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사회의 공유경제 시스템을 적용한 관광분야 초연결경제모델의 분석과 예측 :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의한 온-오프라인 관광조직의 연결망 분석
Sharing Economy and the Hyperconnected Economy of the Tourism Industry in Korea : An Analysis on On & Off-line Tourism Organization Networks Using the Actor Network Theor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20061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5월 01일 ~ 2017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민웅기
연구수행기관 목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관광산업과 관련한 정책적, 경제적 시스템은 정보통신기술(ICT)을 매개로 관광시장 영역의 다양한 변화를 야기했다. 오랜 기간 관광정보는 상품 공급자(사업자)와 수요자(소비자) 간 거래행위 과정에서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이용되어왔다. 특히 정보사회로의 급속한 진입에 힘입어 ‘참여,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Web 2.0의 가치는 관광상품 서비스체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 ICT를 매개로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통합플랫폼 구축과 그들 간 연계적 상호작용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더불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광콘텐츠를 유통하는 새로운 관광 서비스체계의 구축이 이루어졌다. 이 같은 시대적 흐름 속에서 주목받고 있는 경제시스템의 개념이 공유경제(Sharing Economy) 체계이다. 공유경제는 일반적인 상업경제와는 달리 자신의 소유물을 빌려주거나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호혜적 교환관계에 근간을 둔 경제시스템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기업환경을 논의함에 있어 공공성에 입각한 호혜관계를 넘어 상업적 시장경제까지 함께 내재된 융합적 공유경제의 개념이 논의되고 있다. 한편 공유경제 시장시스템 전환이라는 거시 트렌드 속에서 관광분야 역시 이 공유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대안적 시장생태계 모델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있다. 관광자원은 일반적 재화와는 달리 상품구매 의사결정시점이 실제로 구매하는 시점과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산업보다도 여러 형태의 정확한 관광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관광상품의 공급자와 수요자 간 네트워크 구조에서 ICT 통합 플랫폼이 결절점(node)역할을 해야 하는 시장적 특징이 내재해있다. 그 과정에서 이 시스템은 공유경제체계의 가치 실현과 함께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시장성에 입각한 맞춤형 정보 제공까지 가능하게 하여 호혜성과 효율성의 두 거래가치를 동시에 추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공유경제시스템은 지금까지 활용되지 않은 관광관련 재화, 지식, 경험, 시공간 등의 유무형의 자원들을 지속가능한 사회적 가치에 입각하여 협력적 소비(collaborative consumption)를 할 수 있도록 관계망의 빈도와 강도의 정도를 높여주며, 안정된 경제적 수익 구조까지 추구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정립을 지속적으로 유인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관광공간에서 직접 이용가능한 유형의 유휴 자원으로는 관광지 내 숙박, 음식점, 상품권 및 교환권 등의 유휴자원에 대한 서비스가 그것이며, 관광공간에서의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유형의 자원공급 부분은 관광지로의 이동을 위한 교통수단, 실제 관광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관광상품 등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논의를 근거로 대안적 경제질서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는 공유경제체계가 한국 관광산업분야에서 어떤 형식과 내용으로 진행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그것이 ICT 플랫폼을 중심으로 연계되어 어떤 방식의 관광상품 거래 과정과 상호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범위이론인 행위자네트워크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을 근거한 대안적 관광시장 생태계의 운영가능성을 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을 통해 분석,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관광시장의 변화과정에 대한 계량적 해석과 전망을 시도하고, 초연결경제생태계(Hyper-Connected Economy)로 명명되는 새로운 통합적 관광자원관계망 플랫폼 구축에 대한 연구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요컨대 거시적 경제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론 중 하나인 공유경제이론과 미시적 관계시스템을 설명하는 네트워크 이론을 연계할 수 있는 중범위이론으로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담론구조를 고찰한 후, 이 이론에 입각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의 구현을 통해 ICT 플랫폼을 통해 공유경제체계에 입각한 한국사회에서의 대안적 한국관광시장 생태계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공유경제체계 연구를 직접적으로 적용한 한국 관광경제시스템 연구가 국내에 많지 않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독자적인 연구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며, 공유경제시스템과 ICT 네트워크 시스템을 융합적으로 적용한 관광산업 영역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공유경제체계로 운영되고 있는 관광산업 분야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호혜적 가치가 내재된 공유경제이론과 관계적 신뢰가치가 내재된 네트워크 이론이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융합되어 추구하는 거래가치 고찰 및 한국 관광시장생태계 프레임(frame) 정립을 위한 이론적 기여를 할 수 있다. 이를 한국 관광시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실제적 연결망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초연결경제생태계모델로 명명되는 대안적 한국 관광시장생태계 모형을 도출하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현재 국내에서 공유경제 가치를 근간으로 운영되는 관광목적지의 1, 2, 3차 자원, 숙소, 차량, 관광정보서비스 사례를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초연결경제모델로의 이행 과정을 체계화할 수 있다. 또한 그 운영원리가 관광 내외부시장환경에 직접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더불어 온오프라인 상에서 나타나는 ICT 플랫폼을 중심으로 하는 공유경제 연결망 분석을 통해 다양한 관광상품 거래관계의 사례 및 시장과 소비자행동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산업사회를 주도한 수익구조 중심의 한국관광산업 시장과 다른 새로운 한국사회 관광학 연구체계의 보완적인 지식생태학적 위상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편 연구방법론 상으로도 관광학계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설문지법을 통한 통계분석 외에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그램 이용을 통한 연결망 분석 및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분석법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그 분석결과를 생산적으로 통합해줌으로써 연구과정의 방법론적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로 도출된 ICT 통합플랫폼을 근간으로 관광자원거래를 지원하는 대안적 공유경제시스템이 체계화되어 구축되면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관광자원 서비스 운영 교육 시스템 등이 정책적으로 뒤따라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관광자원 기반 ICT통합 플랫폼 지원조직은 관광부문 수익 창출사업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경제적·사회문화적 지원 조직관계가 기업 환경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즉 ICT와 사이버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자원 조달체계 확립과 시장 경제 내 제도적 지원이 가능해진다. 이 같은 공유경제체계의 관광으로의 적용으로 관광자원 및 운영기술을 보유한 특정지역 내 지속적인 수익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ICT 통합 플랫폼 지원조직을 중심으로 다양한 ‘관광연계 사회통합형’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이론적, 실무적 기반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회적 경제 체계에서 그 중요성이 급부상하고 있는 공유경제이론에 입각한 시장시스템을 관광분야에 직접 접목하여 그 운영 모델을 창출해냄으로써로써 그 분석틀이 새로운 관광시장 확장의 시발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유무형 관광자원의 제공서비스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온-오프라인 상 커뮤니티 구성, ICT 플랫폼 구성과 운영 등은 응용학문으로서의 단편적인 관광전공 교육 외에 인접 학문과의 교호작용의 필요성을 명확하게 해주며, 관광분야 연구자 및 실무자들이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또한 병렬적으로 구성된 기존 전문지식의 융합화를 가속화하여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크 연결망 프로그램 운영, 공공성에 입각한 복지관광 조직운영 등을 통한 인적산업분야와의 협업적 교육시스템 구축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다. 덧붙여 관광분야의 다양한 고용시장을 하나의 체계화된 연결망 맵(map)으로 구성함으로써 교육과정에서 공유경제시스템 내 관광상품 및 거래자원의 확대효과를 계량화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는 관광분야에서는 공유경제를 통해 생기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확실한 목적성에 입각하여 개발, 운영할 수 있는 정책적, 산업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불어 추후 관광분야 공유경제기반 사회, 교육단체의 네트워크를 통해 산·학·연 연계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을 둘러싼 시장환경이 공유경제이론의 적용 가능 사례의 하나로 분석가능함을 논의하고,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담론구조와 실무적 관광네트워크 연결망분석의 생산적 결합을 통해 한국 관광분야에서 주목해야 할 새로운 대안적 시장생태계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론상으로도 지금까지 관광학 분야에서 주로 진행되어 온 설문지를 통한 계량분석과 일반적인 네트워크 분석법에 더하여,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근거하여 연결망 분석, 전문가 심층면접, 실제 관광분야 공유경제 운영실태에 대한 사례연구법, 내용분석법 등의 다양하고 개별화된 연구방법론을 폭넓게 이용함으로써 이론적, 방법론적으로 이를 융합할 통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시도할 것이다. 그 분석 내용을 근거로 한국 사회에서 도출가능한 공유경제에 입각한 통합적 시장생태계모델을 개발, 전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는 크게 다섯 단계에 걸쳐 이루어진다. 첫째 공유경제에 대한 개념을 탐색적으로 고찰한다. 이 연구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공유경제에 내재된 이론적 구조 등의 개념적 논의가 정립되어야만 이를 관광경제시스템에 원활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단계에서의 연구는 문헌연구는 물론 실제 한국에서 공유경제를 실현하고 있는 관광분야(관광목적지, 숙박시설, 교통, 관광정보서비스, 기념품 판매 등)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로 이루어진다. 둘째, 교환이론체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가 필요하다. 이는 공유경제시스템을 관광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추후 진행될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대한 심층적 논의와 실제 계량화된 연결망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과정이다. 이를 통해 관광자원의 거래를 둘러싼 실제 온-오프라인 상에서 나타나는 관광객 및 관광조직의 네트워크 경로 의존성을 파악하게 될 것이다. 다양한 네트워크 연결망 프로그램과 기본 통계프로그램 패키지를 통해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셋째, ICT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온-오프라인 관광조직 관계망의 사례를 분석하고, 실제 공유경제를 실현하고 있는 디지털관광콘텐츠 집단의 문화텍스트(text)에 대한 내용분석 및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이는 정보네트워크에서 광범위하게 연결되어 있는 공유경제에 기반한 실제 관광조직의 운영 원리를 내용상 직접 정리할 수 있는 연구과정이 될 것이다. 넷째, 공규경제시스템 및 ICT 기반 관광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의 결과를 본격적인 한국관광산업 및 관광시장으로 적용하는 연계연구를 진행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행위자네트워크이론 적용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공유경제전문가, 온라인 관광네트워크 운영 전문가의 심층면접을 통해 그 적절성을 논의하고, 실제 운영되는 ICT 플랫폼에 기반을 둔 관광자원의 거래 과정의 특징을 이론과 분석방법 결과를 대응시켜 심도있게 분석한다. 마지막 다섯 번째, 상술한 네 단계의 분석단계를 통해 도출된 관광분야 공유경제시스템이 초연결경제모델(Hyperconnected Economy Model)로서 구현되는 과정에서 어떤 정체성을 지니게 되는지를 논의하고, 그리고 추후 관광시장 및 기업환경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이 같은 통합연구방법론을 통해 한국 관광분야 공유경제시스템 모델의 프레임(frame)과 방향성(direction)을 도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본 연구에서는 대안적 관광경제 모델이라 할 수 있는 공유경제 시스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초연결 경제모델로 자기조직화(self organization)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공공성에 기반을 둔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함께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맞춤형 정보 제공으로 이어지는 관광네트워크 조직의 사례에 대해 그 구성 원리를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기 위해서 실제적인 분석을 진행했다. 더 나아가 시장 이용 정보의 교환관계를 통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허브 역할 여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수요, 공급자의 동적 교환관계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관광기업의 새 마케팅 전략에서 알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2. 당초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공유경제에 대한 개념을 탐색적으로 고찰한 내용이다. 이 연구과정은 공유경제에 내재된 이론적 가치, 담론구조 등의 개념적 논의의 정립 후 관광경제 시스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 과정이다. 둘째, 사회과학 이론 중 교환이론 체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했다. 이는 공유경제 시스템을 관광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진행될 네트워크 이론,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연구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관광객 및 관광 조직의 네트워크 경로 의존성과 연결망 분석을 진행할 이론적 틀을 제시해줄 것이다. 셋째, 공유경제시스템 및 ICT 기반 관광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의 결과를 본격적인 관광 산업 및 관광 시장으로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마지막 넷째, 상술한 네 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관광분야 공유경제시스템이 초연결 경제모델로서 어떤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지 논의하고, 그 전망을 이론적으로 정리한다. 또한 이 이론적 전망을 토대로 미래사회에 구축될 수 있는 우리나라 관광 분야의 공유경제 시스템 모델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요컨대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과 범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경제 시스템을 현재 우리나라 관광시장의 온·오프라인 상의 운영사례에 직접 적용하여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둘째, 융합적 네트워크 이론인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을 공유경제 시스템 사례와 연계시켜 논의함으로써 추후 ICT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 사회 내 관광 분야의 초연결 경제시스템의 통합적 시장 생태계 모델을 도출한다. 셋째, ICT 플랫폼을 중심으로 네트워킹 된 관광 조직, 관계, 의사소통 과정의 연결망 분석을 시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관광관련사업의 조직론적 특징을 살펴본다.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첫째, 본 연구를 위해서 공유경제와 관련된 경제학이론, 행위자 네트워크와 관련한 사회학이론의 전반적인 심도 있는 학문적 논의를 위해 사회과학 서적(단행본)과 선행연구(논문)를 토대로 개괄적인 이론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구체적으로 공유경제와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크이론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하여 최신 해외자료들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에 이용했다. 둘째,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공유경제와 관련한 연구문제 도출을 위하여 필요한 사례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제 집단, 조직간 네트워크에 대해 이론을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 주제의 심층적 후속 연구를 위해 개괄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미 <정보통신기술 기반 관광정보 공유과정의 융합적 가치: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의 적용>이라는 제목으로 학술 논문을 학회에서 발표하였다. 셋째, 공유경제를 둘러싼 관광기반 시장에서의 사례(事例)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공유경제 이론의 변형과정 가능성을 고찰하는 연구방법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관광기반 공유경제시스템 도입을 위한 이론적 분석>이라는 제목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관광 산업이 관광자원을 둘러싼 복합적 성격을 지닌 산업이며, 이 산업군에서 이미 많은 교환관계에 의해 기계적인 거래 구조모델이 성립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이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은 본격적인 관광분야 초연결 경제모델의 분석을 위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논의하기 위해서 관련 주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정리했다. 넷째, 상술한 공유경제, 정보통신기술, 온라인 관광조직, 행위자네트워크 등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대안적 관광모델로서 공유경제 시스템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이론을 교환이론, 네트워크이론,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큰 이론적 축을 근거로 분석을 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다섯째, 이 같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실제 관광 활동을 하는 소비자의 공유경제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과정에 있다.
  • 영문
  • Sharing economy is an economic system where people share their goods and services with other people that results in increasing the value of them, while the existing market economy is operating based on the exchange of money. Enter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sharing economy is extending its scope through the exchange of things as well as people. Tourism industry is pay attention on the sharing economy as an alternative tourism model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ass tourism model.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rinciple that the sharing economy is realized in tourism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theory, and analyze it in convergence terms, using network theory and actor-network theory. As an open system in an information society, tourism organizations is realizing sharing economy in interaction with external environment, flexibly making formal and informal networks among tourists, intermediaries, and tourism resources suppliers. The analysis of sharing economy as an alternative tourism model based on theorie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value system to achieve stable tourism-based sharing economy in the fu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1. 당초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연구목표
    본 연구에서는 대안적 관광경제 모델이라 할 수 있는 공유경제 시스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초연결 경제모델로 자기조직화(self organization)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공공성에 기반을 둔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과 함께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맞춤형 정보 제공으로 이어지는 관광네트워크 조직의 사례에 대해 그 구성 원리를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기 위해서 실제적인 분석을 진행했다. 더 나아가 시장 이용 정보의 교환관계를 통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허브 역할 여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수요, 공급자의 동적 교환관계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관광기업의 새 마케팅 전략에서 알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2. 당초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공유경제에 대한 개념을 탐색적으로 고찰한 내용이다. 이 연구과정은 공유경제에 내재된 이론적 가치, 담론구조 등의 개념적 논의의 정립 후 관광경제 시스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 과정이다. 둘째, 사회과학 이론 중 교환이론 체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진행했다. 이는 공유경제 시스템을 관광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 연구로서 진행될 네트워크 이론,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에 대한 심층적 논의를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연구 과정이다. 이 과정을 통해 관광객 및 관광 조직의 네트워크 경로 의존성과 연결망 분석을 진행할 이론적 틀을 제시해줄 것이다. 셋째, 공유경제시스템 및 ICT 기반 관광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의 결과를 본격적인 관광 산업 및 관광 시장으로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마지막 넷째, 상술한 네 단계의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관광분야 공유경제시스템이 초연결 경제모델로서 어떤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지 논의하고, 그 전망을 이론적으로 정리한다. 또한 이 이론적 전망을 토대로 미래사회에 구축될 수 있는 우리나라 관광 분야의 공유경제 시스템 모델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요컨대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과 범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경제 시스템을 현재 우리나라 관광시장의 온·오프라인 상의 운영사례에 직접 적용하여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해석을 시도한다. 둘째, 융합적 네트워크 이론인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을 공유경제 시스템 사례와 연계시켜 논의함으로써 추후 ICT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 사회 내 관광 분야의 초연결 경제시스템의 통합적 시장 생태계 모델을 도출한다. 셋째, ICT 플랫폼을 중심으로 네트워킹 된 관광 조직, 관계, 의사소통 과정의 연결망 분석을 시도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관광관련사업의 조직론적 특징을 살펴본다.
    Ⅱ.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첫째, 본 연구를 위해서 공유경제와 관련된 경제학이론, 행위자 네트워크와 관련한 사회학이론의 전반적인 심도 있는 학문적 논의를 위해 사회과학 서적(단행본)과 선행연구(논문)를 토대로 개괄적인 이론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구체적으로 공유경제와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크이론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하여 최신 해외자료들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에 이용했다. 둘째,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공유경제와 관련한 연구문제 도출을 위하여 필요한 사례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제 집단, 조직간 네트워크에 대해 이론을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이 주제의 심층적 후속 연구를 위해 개괄적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미 <정보통신기술 기반 관광정보 공유과정의 융합적 가치: 행위자 네트워크이론의 적용>이라는 제목으로 학술 논문을 학회에서 발표하였다. 셋째, 공유경제를 둘러싼 관광기반 시장에서의 사례(事例)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공유경제 이론의 변형과정 가능성을 고찰하는 연구방법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관광기반 공유경제시스템 도입을 위한 이론적 분석>이라는 제목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관광 산업이 관광자원을 둘러싼 복합적 성격을 지닌 산업이며, 이 산업군에서 이미 많은 교환관계에 의해 기계적인 거래 구조모델이 성립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이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은 본격적인 관광분야 초연결 경제모델의 분석을 위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논의하기 위해서 관련 주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정리했다. 넷째, 상술한 공유경제, 정보통신기술, 온라인 관광조직, 행위자네트워크 등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대안적 관광모델로서 공유경제 시스템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이론을 교환이론, 네트워크이론,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큰 이론적 축을 근거로 분석을 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다섯째, 이 같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실제 관광 활동을 하는 소비자의 공유경제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과정에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를 위해서 공유경제와 관련된 경제학이론, 행위자 네트워크와 관련한 사회학이론의 전반적인 심도 있는 학문적 논의를 위해 사회과학 서적(단행본)과 선행연구(논문)를 토대로 개괄적인 이론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구체적으로 공유경제와 정보통신기술, 네트워크이론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하여 최신 해외자료들을 수집하여 이를 분석에 이용했다. 둘째,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공유경제와 관련한 연구문제 도출을 위하여 필요한 사례분석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제 집단, 조직간 네트워크에 대해 이론을 적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 조직이론과 관련한 조직사회학 이론을 적용하여 ICT 기반공유경제 모델에 입각한 관광조직의 연결망을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접목하여 초연결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관광시장군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셋째, 공유경제를 둘러싼 관광기반 시장에서의 사례(事例)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공유경제 이론의 변형과정 가능성을 고찰하는 연구방법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관광기반 공유경제시스템 도입을 위한 이론적 분석>이라는 제목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이 연구논문에서는 관광 산업이 관광자원을 둘러싼 복합적 성격을 지닌 산업이며, 이 산업군에서 이미 많은 교환관계에 의해 기계적인 거래 구조모델이 성립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특히 이 논문의 주요 연구내용은 본격적인 관광분야 초연결 경제모델의 분석을 위한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의 논의하기 위해서 관련 주요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정리했다. 넷째, 상술한 공유경제, 정보통신기술, 온라인 관광조직, 행위자네트워크 등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대안적 관광모델로서 공유경제 시스템 분석을 위한 사회과학이론을 교환이론, 네트워크이론,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큰 이론적 축을 근거로 분석을 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자원은 기본적으로 공공재로서의 특징이 내재해 있음을 밝혔다. 다섯째, 이 같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실제 관광 활동을 하는 소비자의 공유경제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과정에 있다.
    연구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첫째, 관광자원을 지원하는 ICT통합 플랫폼이 구축과 관련한 연구가 마무리되어 그 조직이 운영되면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관광자원 서비스 운영 교육시스템 구축이 가능해진다. 둘째, 관광자원 기반 ICT통합 플랫폼 지원조직에 대한 연구가 마무리되어 실제로 그것이 운영되면 관광부문 수익 창출사업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지원을 할 수 있다. 셋째, ICT 통합 플랫폼 지원조직에 대한 분석이 마무리되면 구체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실질적으로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사회통합형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이러한 ICT 통합 플랫폼에 기반을 둔 관광자원 지원 조직은 복잡한 시장 내 조직 간 네트워크 조직의 구성을 통해 가능하다. 이 네트워크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한 후, 연구결과를 근거로 네트워크 경로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각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관광기업, 관광조직을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인적 자원이 필요할 것이다. 관광시장, 공유경제시장, 정보통신분야 시장의 각 전문가들이 함께 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거버넌스 위원회를 구성, 새로운 고용창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된 것은 이 같은 선순환적 과정에 대한 실현 가능성 때문이다. 관광분야 전문가는 관광자원 및 상품 공급과 관련한 정보를 전달하고, 정보통신분야 전문가는 이 위원회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정보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공유경제 참여자들은 그 정보 운영이 사회적 가치에 부합하는지에 대한 감시와 지도 업무를 끊임없이 수행해야 한다. 또한 관광분야 전문가와 공유경제 전문가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 지원하여 안정된 시스템을 구조적으로 정착시켜야 하며, 정보통신분야 전문가와 공유경제 역시 의견 수렴과 지원을 통해 운영 과정상의 정착을 추구해야 한다.
  • 색인어
  • 관광, 관광자원, 공유경제, 네트워크이론, 행위자네트워크이론, 연결망분석, 공공성, 호혜성, 시장성, 신뢰, 안전, 초연결경제모델, 정보통신기술기반 통합 플랫폼, 초연결경제, 관광서비스채널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