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여성들의 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바디 피트니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로 인해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는 기존 정통성을 지키고 있는 보디빌더와 새롭게 진입하는 피트니스 선수들 간의 보이지 않는 투쟁이 일어나고 있다. 새로운 점은 일반적인 보디빌딩에 ...
최근 여성들의 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성 바디 피트니스가 각광받고 있다. 이로 인해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는 기존 정통성을 지키고 있는 보디빌더와 새롭게 진입하는 피트니스 선수들 간의 보이지 않는 투쟁이 일어나고 있다. 새로운 점은 일반적인 보디빌딩에서 볼 수 있는 남성과 여성이 아닌, 여성과 여성간의 투쟁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은 Bordieu가 주장한 장의 권력다툼으로 구별짓기와 전복전략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Bordieu의 관점을 통해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전통성을 지키며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한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 지으며,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기득권을 획득,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Bourdieu의 관점을 통해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 짓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장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연구성 ...
Bourdieu의 관점을 통해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 짓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장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디 피트니스 종목의 등장으로 인한 여성 보디빌딩 현장의 변화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통 스포츠 종목과 변형 스포츠 종목의 갈등과 이에 따른 스포츠 현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Bourdieu의 주장을 스포츠 현장에 적용하고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접근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전통성을 지키며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 지으며,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기득권을 갖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에 살펴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를 ...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전통성을 지키며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 지으며,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기득권을 갖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에 살펴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대한 보디빌딩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선수들 중 여성 보디빌더 5명, 피트니스 선수 5명을 선정할 것이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연구와 직ㆍ간접적으로 관련된 문서들을 중심으로 수집할 것이다. 그리고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찰일지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 주제별 약호화, 주제의 생성단계로 구분하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자료의 진실성은 삼각 검증법, 동료 연구자의 내용검토와 조언, 연구 참여자의 내용검토와 조언, 연구자의 반성과 성찰 등을 통해 확보해나갈 것이다. 그리고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에게 개인적인 접촉이 사생활까지 관여되는 여러 가지 윤리적인 문제를 신중히 고려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목적은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이 무엇이며, 보디빌딩 선수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대한보디빌딩협회에 이사 3명, 대한보디빌딩 ...
본 연구목적은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이 무엇이며, 보디빌딩 선수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대한보디빌딩협회에 이사 3명, 대한보디빌딩협회에 등록된 여성 보디빌딩 선수 3명, 피트니스 선수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자료 수집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에 대해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은 피트니스에 대한 인기, 사설단체 피트니스 대회 등장과 새로운 종목의 탄생, 무규제로 인한 무제한 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디빌딩 선수들은 문화자본으로서 경력의 특권화, 보디빌딩의 정통성, 진정한 미는 근육미라는 것을 인식시키며 피트니스 선수들과 구별짓기를 행하고 있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the main factor that changed the field of female body building, and how body building athletes are distinguished with fitness athletes. For these, we progres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By using purp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is the main factor that changed the field of female body building, and how body building athletes are distinguished with fitness athletes. For these, we progressed Phenomenological Research. By using purposeful sampling, we choose 9 research participants total; 3 directors from Korea Bodybuilding and Fitness Federation, 3 female body building athletes who registered in Korea Bodybuilding and Fitness Federation, and 3 fitness athletes. Datas were collected by participant, in-depth interview, collection of relevant materials, etc. By these acquired datas, textu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these research methods, the conclusion was deducted and they are as follow. First, the cause that changed the place of female body building appeared to be popularity of fitness, appearance of fitness contests by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birth of new events, and unlimited participation caused by no regulation. Second, body building athletes are drawing the line between fitness athletes by impressing privileging of career as cultural capital, legitimacy of body building, and muscular beauty is the authentic beaut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목적은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이 무엇이며, 보디빌딩 선수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대한보디빌딩협회에 이사 3명, 대한보디빌딩 ...
본 연구목적은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이 무엇이며, 보디빌딩 선수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을 이용하여 대한보디빌딩협회에 이사 3명, 대한보디빌딩협회에 등록된 여성 보디빌딩 선수 3명, 피트니스 선수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 자료 수집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에 대해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보디빌딩의 장을 변화시킨 요인은 피트니스에 대한 인기, 사설단체 피트니스 대회 등장과 새로운 종목의 탄생, 무규제로 인한 무제한 참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디빌딩 선수들은 문화자본으로서 경력의 특권화, 보디빌딩의 정통성, 진정한 미는 근육미라는 것을 인식시키며 피트니스 선수들과 구별짓기를 행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장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방안은 다 ...
본 연구는 여성 보디빌딩의 장에서 보디빌더들이 피트니스 선수들과 어떻게 구별짓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구조적 틀 안에서 피트니스 선수들이 장의 기득권을 획득하기 위해 어떠한 전복전략을 사용하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기대되는 연구성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디 피트니스 종목의 등장으로 인해 여성 보디빌딩 현장의 변화와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통 스포츠 종목과 변형 스포츠 종목의 갈등과 이에 따른 스포츠 현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Bourdieu의 주장을 스포츠 현장에 적용하고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 다양한 접근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색인어
여성 보디빌딩 선수, 장, 피트니스 선수, 구별짓기, 현상학적 연구, 유목적 표집법, 피트니스 대회, 문화자본, 대한 보디빌딩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