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형발굴(pattern finding)? 과정추적(process tracing)?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을 둘러싼 역학과 그 함의
Pattern Finding? Process Tracing? Dynamics of Policy Transfer for Work-Family Accommodation and Multi-cultural Policy and Its Implication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333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2 년 (2016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원숙연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이 다른 서구의 정책경험을 수용해 온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 정책에 주목하여,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을 통해 표면적으로 유사해 보이는 정책이면의 이질성과 다양성의 역학을 밝힌다. 특히 본 연구는 유사해 보이는 정책의 내적 이질성을 만들어내는 거시적 요인으로서 3Is(deology-Identity- Interests) 와 3Is 하에서 다양한 행위주체(agents)간 ‘상호작용의 유형(pattern finding’과 ‘상호작용 과정(process tracing)’을 밝히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지역과 국가 그리고 국가의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책의 내용과 방향이 유사해지는 현상은 정책이전, 정책확산, 정책수렴 등 다양한 개념을 통해 조망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서구에서의 정책경험과 내용을 수용하는 정책이전이 목격된다. 그 대표적인 영역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가족 양립 정책과 ‘이주 외국인’대상의 다문화정책이다. 그동안 두 이슈는 정책경험이나 정책유산이 축적되지 않은 영역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일-가족 간 이분법이 당연시되고 일과 가족의 양립은 사적문제이지 공적문제로 논의되지 않았다. 또한 단일민족-단일문화의 전통 속 ‘혈통’을 중시하는 문화적 특성에 따라 ‘인종적 다양성’은 정책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오면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활발해지고, 외국인의 유입에 따른 인종적 다양성이 확대됨에 따라 정책대응의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일-가족 양립이나 인종문제 관련 정책경험이 축적된 다른 나라로부터의 정책내용과 방향을 참고하는 정책이전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은 선진적인 형태의 '유럽기준’으로 평가된다. 이주 외국인 정책도 적극적인 의미의 다문화주의는 아니지만 사회적 편입이라는 서구적 동화주의와 수렴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여기서 몇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정책이전을 통해 유사한 듯 보이는 우리나라의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정책의 본질과 속성이 서구의 그것과 같을까? 이러한 포괄적인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도출한다. 정치, 경제, 문화 및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가족양립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정책이전이 활발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왜 무엇 때문에 특정 시기에, 특정 국가로부터 정책내용과 방향성이 이전되었을까?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정책이전에 관여한 행위주체(agents)는 어떤 세력이며, 행위주체들이 제시한 논리와 전략은 무엇인가? 이들 행위주체의 논리와 전략이 실제 정책내용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그 과정은 어떠했는가? 그러한 논리와 과정이 서구 다른 나라와는 어떻게 다르며, 어떤 점이 유사한가? 정책이전을 둘러싼 이 모든 역학이 일-가족 양립 및 이주 외국인 정책의 효과성에 갖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상의 질문에 답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상의 연구문제는 정책과 현실간의 디커플링(decoupling) 또는 형식주의 차원에서 중요하다. 정책이전의 대상인 된 서구국가와 정책이전을 해 온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및 이념적 맥락이 다르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처럼 정책이전에 상존하는 디커플링과 형식주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로부터 이전된 정책의 표면적 유사성만이 아니라 각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다른 정책내부의 이질성과 변이를 규명할 필요성이 높다. 우리와 다른 나라의 정책이 만들어진 맥락에 대한 이해와 성찰 없이 다른 나라의 정책경험을 ‘그대로 가져다 베끼는’(copy and paste learning) 정책표절(policy plagiarism)(Sharman, 2010: 623-625)로 인한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정책의 디커플링 또는 형식주의의 가능성이 높은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이전을 둘러싼 다양한 메카니즘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 기대효과
  • 첫째, 새로운 관점 적용을 통한 연구 외연의 확대라는 점에서 학문적 효용이 있다. 시차는 있지만 1990년대 이후 일-가족 양립지원 및 이주외국인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증가하고 이에 대응한 연구가 확대되었다. 두 정책모두 서구의 정책경험이 상당부분 이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이전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정책이전 과정에 작용하는 거시적 요인은 무엇이며, 관련된 행위주체들 간 역학에 대한 연구는 행정학분야에서 거의 최초의 시도이다. 이처럼 새로운 관점을 적용한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활용가치가 높다.
    둘째, 같은 맥락에서 정책이전을 통한 서구의 정책내용을 단순 소개하는 수준을 넘어서 정책이면의 역학과 다양성을 만드는 행위주체와 정책논리, 그리고 그들 간의 상호작용 유형(pattern finding)과 과정(process tracing)을 통합하는 포괄 연구라는 점에서 현실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는 현실적 효용이 있다. 특히 정적인(static) 접근과 동적인(dynamic) 접근을 함께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갖는 효용은 배가된다
    셋째, 일-가족 양립지원 및 다문화 정책의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 진단 및 최소화 방안 마련이라는 점에서 정책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이 두 정책영역은 정책의 형식적 내용은 선진적이나 우리의 현실과 거리가 발생하는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의 대표적 영역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 원인은 사회문화적 맥락이 다른 나라로부터의 단선적인 정책이전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 두 정책을 둘러싼 행위주체들간의 역학과 3Is의 영향력에 대해 서구 다른 나라와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정책의 단순 모방 및 정책표절의 문제를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책과정에서 디커플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일-가족 양립정책의 정책이전을 둘러싼 역학에 대한 비교연구는 우리사회가 직면한 난제(wicked problem)해결을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과 이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무색하게 일-가족 양립지원 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갖는 효용은 여전히 의문시된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정책경험을 이전해 온 스웨덴이나 프랑스에서 일-가족 양립지원정책과 출산율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로부터 오는 것일까? 우리나라와 스웨덴(프랑스) 정책의 표면적 유사성을 넘어서는 무엇인가가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우리나라와 서구 다른 나라 그리고 일본과 일-가족 양립정책을 둘러싼 행위주체들간의 역학을 심층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의 단초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단초는 우리나라의 상황과 정합성(fit)을 갖는 정책내용 및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활용된다.
    본 연구 과정 및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방향에서 교육 및 인력양성과 연계된다.
    첫째, 여성 및 이주외국인을 포함한 소수자 정책에 대한 교과과정개설이다. 본 연구와 같은 통합적 연구를 통해 포괄적인 교과과정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여성과 이주외국인 그리고 미래의 소수자를 포괄하는 소수자 정책론(가칭), 정책이전(수렴, 확산)과 이를 둘러싼 역학을 함께 논의하는 정책이전의 이론과 실제(가칭)등의 교과과정 개설이 가능해진다.
    둘째, 본 연구 진행과정에서 연구책임자 및 참여자(학부 및 대학원생)가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정책을 이전받은 서구 연구 집단과의 적극적인 글로벌 네트워킹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관련 정책을 둘러싼 역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이와 함께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대회 및 국제저널에 투고함으로써 글로벌 맥락에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 연구내용

    본 연구의 내용은 다움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국가 간 정책이 유사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틀)으로 혼용되는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정책확산(policy diffusion), 정책의 이질동형(policy isomorphism) 등 관련개념을 정리하고 이들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둘째, 기존 논의를 총망라하여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 정책의 정책이전에 작용하는 거시적 맥락으로서 3Is (Ideology-Identity- Interests)와 3Is 하에서 행위주체들(agents)이 근거하는 정책논리(rationale), 그리고 이를 둘러싼 행위주체간 상호작용 유형과 과정에 대한 개념모형을 도출한다.
    셋째, 개념적 모형의 실증적 타당성을 일-가족 양립정책(한국-스웨덴-프랑스-일본)과 다문화정책(한국-미국-캐나다-호주-일본)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한다. 특히, 각 국가, 각 시대에 따라 행위주체 간 상호작용 유형(pattern finding)과 과정(process tracing)을 밝히고, 그 과정에 3Is(Ideology-Identity-Interest)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통합적으로 논의한다.
    넷째, 정책의 표면적 유사성 이면의 다양성을 만드는 다양한 행위주체의 상호작용 유형과 과정, 그리고 이에 작용하는 3Is의 역학이 우리나라의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정책에 갖는 의미를 밝히고, 향후 우리의 ‘정책선택’에 미치는 영향력과 대안을 제시한다.

    2. 연구방법 : 비교연구
    1) 비교대상 국가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은 한국-스웨덴-프랑스를 대상으로 하고, 다문화정책은 한국-미국-캐나다-호주를 대상으로 한다. 이와함께 우리와 같은 동아시아권인 일본을 추가한다. 일본은 일-가족 양립정책이나 다문화 정책 모두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한 정책이전의 경험을 가지기 때문이다. 일본을 추가함으로써 우리나라와 서구국가간의 비교만이 아니라 1) 동일한 문화권 간의 집단 내 비교(within groups)로서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해지고, 2) 정책을 이전하는 국가(transferor)와 정책이전을 받는 국가(transferee)간 비교와 함께 정책이전을 받는 국가간의 비교도 가능해진다.
    2) 시간범위와 주기화(periodization)
    연구의 시간범위는 1990년~2015년에 이르는 25년으로 한다. 1990년을 기점으로 하는 이유는 정책이전을 받는 국가(transferee)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일-가족 양립과 이주외국인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본격화된 시점이 1990년대이기 때문이다.
    비교주기 설정(periodization)은 1990년부터 2015년의 총 25년의 시간적 범위에서 5년을 기본주기로 하되, 각 국가의 상황(정치적 사건, 사회적 여건 등)이 다 다르기 때문에 연구의 타당성과 현실 정합성을 기준으로 분석주기에 변화를 허용하는 방식으로(에: 어떤 경우는 4년, 어떤 경우는 6년 등) 유동성을 부여한다.

    3. . 유형발굴(pattern finding)과 과정추적(process tracing): 통합적 접근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 정책의 정책이전을 둘러싼 사회적 역학을 밝히는데 다양한 행위주체 간 상호작용의 유형과 과정을 포괄하는 종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정책의 표면에 존재하는 유사성 이면의 사회적 역학은 행위(action)와 구조(structure)로 구성된다. 행위는 정책내용과 방향성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주체의 의사결정 및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과정추적(process tracing)과 관련된다. 한편 구조는 정책이전을 둘러싼 행위주체간 관계 그 자체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적 또는 중시적 구조와 맥락의 유형과발굴과 연결된다. 구조와 행위 중 하나에만 집중할 경우 정책이전에 대한 부분적 이해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행위와 구조를 함께 논의하는 유형발굴과 과정추적을 통합한 접근을 시도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간 정책이 유사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개념(틀)인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정책확산(policy diffusion), 정책의 이질동형(policy isomorphism) 등 관련개념을 정리하고 이들 개념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개념들 간의 관계 설정을 통해 정책이전에 대한 개념적 혼란을 최소화한다.
    둘째, 기존 논의를 총망라하여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 정책의 정책이전에 작용하는 거시적 맥락과 행위주체들(agents)이 주장하는 정책논리(rationale), 그리고 행위주체 간 상호작용 유형과 과정에 대한 개념모형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개념틀에 근거하여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를 시행한다. 이와 함께 서구의 경험과의 비교를 통해 국가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밝힌다.
    넷째, 실증적 결과가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과 일-가족양립정책에 주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한다.
    이상의 연구가 갖는 이론적 실천적 효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정책와 일-가족 정책의 정책이전 과정에 작용하는 거시적 요인을 밝히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효용이 있다.
    둘째, 일-가족 양립지원 및 다문화 정책의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 진단 및 최소화 방안 마련이라는 점에서 정책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책과정에서 디커플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일-가족 양립정책의 정책이전을 둘러싼 역학에 대한 비교연구는 우리사회가 직면한 난제(wicked problem)인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여성 및 이주외국인을 포함한 소수자 정책에 대한 교과과정개설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통합적 연구를 통해 포괄적인 교과과정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대회 및 국제저널에 투고함으로써 글로벌 맥락에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영문
  •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related concepts regarding policy transfer such as policy diffusion, and policy isomorphism, which are explaining the policy similarity between different countries, will be clarified. In fact, there has been a conceptual confusion among related concepts with respect to policy transfer. This study is keen to minimize the conceptual confusion.
    Second, this study focuses on macro-context that plays as a factor to push policy transfer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as well as multicultural policy.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discusses policy rationale that the policy agents claim, and the process of interactions between social actors in the way of policy transfer. A conceptual model is derived based on the interaction and policy rationales.
    Third, based on the derived conceptual framework, comparative studies on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will be conducted. In addition, policy experiences of the western countries that act as transferor. Via the comparative studies, similarities and/or differences between potential transferors and transferees will be explored.
    Fourth,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n Korean policy regarding work - family reconciliation and multiculturalism are discussed in dep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cademic value given that this study seeks to uncover macro factors affecting policy transfer in multicultural policy and work - family reconciliation policy.
    Second, it is useful as policy data to minimize decoupling and policy formalism of multicultural policies,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policy. It also contributes to a relevant policy transfer between different countries.
    Third, the comparative study provides a relevant solution of the problem of low fertilization which has been a wicked problem faced by Korea .
    Fourth, it can be used to establish a curriculum for minority policy immigrants as well as women. Furtherm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useful to develop a comprehensive curriculum regarding other minority groups such as sexual minorities.
    Fifth, the findings will be us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Korean reality in a global context via publication in international journal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맥락이 다른 서구의 정책경험을 수용해 온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 정책에 주목하여,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을 통해 표면적으로 유사해 보이는 정책이면의 이질성과 다양성의 역학을 밝힌다. 특히 본 연구는 유사해 보이는 정책의 내적 이질성을 만들어내는 거시적 요인으로서 3Is(Ideology-Identity- Interests) 와 3Is 하에서 다양한 행위주체(agents)간 ‘상호작용의 유형(pattern finding’과 ‘상호작용 과정(process tracing)’을 밝히는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서구에서의 정책경험과 내용을 수용하는 정책이전이 목격된다. 그 대표적인 영역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일-가족 양립 정책과 ‘이주 외국인’대상의 다문화정책이다. 그동안 두 이슈는 정책경험이나 정책유산이 축적되지 않은 영역이었다. 우리나라에서 일-가족 간 이분법이 당연시되고 일과 가족의 양립은 사적문제이지 공적문제로 논의되지 않았다. 또한 단일민족-단일문화의 전통 속 ‘혈통’을 중시하는 문화적 특성에 따라 ‘인종적 다양성’은 정책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오면서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활발해지고, 외국인의 유입에 따른 인종적 다양성이 확대됨에 따라 정책대응의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정부는 일-가족 양립이나 인종문제 관련 정책경험이 축적된 다른 나라로부터의 정책내용과 방향을 참고하는 정책이전이 발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일-가족 양립지원정책은 선진적인 형태의 '유럽기준’으로 평가된다. 이주 외국인 정책도 적극적인 의미의 다문화주의는 아니지만 사회적 편입이라는 서구적 동화주의와 수렴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여기서 몇 가지 문제가 제기된다. 정책이전을 통해 유사한 듯 보이는 우리나라의 일-가족 양립정책 및 다문화정책의 본질과 속성이 서구의 그것과 같을까? 이러한 포괄적인 질문에 답을 구하기 위해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도출한다. 정치, 경제, 문화 및 이념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가족양립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정책이전이 활발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왜 무엇 때문에 특정 시기에, 특정 국가로부터 정책내용과 방향성이 이전되었을까?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정책이전에 관여한 행위주체(agents)는 어떤 세력이며, 행위주체들이 제시한 논리와 전략은 무엇인가? 이들 행위주체의 논리와 전략이 실제 정책내용에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그 과정은 어떠했는가? 그러한 논리와 과정이 서구 다른 나라와는 어떻게 다르며, 어떤 점이 유사한가? 정책이전을 둘러싼 이 모든 역학이 일-가족 양립 및 이주 외국인 정책의 효과성에 갖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상의 질문에 답을 찾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상의 연구문제는 정책과 현실간의 디커플링(decoupling) 또는 형식주의 차원에서 중요하다. 정책이전의 대상인 된 서구국가와 정책이전을 해 온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및 이념적 맥락이 다르다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이처럼 정책이전에 상존하는 디커플링과 형식주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나라로부터 이전된 정책의 표면적 유사성만이 아니라 각 국가와 시기에 따라 다른 정책내부의 이질성과 변이를 규명할 필요성이 높다. 우리와 다른 나라의 정책이 만들어진 맥락에 대한 이해와 성찰 없이 다른 나라의 정책경험을 ‘그대로 가져다 베끼는’(copy and paste learning) 정책표절(policy plagiarism)(Sharman, 2010: 623-625)로 인한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정책의 디커플링 또는 형식주의의 가능성이 높은 일-가족 양립정책과 다문화 정책을 대상으로 정책이전을 둘러싼 다양한 메카니즘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다문화정책의 국가별 유형 파악을 위한 이론적 논의 및 등가성있는 자료의 발굴과 통합에 집중하였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서구국가 다문화정책에 나타난 유형(pattern)을 발견하고 이를 비교한 연구에 집중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은 주로 서구로부터 정책이전을 해 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서구의 상황을 고려하였다. 다문화 정책에 나타난 유형을 비교하기 위하여 자료의 등가성과 대표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러한 요건을 갖춘 자료를 발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MIPEX(Migration Integration Policy Index)를 발굴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국가별 정책유형 비교 및 정책이전의 가능성 타진 및 일-가족 양립정책에 대한 예비적 분석을 시도하기 위해 MIPEX에 제시된 8개의 다문화정책 정책영역을 기준으로 38개국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정책유형을 예비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기초로 다문화정책의 국가별 유형과 국가간 유형의 차이를 비교분석 하였으며, 우리나라와 이민국가로 시작한 미국, 캐나다 그리고 후주와 우리나라의 다문화 정책 유형을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민국가로 시작된 미국이나 캐나다와 달리 독일과 같이 민족에 대한 인식이 강하고 차별배제의 정책기조를 오랫동안 유지해 왔던 독일의 유형을 찾고 우리에게 주는 함의 또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일-가족 양립정책의 효과성과 정책이전의 가능성을 예비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정책이전의 가능성을 파악하기에 앞서 우리나라의 일-가족 정책의 현실과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일-가족 양립정책이 자녀관련 비용 절감이라는 차원에서 출산율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특히 초점을 맞추고,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자녀와 관련한 직·간접비용 요인과 이들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현금지원, 서비스 지원 등의 정책 요인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실증적 타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보육통계, 교육비특별회계 자료, 세종통계연보 등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첫째, 다문화정책와 일-가족 정책 모두 서구의 정책경험이 상당부분 이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이전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정책이전 과정에 작용하는 거시적 요인을 밝히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효용이 있다.
    둘째, 일-가족 양립지원 및 다문화 정책의 디커플링 및 형식주의 진단 및 최소화 방안 마련이라는 점에서 정책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사회문화적 맥락이 다른 나라로부터의 단선적인 정책이전이 아니라 정책의 단순 모방 및 정책표절의 문제를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정책과정에서 디커플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일-가족 양립정책의 정책이전을 둘러싼 역학에 대한 비교연구는 우리사회가 직면한 난제(wicked problem) 해결을 위한 하나의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과 이를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무색하게 일-가족 양립지원 정책이 출산율 제고에 갖는 효용은 여전히 의문시된다. 우리가 적극적으로 정책경험을 이전해 온 스웨덴이나 프랑스에서 일-가족 양립지원정책과 출산율과의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로부터 오는 것일까? 우리나라와 스웨덴(프랑스) 정책의 표면적 유사성을 넘어서는 무엇인가가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에 답을 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상황과 정합성(fit)을 갖는 정책내용 및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여성 및 이주외국인을 포함한 소수자 정책에 대한 교과과정개설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통합적 연구를 통해 포괄적인 교과과정의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여성과 이주외국인, 그리고 미래의 소수자를 포괄하는 소수자 정책론(가칭), 정책이전(수렴, 확산)과 이를 둘러싼 역학을 함께 논의하는 정책이전의 이론과 실제(가칭) 등의 교과과정 개설이 가능해진다.
    다섯째,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대회 및 국제저널에 투고함으로써 글로벌 맥락에서 우리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색인어
  • 정책이전, 과정추적, 유형발굴, 3Is, 제도주의, 일-가족 양립정책, 다문화정책, 정책논리(공리적논리-기능주의적논리-권력논리-정당성논리), 정책의 형식주의, 정책의 디커플링, 비교연구, 한국, 일본, 미국, 스웨덴, 프랑스, 캐나다, 호주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