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영어 작문에서 영어 읽기 능력의 중개를 통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의 역할 분석 연구
Role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in L2 writing quality through the mediation of L2 reading abil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581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7월 01일 ~ 2017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최연희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영어 어휘 능력과 읽기와 쓰기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 모두를 다각적으로 측정하여 이러한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을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으며 직접적 또는 간접적 기여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환경에서 쉽게 발달시키기 어려운 쓰기 능력을 위해서 어떤 유형의 어휘 학습이 필요한 것인지 규명해보고자 한다. 만일 수용적 어휘 능력이 산출적 어휘 능력을 통해 또는 읽기를 통해 쓰기 능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면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를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측정하여 단어 수준에 따라서도 영어 쓰기와의 관계가 달라지는지도 분석하여 어느 단어 수준에서 어휘량이나 깊이 지식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과의 관계가 유의한지를 규명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 지식 모두를 측정하여 이러한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를 측정하여 단어 수준별 어휘 능력에 따라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달라지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가 영어 쓰기 교육학, 어휘 및 쓰기 지도 및 쓰기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점과 그 활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영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에 직접적으로 또는 영어 읽기 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얼마나 기여하는가에 대한 정보는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의 구인(construct)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영어 쓰기 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특히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가 영어 쓰기 능력을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가에 대한 정보는 어휘 능력의 어떤 측면이 영어 쓰기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단어 수준별 어휘 능력의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는 어느 단어 수준에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영어 쓰기 능력의 관계가 유의한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② 영어 수용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에 직접적으로 또는 영어 읽기 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 얼마나 기여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외국어로서 영어 쓰기를 학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한국의 교육적 환경에서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해 읽기 등의 활동을 통한 수용적 어휘 지도 방안 고안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어휘량과 깊이 중 어떤 능력의 설명력이 더 큰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많은 어휘의 의미를 학습하는 것과 어휘와 연계되는 다른 어휘들(연어), 다양한 의미 및 문법적 용법까지 학습하는 것 중 어떤 것이 필요한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기초로 쓰기를 위한 어휘 학습 내용을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단어 수준별 어휘와 읽기 및 쓰기와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휘 학습에서 어느 수준의 단어를 선택해서 지도 방안이나 교재를 고안하는 것이 유용한가에 대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③ 단어 수준별 산출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쓰기를 위한 어휘 학습 내용이나 교재 개발에서 어느 수준의 어휘들을 문장 작성 등의 산출 활동으로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영어 쓰기를 위한 어휘 학습 교재 개발에 의미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➃ 산출적 어휘 능력과 영어 쓰기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영어 쓰기의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에서 어휘 영역에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부여할 것인가의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⑤ 연구에서 개발되는 단어 수준별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 측정 검사지는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관련된 후속 연구들, 특히 단어수준에 따라서는 대학생이 아닌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도 활용 가능하고 여러 변인들의 쓰기 능력 기여도에 대한 연구들에서도 어휘 측정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연구요약
  • 어휘 능력은 외국어 능력 수준을 보여주는 예측 지표(predictor)이며 우수한 어휘 능력은 능숙하게 글을 쓰기에 핵심적으로 필요한 자질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어휘 능력의 부족은 영어 작문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외국어 어휘 능력과 쓰기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한 선행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산출적(productive) 어휘 능력이 영어 작문 능력 설명력이 크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만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며, 또한 어휘량(vocabulary size)과 깊이(vocabulary depth) 중 어떤 측면을 측정했는가에 따라서 결과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아울러 수용적(receptive)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읽기 및 쓰기 능력 간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규명하는 연구가 미흡하여,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쓰기 능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또한 어휘 능력과 관련된 읽기와 쓰기 능력에서 읽기 능력이 쓰기 능력 발달에 기여한다는 모국어 연구들이 있지만, 외국어에서는 정확한 관계를 규명하고 있는 연구가 많지 않다. 더불어 어휘 능력이 두 능력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연구도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어휘량과 깊이 지식 모두를 포함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 어휘와 쓰기 능력의 직접적 관계 및 읽기 능력의 중개를 통한 간접적 관계를 설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를 측정하여 단어 수준에 따라서도 영어 쓰기와의 관계가 달라지는지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다. 구조방정식 모형 사용을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영어 어휘, 쓰기, 읽기 평가를 실시한다. 영어 어휘 검사지는 수용적 어휘량과 깊이 및 산출적 어휘량과 깊이를 측정하는 4개의 검사지로 구성된다. 수용적 어휘량은 Nation(2010)의 VST(Vocabulary Size Test)를 수정 보완한 Shin 등(2011)의 검사지를 바탕으로 1,000에서 10,000 단어 수준별 오지선다형 문항으로 개발하고, 수용적 어휘 깊이 검사지는 Read(1993, 1998)의 WAT(Word Associates Test)를 기초로 어휘의 동의어, 연어(collocation) 인지 능력 검사지로서 1,000에서 10,000 단어 수준별 어휘가 포함되도록 제작한다. 산출적 어휘량 검사지는 Laufer과 Nation(1999)의 통제적 산출 어휘량 검사지(vocabulary-size test of controlled productive ability)를 수정 보완한 Shin 등(2011)의 검사지를 바탕으로 1,000에서 10,000 단어 수준별 C-test 유형 문항으로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산출적 어휘 지식의 깊이를 알아보는 검사지는 Lee(2015)에서 사용한 연어의 의미가 한국어로 제시된 영어 문장의 빈 칸에 적절한 단어를 쓰는 문항 유형으로 개발하여, 1,000에서 10,000 단어 수준별 어휘가 포함되도록 제작한다. 영어 쓰기 평가는 미국 ETS의 TOEFL TWE(Test of Written English) 논설문 작성 과제 중 1개를 선택하여 개발한다. 영어 읽기 평가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모의고사 문제를 응용하여 개발한다. 구조방정식 모형 사용을 위해 읽기 능력의 복수 영역 즉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지칭어 추론 측면에서 읽기 능력을 측정하는 사지 선다형 문항을 개발하여 제작한다.
    본 연구는 문헌 자료 검토를 통해 어휘, 쓰기 및 읽기 평가지와 채점 기준을 개발한 후 서울 소재 대학교에서 연구 대상자를 섭외하여 어휘, 쓰기 및 읽기 평가를 실시하는데, 쓰기 평가를 먼저 실시하고 이후 어휘 평가, 다음으로 읽기 평가를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쓰기, 어휘, 읽기 평가의 채점을 한 후 종속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먼저 분석하고, 어휘량과 어휘 깊이를 포함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및 읽기 능력을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1,000에서 10,000 단어 수준별 어휘 능력 점수를 종속변인으로도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아울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수용적 어휘 능력이 산출적 어휘 능력과 영어 쓰기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기여도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읽기를 통한 쓰기 능력에의 간접적인 기여도를 분석한다. 또한 산출적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및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접적인 기여도 및 읽기 능력을 통한 간접적인 기여도 더불어 영어 읽기가 쓰기에 미치는 직접적인 기여도를 분석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영어 어휘의 수용적 및 산출적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을 얼마나 설명해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지식의 깊이를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측정하여 쓰기 평가 결과와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 분석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쓰기 능력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 기여도가 있는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78명의 서울 및 경기 지역 1-4학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의 양과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4가지 검사지와 영어 논설문 쓰기 평가, 수능 유형 선다형 읽기 평가를 실시하였다. 어휘 지식의 양은 기존의 연구에서 개발한 10단계 단어 수준별로 10문항씩 총 100문항으로 구성된 선다형과 개방형 검사지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어휘 지식 깊이 평가지는 Read의 WAT 검사지를 바탕으로 8지 선다형 수용적 어휘 능력 검사지와 Shin(2015)에서 개발한 유형을 응용한 개방형 산출적 어휘 능력 검사지를 10단계 단어 수준별로 10문항씩 고안하여 각각 총 100문항을 구성한 검사지로 제작하였다. 영어 쓰기, 어휘, 읽기 평가 순서로 시험을 실시한 후 영어교육 석박사 4명의 채점자가 2명씩 짝을 이루어 모든 평가지를 채점하고 점수차가 있는 경우 연구자와 논의를 통해 최종 점수를 결정하는 방향으로 채점이 이루어졌다. 채점자간 신뢰도는 .833에서 .946 사이로 높은 편이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영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의 쓰기 능력 예측도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한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지식 깊이 검사 결과의 총점과 단계별 점수는 대부분 쓰기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빈도 어휘일수록 산출적 어휘 평가 점수와 쓰기 점수와의 상관도가 더 높았지만 7,000 단어 수준 이후 상관 계수가 낮아지고 쓰기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도 저빈도 어휘의 산출적 지식의 양과 깊이는 우수한 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 결과는 산출적 어휘 지식의 양과 수용적 어휘 지식의 깊이 검사 결과의 총점이 영어 쓰기 점수를 예측해줄 수 있는 지표이며, 단어 수준별로는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량이 예측도가 가장 크며 설명도는 약하지만 2,000 단어 수준의 수용적 어휘 지식의 깊이와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 지식의 깊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쓰기 점수를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 기여도를 알아보기 위해 아모스 20.0버전을 사용하여 2단계의 측정 모형과 구조적 모형 분석을 통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안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구조적 모형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산출적 어휘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쓰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수용적 능력은 읽기와 산출적 어휘 능력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가 분석을 통해 수용적 어휘 능력이 읽기 능력보다는 산출적 어휘 능력을 통해 쓰기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조금 더 크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산출적 어휘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지만 한국과 같이 외국어로서 영어 쓰기를 학습하는 환경에서는 수용적 어휘 능력도 산출적 어휘 능력과 읽기를 통해 쓰기 능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저빈도 어휘 수준의 지식이 쓰기 능력에 도움이 되지만 어휘 지식의 깊이 측면에서는 고빈도 어휘의 수용적 지식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어휘량뿐만 아니라 어휘 지식의 깊이를 고빈도 어휘부터 늘려나가는 것이 외국어로서 영어 쓰기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영문
  • The present study purposes to explore predictive power of the four dimensions of vocabulary knowledge for L2 writing ability, with an analysis of effects of the four dimensions on writing across 10 word-frequency levels. It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s of Korean EFL college students’ L2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size and depth) to their L2 writing performance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ith a goal to explore the pathways of vocabulary knowledge to writing. Data from 178 undergraduate students were collected through test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a writing test and a reading te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have indicated significant relations of writing with all the four dimensions of vocabulary knowledge in total and across the 10 word-frequency levels, especially with less frequent words.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vocabulary knowledge, productive vocabulary size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predictor of writing ability; receptive vocabulary depth knowledge also explained a small amount of variance in scores of writing quality. The 7,000 word level of productive vocabulary size was a significant discriminator for writing abilities with the 2,000 word level of receptive vocabulary depth and the 7,000 word level of productive vocabulary depth. In testing a hypothesized model on the role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in writing, the results of the SEM analysis reveal the direct role of productive vocabulary in writing. The indirect role of receptive vocabulary on writing was observed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productive vocabulary or reading ability due to the direct contribution of receptive vocabulary to both productive vocabulary and reading and that of productive vocabulary and reading to writing. Findings from the study shed light on the relations of L2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ith L2 writing abilities, suggesting potential benefits of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learning for L2 writing. Furthermore, they suggest different dimensions and word-frequency levels of vocabulary knowledge contribute to writing with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student writ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영어 어휘의 수용적 및 산출적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측정한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지식의 깊이는 영어 쓰기 능력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를 회귀 분석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수용적 및 산출적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을 얼마나 직간접적으로 설명해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어휘 능력과 쓰기 능력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한 후 직간접적 기여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7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쓰기 및 읽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고, 네 종류의 시험을 통해 영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지식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영어 쓰기 능력은 1,000에서 10,000의 10단계 단어 수준으로 구분된 산출적 및 수용적 어휘량과 지식의 깊이가 모두 유의하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사용 빈도수가 낮은 저빈도 어휘 지식과의 상관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결과와 유사하게 회귀 분석 결과는 산출적 어휘량이 영어 쓰기 능력 예측도가 가장 높으며 수용적 어휘 지식 깊이는 영어 쓰기 능력의 일부를 설명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량이 한국 대학생의 쓰기 능력을 가장 잘 변별해주는 어휘 수준이며, 2,000 단어 수준의 수용적 어휘 지식의 깊이,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 지식 깊이도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산출적 지식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직접적 기여도와 수용적 지식의 산출적 지식과 읽기 능력을 매개로 한 간접적 기여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쓰기 능력을 위해서는 산출적 어휘 능력이 필요하지만 연구 결과를 통해 수용적 어휘 능력도 산출적 어휘 능력과 읽기를 통해 쓰기 능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저빈도 어휘 수준의 지식이 쓰기 능력에 도움이 되지만 어휘 지식의 깊이 측면에서는 고빈도 어휘의 수용적 지식도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어휘량뿐만 아니라 어휘 지식의 깊이를 고빈도 어휘부터 늘려나가는 것이 외국어로서 영어 쓰기 능력을 발달시키는 데 유용할 것으로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 대학생들의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량과 지식의 깊이를 1,000부터 10,000 단어 수준별로 측정하여 쓰기 점수와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총점과 대부분의 단어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빈도 어휘일수록 산출적 어휘 평가 점수와 쓰기 점수와의 상관도가 더 높아지지만 7,000 단어 수준 이후 상관 계수가 낮아지고 쓰기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도 저빈도 어휘의 산출적 지식의 양과 깊이는 우수한 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 분석 결과는 산출적 어휘 지식의 양과 수용적 어휘 지식의 깊이 점수가 영어 쓰기 점수를 예측해줄 수 있는 지표이며, 단어 수준별로는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량이 예측도가 가장 큰 지표이고 설명도는 약하지만 2,000 단어 수준의 수용적 어휘 지식 깊이와 7,000 단어 수준의 산출적 어휘 지식 깊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쓰기 점수를 예측해줄 수 있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서 어휘 능력이 영어 쓰기 능력에 직간접적으로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 결과, 산출적 어휘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쓰기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만 수용적 능력은 읽기와 산출적 어휘 능력을 매개로 간접적 영향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은 수용적 어휘 능력이 읽기 능력보다는 산출적 어휘 능력을 통해 쓰기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조금 더 크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영어 쓰기 지도를 위한 어휘 학습 방안 및 관련 교재 개발, 쓰기 자동 채점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어휘와 관련된 쓰기 연구 등에도 활용되고 한국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대한 모형 설정 등의 영어 쓰기 교육학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산출적 어휘 능력 특히 어휘량이 영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는 연구 결과는 작문의 핵심 난제인 어휘력 부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한 지도 방안 고안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즉 쓰기 선행 활동에서 생각나는 대로 단어를 다 써보기를 한다든지 작문 주제와 관련된 어휘를 먼저 집단 구성원들과 함께 탐구한 후 작문을 한다든지 하는 방안을 활용하여 어휘에 관한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쓰기 전에 생각했던 단어를 실제 작문할 때 사용한다면 실제 작문에 활용한 어휘의 기억도를 높여 산출적 어휘량의 증가에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둘째, 영어 쓰기 학습이 활성화되어있지 않은 한국의 영어 교육 환경에서 수용적 어휘 능력도 읽기를 통해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읽기를 쓰기 학습에 통합하는 지도 방안과 교재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단어를 인지하는 어휘량보다는 어떤 단어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지, 동의어는 무엇인지 등의 어휘 지식의 깊이가 중요한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나 읽기 학습을 통한 어휘 학습이라도 좀 더 의식적인 어휘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글쓴이처럼 글을 읽으라는 말이 있듯이 글을 읽을 때 글쓴이와 같은 입장에서 분석적으로 읽으면서 단어 하나하나의 문맥상 쓰임을 검토하는 것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수용적 어휘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되리라고 본다. 셋째, 산출적 어휘의 총량과 단어 수준별 어휘량의 영어 쓰기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는 영어 쓰기의 자동채점 프로그램 개발에서 어휘 영역에 얼마만큼의 가중치를 부여할 것인가의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단순히 어휘량이 아닌 단어 수준별 어휘 빈도수를 프로그램에 하나의 변수로 포함시킨다면 채점 프로그램을 좀 더 정교화 시켜 자동 채점 프로그램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고 본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사용한 단어 수준별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 깊이 측정 검사지는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능력과 관련된 후속 연구들에 활용되어 어휘량에 비해 부족한 어휘 지식의 깊이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산출적 및 수용적 어휘 능력과 쓰기 및 읽기의 관계에 대한 한 가지 모형을 설정한 후 이를 검증하였는데, 산출적 어휘 능력이나 읽기가 수용적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포함한 가설 등 4가지 변수에 관한 다양한 관계를 설정한 후 어느 모형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지를 검증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국 학생들의 영어 어휘 능력과 쓰기 능력에 관한 좀 더 타당한 모형을 구축해나갈 수 있으리라고 본다.
  • 색인어
  • 외국어 어휘 지식, 수용적 어휘, 산출적 어휘, 어휘량, 어휘사이즈, 어휘 지식 깊이, 외국어 쓰기 능력, 영어 쓰기 능력, 외국어 읽기 능력, 영어 읽기 능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