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2084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2 년 (2016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신명선
연구수행기관 부산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다차원적인 말더듬에 대해 장애 유무 및 심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말더듬인들에게 다양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재 전후의 심한 정도에 대한 특성과 검사가 유용한 정보가 된다. 따라서 치료사 및 연구자들은 말더듬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신뢰도가 높고, 타탕한 검사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현재 아동 말더듬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사도구는 표준화된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 Ⅱ(심현섭, 신문자, 이은주, 2010, P-FA-Ⅱ)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표준화되지 않았으나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는 말더듬 심한 정도검사(Riley, 1994, SSI-3)가 있다. 국내 치료 현장 및 연구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는 이러한 검사도구들은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동 말더듬 검사도구들을 살펴보면, 포괄적인 말더듬의 특성이 포함된 다양한 변수와 말더듬 아동의 환경에서 대화하는 상대자의 평정을 고려하지 않고 측정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말더듬인의 가변성을 반영한 다양한 과업에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분석을 위하여 대상자의 발화를 하나하나 전사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무엇보다 아동 말더듬 평가 시 치료사의 검사도구 선택의 폭이 한두 가지로 매우 제한적이다.
    특히 말더듬 아동의 발화 전부를 전사하고 음절 수 및 시간을 측정하는 번거로움으로 많은 언어치료사들이 말더듬 평가에 부담을 갖게 된다.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 방법이 용이하면서 치료사 뿐만 아니라 아동의 환경을 고려한 부모나 교사의 평정이 반영되는 검사도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말더듬 검사(Test of Childhood Stuttering; TOCS, Gillam et al, 2009)를 비롯한 다양한 아동 말더듬 검사의 매개변수와 문항의 효율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를 통하여 한국의 실정에 맞는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를 개발하고자 한다.
    아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세 가지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서 구성하고자 한다. 첫째, 구어 유창성 평가 영역을 통하여 외현적인 심한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되, 발화 수집 및 분석 방법의 용이성과 객관성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둘째, 관찰 평가 영역을 통하여 아동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 치료사 등을 통하여 아동의 말더듬 증상에 대한 문항을 통하여 관찰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실제 아동의 발화에 대한 객관적 평가 정보를 구하고자 한다. 셋째, 부가적인 평가 영역을 통하여 말더듬이 심화되는 아동에게 단위반복수, 구어속도, 부수행동, 비유창한 음소나 음절, 구어 자연성 등 정밀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통하여 언어치료 현장에 객관적이고 타당한 검사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로 기대되는 효과와 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현장중심형 아동 말더듬 진단 도구 제시
    기존 말더듬 검사는 발화를 수집할 때 녹화하고 전사해서 음절수와 말더듬 유형 및 빈도를 측정하여 수기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치료사들이 말더듬 진단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본 아동기 말더듬 평가도구는 구어평가에서 발화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실시간 바로 측정이 가능하며,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과업 수집과 아동의 구어 환경에서 부모, 교사, 치료사 등의 관찰 평가 등으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2. 최적의 구어 과업 및 평가 변수 모색
    아동의 말더듬 심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구어 과업을 개발하고, 최적의 평가 변수를 찾고, 평가변수에 대한 규준을 제시하여 쉽고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할 것이다.

    3. 임상 전문가의 편의성 증대
    성인이든 아동이든 말더듬 평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아동의 발화를 녹화 및 녹취하고, 음절수를 세고, 말더듬 유무 및 말더듬의 유형을 측정하는 등의 일련의 절차들이 여러 아동을 맡아서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에게는 까다롭고 힘든 일이다. 개발하고자 하는 ‘아동 말더듬 검사’는 말더듬 유형을 핵심행동에 초점을 두고 빈도 측정 방법을 이원적 방법으로 제시하여 말더듬 빈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고, 심한 정도와 관련될 수 있는 정보들을 아동의 구어환경에 있는 부모와 교사를 통한 간접측정의 방법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선별 및 진단하고자 한다. 정밀 검사가 요구되는 대상에게는 세부적인 변수들을 부가적으로 더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4. 치료 효과에 대한 객관적 검증
    말더듬 연구에서는 저마다 각 프로그램의 강점을 부각하며 말더듬 치료의 효과들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검증 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를 통한 검사 도구의 개발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아동의 말더듬 치료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언어치료 분야의 역사가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짧다. 특히 아동의 말더듬 문제의 유무를 결정하고, 심한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도구와 치료프로그램들이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보급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국내의 언어치료 분야에 본 연구가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대부분의 발달성 말더듬은 아동기에 발생하므로 정상적 비유창성 아동과 말더듬으로 진행되는 병리적인 비유창성 아동을 감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동의 말더듬을 조기에 선별, 감별, 진단함으로써 아동이 심한 말더듬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여부를 결정하고, 치료의 시작점, 치료의 목표 및 프로그램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치료 전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간편하고 객관적인 검사 도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 개발과 타당화 연구를 통하여 언어치료 현장에 치료사들이 사용하기에 용이하면서 객관적이고 타당한 검사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1차년도 연구 내용은 국내 아동의 실정에 맞는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의 평가영역(구어유창성 평가, 관찰 평가, 부가적인 평가)을 구성하고, 각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문항을 분석하고 수정하는 것이다. 검사 도구는 첫 번째 하위 검사인 구어 유창성 평가를 위하여 단어 40개, 문장 20개, 대화 32개, 8장면 이야기를 개발한다. 각 과업은 검사의 대상이 되는 3~12세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언어능력을 고려하여 전문가의 자문과 내용타당도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하위 검사인 관찰 평가를 위하여 유창성관련 평정척도 10문항, 비유창성관련 평정척도 10문항을 개발한다. 세 번째 하위 검사인 부가적 평가는 대상자에 따라 정밀 검사를 실시하고자 한다(단위반복수, 부수행동, 지속시간, 구어 자연성 등). 예비연구를 위하여 말더듬 아동 20명과 일반 아동 4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면서 평가 영역과 문항을 수정한다.
    2차년도 연구 내용은 1차 년도에 개발된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의 타당화 및 표준화를 위한 과정으로 전국 말더듬 아동 100명과 일반 아동 200명을 대상으로 규준을 설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문항개발과정과 타당도 신뢰도 검증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된 검사 도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검사도구로 제작한다. 검사지, 검사자료, 검사실시요강 등을 제작한다.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정된 검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간 신뢰도를 측정하고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준거-예측타당도를 실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아동기 말더듬 평가도구가 표준화 된다면 언어치료 현장에서 말더듬 진단과 평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어치료사의 검사도구 선택의 폭이 확대될 것이다.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과업 수집과 아동과 친밀도가 높은 구어 환경의 부모, 교사, 치료사 등의 관찰 평가 등으로 일상생활의 말더듬 특성을 이해하고 평가 변수와 항목에 대한 규준을 통해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언어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동용 말더듬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1차적으로 개발된 검사의 하위 과업과 문항들에 대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 변별력과 검사의 내적일관성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말더듬 아동의 구어 유창성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로써 KOCS는 4가지 하위 과업 중 그림 빨리 명명하기 과업을 제외한 나머지 문장 따라 말하기, 구조화된 대화, 이야기 말하기 과업들은 말더듬 아동을 검사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아동용 말더듬 검사(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KOCS)의 하위 검사로 개발된
    구어 유창성 평가와 새롭게 개발한 관찰 평가, 부가적 평가의 하위 검사 간 상관을 알아보았다. 한국 말더듬 아동용 검사도구의 하위 검사 항목들이 모두 만들어져 상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몇몇 항목을 제외하고는 중간 또는 높은 상관을 보여 검사도구의 하위 항목들이 상호보완적으로 말더듬 아동의 여러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아동용 말더듬 검사(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KOCS)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에 표준화된 말더듬 검사인 파라다이스-유창성검사(P-FA-Ⅱ)와 말더듬 심한 정도 검사(SSI-4)와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한국 말더듬 아동용 검사도구의 하위 검사 항목들이 모두 만들어져 상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몇몇 항목을 제외하고는 중간 또는 높은 상관을 보여 검사도구의 하위 항목들이 상호보완적으로 말더듬 아동의 여러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KOCS의 표준화를 통해 임상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reliminary content of the sub-tasks and items of the 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KOCS), to analyze the ability to discriminate the items, and to investigat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est. It was proven that the 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KOCS) is an appropriate tool to be used to assess verbal fluency of stuttering children as tasks 2, 3 and 4, but not task 1, were shown to be appropriate to assess stuttering children.

    We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speech fluency measure developed as a sub-test of the 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KOCS), newly developed observation ratings, and supplemental assessmen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SFM and OR. Secon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FM and SA, stuttering frequency showed a high correlation, while speech rate and physical associated behavior showed a slight correlation with SFM. Meanwhile, the number of unit repetitions and speech naturalness showe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SFM. Thir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OR and SA, Rating 1 dysfluency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speech naturalness assessment while showing a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rest of the items. The speech fluency score and observational rating scales of KO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FA- and SSI-4 and proved to have concurrent validity. If the stuttering evaluation tool for Korean children is standardized after the validity test, it can be used in various situations in stuttering treatment and evaluation. The speech fluency score and observational rating scales of KOC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P-FA- and SSI-4 and proved to have concurrent validity.

    This study hopes that this test tool could be conveniently used for a clinical field through standardization of KOCS for the time be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Korean Childhood Stuttering Test, TOCS)의 과업, 평가변수, 문항의 효율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를 통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아동 말더듬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1차년도에서 아동 말더듬 검사의 평가 과업 및 문항개발, 전문가 자문 및 예비 연구, 문항분석 및 수정, 연구논문 발표에 초점을 두고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구어 유창성 평가에서 4개의 평가 과업(그림 빨리 명명하기, 문장따라 말하기, 구조화된 대화, 이야기 말하기)에 대한 그림 및 문장을 개발하고, 관찰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그림 자료 및 문항 내용에 대하여 안면타당도를 실시하였고, 유창성 평가 각 과업에 대한 그림 자료 및 문항과 관찰 평정 척도 문항에 대하여 유창성장애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수정된 검사도구로 말더듬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에서 ‘한국 아동용 말더듬검사(KOCS)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와 한국아동용 말더듬 검사(KOCS)의 문항 검증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구어 유창성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 아동용 말더듬 검사(KOCS)의 구어 유창성 평가, 관찰 평가, 부가적 평가 간 상관’연구를 통해 검사도구 제작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2차년도에서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의 타당화 및 표준화를 위한 과정으로 한국 아동용 말더듬 검사(KOCS) 도구를 제작하였다. 전국 말더듬 아동 60명과 일반 아동 60명을 대상으로 개발한 검사도구를 실시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정된 검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자 간 신뢰도를 측정하고,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구인타당도, 준거-예측타당도를 실시하였다. KOCS 점수의 규준을 제시하고, 원점수를 바탕으로 절단점(cut-off score), 표준점수(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위수, 심한정도 범위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된 최종 검사 도구와 검사지, 검사자료, 검사실시요강 등을 제작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로 기대되는 효과와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1) 현장중심형 아동 말더듬 진단 도구 제시
    기존 말더듬 검사는 발화를 수집할 때 녹화하고 전사해서 음절수와 말더듬 유형 및 빈도를 측정하여 수기로 계산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치료사들이 말더듬 진단에 부담을 가지고 있다. 본 아동기 말더듬 평가도구는 구어평가에서 발화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이 용이하여 현장에서 실시간 바로 측정이 가능하며,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과업 수집과 아동의 구어 환경에서 부모, 교사, 치료사 등의 관찰 평가 등으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이다.
    2) 최적의 구어 과업 및 평가 변수 모색
    아동의 말더듬 심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구어 과업을 개발하고, 최적의 평가 변수를 찾고, 평가변수에 대한 규준을 제시하여 쉽고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정밀 검사가 요구되는 대상에게는 세부적인 변수들을 부가적으로 더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 임상 전문가의 편의성 증대
    성인이든 아동이든 말더듬 평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으로 아동의 발화를 녹화 및 녹취하고, 음절수를 세고, 말더듬 유무 및 말더듬의 유형을 측정하는 등의 일련의 절차들이 여러 아동을 맡아서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에게는 까다롭고 힘든 일이다. 개발하고자 하는 ‘아동 말더듬 검사’는 말더듬 유형을 핵심행동에 초점을 두고 빈도 측정 방법을 이원적 방법으로 제시하여 말더듬 빈도 측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키면서도 심한 정도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심한 정도와 관련될 수 있는 정보들을 아동의 구어환경에 있는 부모와 교사를 통한 간접측정의 방법으로 보다 정확하면서도 포괄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진단하고자 한다.
    4) 치료 효과에 대한 객관적 검증
    말더듬 연구에서는 저마다 각 프로그램의 강점을 부각하며 말더듬 치료의 효과들을 증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를 검증 할 수 있는 검사도구의 개발이 제한적이다. 본 연구를 통한 검사 도구의 개발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아동의 말더듬 치료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언어치료 분야에 본 연구가 작은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색인어
  • 한국 아동 말더듬 검사, 타당도, 신뢰도, 유창성, 말더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