their performance, their singing style, instruments, musicality, schools and teaching method, the change of meistersinger’s function and status, the correlation of epic song with shaman song, storyteller’s relation with audience, his improvisation, and the intertextuality of storytelling traditions of each country.
    Those features are also found in Russian Altay and Sakha, Chinese Uighur and Korea.
    Furthermore, Eurasian Turkic meistersinger’s storytelling art is very meaningfu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that could be the Silk Road identity. Though Eurasian Turks historically had formed dominant factor in the Silk Road regions since ancient times, they introduced letters relatively later and had few archival cultural heritage. That is why their culture was not in the center of attention in the world history of culture. Therefore, in order to comprehend the Silk Road in term of culture, its abundant intangible heritage such as epic songs merit attention. And then it could serve as an instrument of “rapprochement” of conflicts between civilizations because this heritage itself is the life, genealogy and identity for the Eurasian Turks who, being nomadic peoples, have established their identity through the oral works. Considering overall features this oral heritage imply, the intertextuality of meistersinger traditions of Eurasian Turks could lead to cultural as well as political solidarity in North Asia including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연구목적
    《유라시아 투르크 민족 명창의 미학적 전통연구》는 투르크 벨트 국가들과의 상호이해를 위한 문화적 우호협력의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상호이해의 공감대 형성과 문화적 유대감의 결성, 그리고 거시적 틀에서 그들 문화와 원류를 파헤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이 이들 국가들로 진출할 수 있는 안정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다.
    2. 연구방법
    1) 유라시아 투르크 벨트 민족 명창의 미학적 전통을 효과적으로 연구 분석하기 위해 명창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⓵예언자 유형
    ⓶영감을 받은 예술가 유형
    ③언젠가 들었거나 배웠던 텍스트를 정확하게 재생하는 연주자 유형
    개별 민족마다 이 세 유형 중 약한 면과 강한 면을 지니고 있으며, 개별적 차이와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형별 강약의 현상과 원인을 문헌과 현장 조사(field work)를 통해 분석한다.
    2) 명창들은 구전문학의 전수자로서 이들이 구연하는 작품이 유라시아 적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근본 철학과 사상을 분석하고, 유라시아 힐링 버전을 비판적이고 해석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체계화한다.
    3) 신화, 서사시를 연주하는 명창은 작품 속의 주인공으로, 아니면 이 작품을 대변하는 인물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명창은 작중 인물의 분신 역할을 하고 있다. 유라시아 소통의 방법론을 해석학적 차원에서 연구 분석할 것이다.
    4) 문화반영성이 강한 명창의 변이를 유형별(모방, 전용, 번안, 암시)로 정리한다. 또한, 명창들이 구연하는 텍스트의 언어적ㆍ문학적ㆍ종교철학적ㆍ윤리적ㆍ교육적 측면을 비교분석한다.
    결과적으로 튀르크 명창 연구를 통해서 튀르크 제 민족의 이동과정과 민족정체성 형성과정을 추론해 낼 수 있으며, 명창의 전파 과정을 규명하고 변이된 모습을 유형별로 정리함으로써 중앙아시아와 동북아시아(한국)의 문화 형성과 그 변용양상을 밝히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연구 내용
    1)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에 대한 용어의 형성과 전파
    명창은 투르크 국가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며, 같은 나라 안에서도 지방에 따라서 다른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투르크 각 부족의 명창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어떻게 생겨났고, 어떤 과정으로 의미가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 비교함으로써 상호연관성과 전파과정을 유추해 볼 것이다.
    2)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 명창이 구연하는 장르
    명창이 노래하고나 구연하는 장르는 각 투르크 국가마다 다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파나 유파에 따라 장르가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내용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3)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 명창이 사용하는 악기와 음악성
    명창이 작품을 구연할 때는 돔비라(do'mbira), 서즈(soz), 코브즈(ko'b'z), 두터르(여색)와 같은 투르크 족의 고유한 민속 악기를 연주한다. 그런데 키르기스스탄의 경우에는 무반주로 명창이 창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쪽으로 갈수록 발전된 형태의 악기를 활용하는 점이 두드러진다.
    한편, 산문과 운문이 동시에 포함되는 구비서사시를 구연하는 방법은 읊조림과 노래하기 등의 창법의 차이와 소리를 어디에서 내는 지에 따른 발성법의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명창의 음악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명창의 진화과정도 추적,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4)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에 현존하는 명창 유파와 학교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들은 지방마다 고유한 유파가 있어서, 그들만의 고유한 특성과 구연 풍이 있다. 같은 구비서사시도 유파에 따라 내용과 구성이 조금씩 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투르크 민족들의 명창 학교와 학파의 특성을 파악하고 비교해볼 것이다.
    5) 유라시아 투르크 각국의 명창의 기능
    유라시아 투르크 명창은 ⓵ 연희, 가수 ⓶ 점술가, 주술가, 영매 ⓷시인 ⓸ 선생님, 스승 ⓹ 치유와 치료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왔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경우 엔터테이너로서 연희와 가수로서의 기능만이 남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명창의 기능 변화와 기능의 분화과정을 투르크 국가마다 개별사례로 분석해 봄으로써 명창의 진화와 발전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고대 한국구비문학을 해석하는 데에도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명창과 샤머니즘과의 연관성
    샤먼과 명창은 두 가지가 개별적인 특징과 기능을 갖는 것이지만 과거에 하나였다는 증거들을 찾아 분석할 것이다.
    7) 명창의 즉흥성: 청중과의 관계
    명창이 아닌 청중이 명창의 창과 구연에 조화를 이루는 방식과 소통의 방식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① 제 튀르크 민족의 텍스트 전승과정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 및 판소리와의 비교문학 연구를 위한 구체적 근거 제공
    본 연구에서는 튀르크 민족의 명창 전통이 유라시아 대륙에 전파되며 겪은 변이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이해하려 한다. 따라서 이는 문화권간의 텍스트 전파와 변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실질적인 근거를 마련할 것이다. 또한 튀르크계 제 민족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자료로 명창을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는 튀르크 제 민족의 새로운 역사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한국 구전전통 및 판소리의 위상 규명과 한민족과의 상고사적 관계사를 조망하는 데에도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② 자체적 학문연구능력의 기초 확립
    우리는 본 연구를 토대로 현재까지 산출된 세계 주요 연구논문과 비평은 투르크 제 민족의 명창을 조사하고, 기록하며, 자료를 수집하여 종합, 분석할 예정이다. 본 연구수행에는 우즈벡어, 터키어, 러시아어, 영어, 카자흐어, 튀르크멘어, 키르기즈, 아제르바이잔어 등의 자료가 총체적으로 이용될 것이며, 이러한 작업은 외국학자들의 연구물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고 우리 자체적인 비평능력과 독자적인 학문연구의 기초를 확립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 될 것이다.
    2. 연구결과에 대한 교육과 사회 환원
    ① 인터넷 사이트 활용과 연구 성과물 공개
    산출된 모든 연구 성과물을 웹 사이트를 통해 공개함으로써 타 분야 학자들에게 실질적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아시아 문화중심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구전문학과 신화에 대한 특별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산하 ICHCAP(유네스코 아태무형문화센터)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와 국제중앙아시아 연구소에서는 중앙아시아 5개국의 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와 자료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현지에서 수집된 일차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해당 지역과 분야를 연구하는 개인, 단체 혹은 기관에게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② 논문 발표와 학술저서 출판 준비
    최종 연구결과를 등재된 국내학술지 혹은 그 수준에 상응하는 해외학술지에 연 1회 이상 발표할 것이며, 최종 결과물은 국문과 영문, 러시아어, 터키어 학술저서로 출판할 것이다.
    ③ 강의 개발과 교육과의 연계 활용
    결과물을 토대로 문학 혹은 문화사 관련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예: 외대 중앙아시아어과, 한양대 유라시아 학과)
  • 색인어
  • 명창(소리꾼), 구비서사시, 영웅서사시, 구전전통, 유라시아, 중앙아시아, 투르크, 터키, 아제르바이잔,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