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개발
Development of a consulting strategy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s gaze-empathy using eye-track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685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2 년 (2016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권용주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과학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을 이끌기 위해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교사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한 연차별 목표는 다음과 같다.
    1년차 목표; 시선추적을 통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특성 규명
    2년차 목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고안
    3년차 목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검증
  • 기대효과
  • 과학 교육 측면에서는 연구 결과로 제시될 과학 수업에서의 시선공감의 특성을 토대로 과학 수업에서 학생과 교사의 공감 향상에 기반한 수업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촉진 가능하다. 교사 교육 측면에서는 시선추적 데이터에 기반한 컨설팅 전략을 토대로 교사 수업 행동 진단을 위한 시선공감능력 측정도구 개발과 진단 결과에 따른 처방을 위한 교사 교육훈련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되어 시선공감 기반 교사 교육 시스템 구축 가능하다.
    또한 질적, 정성적 방법 위주의 기존 행동 컨설팅 연구와 더불어 시선추적을 활용한 정량적 컨설팅 전략을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다면적인 컨설팅 관련 연구 및 행동 교정 관련 지식 개발을 활성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성, 상호작용으로 치우친 공감의 교육현장에 대한 적용에서 나아가 시선을 통한 학습 상황에서의 공감을 토대로 과학 외 어문, 예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감기반 학습 전략 개발 가능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최종목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개발
    1년차 목표: 시선추적을 통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특성 규명
    1. 문헌연구: 시선공감 분석틀 개발 및 학생의 공감, 수업만족도 측정 도구 고안
    - 공감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한 시선공감에 대한 조작적 정의 도출
    - 과학교육 및 시선추적 문헌 분석을 통한 시선공감 분석틀 개발
    -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한 학생의 공감 정도, 수업 만족도 검사지 수정 고안
    2. 인지과학적 연구: 시선추적 기반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특성을 규명
    - 시선공감 특성 규명을 위한 과학수업 중 교사의 시선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감 정도, 수업 만족도 검사지 투입 및 결과 분석
    - 과학수업 상황에 따른 시선추적으로 과학 교사의 시선공감 유형별 패턴 규명
    2년차 목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고안
    1. 문헌연구: 수업 컨설팅 및 시선공감 교수전략 고찰
    -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한 수업 컨설팅에 대한 고찰
    2.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과학교사 컨설팅 전략 고안
    - 과학수업 중의 시선데이터 분석을 통해 교사의 시선 특성을 추출
    - 과학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심층 인터뷰로 교사의 공감 전략을 추출
    -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컨설팅 전략 고안
    3년차 목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 검증
    1. 문헌연구: 수업 컨설팅 전략 고찰 및 학생의 공감, 수업만족도 측정 도구 선정
    - 학생의 공감 정도, 수업 만족도 검사지 선정
    2. 인지과학적 연구: 컨설팅 전략 검증
    - 사전 시선 추적 측정 수행
    - 20명의 교사 집단을 실험 집단(10명)과 대조 집단(10명)으로 설정
    - 4차시 수업 중 시선 추적 측정 및 학생 의 공감 정도, 수업 만족도 검사지 투입
    - 실험 집단은 컨설팅 제공, 대조 집단은 컨설팅 미제공
    - 각 집단의 시선공감 향상 확인 및 학생들의 공감 정도, 수업 만족도 변화 확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효과적이고 즐거운 과학수업을 위해서는 교사가 학생과 눈을 맞추고 인지적, 감정적 교류를 하는 시선공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과제에서는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교사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간의 안구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주의를 기울이는 대상이 어떤 것인지 쉽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선추적 기술을 활용하였다. 과학교사의 시선공감의 특성을 연구하여, 실험식 수업을 하는 과학교사들은 학생의 실험 행동을 파악하여 시선공감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강의식 수업을 하는 과학교사들은 학생의 얼굴을 통해 학생의 상태를 파악하는 시선공감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시선추적을 활용하여 시선공감의 향상을 위한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였다. 컨설팅에는 시선추적 뿐 아니라, 시선공감 교육, 학생 행동 및 감정 이해를 위한 훈련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과학교사의 시선공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타 분야로의 확산과 관련된 전문가 양성이 가능할 것이다.
  • 영문
  • For an effective and enjoyable science class, a teacher needs to be in touch with the students and to have cognitive and emotional exchang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project, we tried to develop a teacher consulting strategy for improving science teacher 's gaze-empathy. In particular, eye tracking technology was used to easily and precisely grasp the subjects that pay attention to measuring human eye movements. The science teachers wh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aze-empathy, and science teachers who do the experimental class show that they grasp the experimental behavior of the students and make gaze-empathy. Science teachers who teach lecture classes have been shown to have a gaze-empathy to grasp the condition of the student through the face of the student. And we developed a consulting strategy for gaze-empathy improvement by using eye tracking. Consulting included not only eye tracking, but also training for gaze-empathy training, understanding of student behavior and emo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improve the gaze-empathy of science teachers and it will be possible for the spread to other fields and to nurture related exper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표는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수업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2년의 연구기간 중 첫 1년차에는 시선추적을 통하여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특성을 규명하였다. 다음 2년차에는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컨설팅 전략을 고안하였다. 1년차 연구 내용으로 문헌 연구를 통해 시선공감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시선공감 검사도구를 고안하였다. 이 후, 경력교사 3명,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을 통해 실험식 수업에서의 교사 시선공감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경력교사는 실험 수업에서 학생에 주의를 많이 기울였으며, 특히 학생의 신체와 실험 보고서를 중심으로 시선을 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실험 수업에서의 시선공감이 학생의 실험 행동과 그 결과를 중요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선공감한다 볼 수 있다. 경력교사 3명, 예비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을 통해 강의식 수업에서의 교사 시선공감의 특성을 규명한 결과, 경력 교사는 주로 학생의 얼굴에 주의를 기울였으며, 학생간 전환이 높았다. 이를 통해 강의식 수업 중 학생들의 얼굴에 표현되는 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수업 중 시선공감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였다. 추가 문헌 수집 및 분석, 전략 시안 구성, 전문가 협의 및 수정보완의 절차를 거쳤다. 과학 교사의 수업 중 시선공감의 향상을 위한 컨설팅 전략의 목표는 과학 교사의 수업 중 시선공감으로서, 1년차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컨설팅의 위하여 시선추적에 기반한 정량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컨설팅 단계는 컨설팅 준비, 교사 시선공감 측정 및 분석, 시선공감 교육 및 피드백, 시선공감 향상 훈련, 컨설팅 결과 평가, 컨설팅 종료로 구성하였다. 컨설팅 전략의 하위 전략으로서 시선추적, 시선 기반 피드백, 동영상 클립을 통한 수업 중 학생 행동 및 감정 파악 훈련을 적용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시선공감의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이와 연계하여 과학 수업에서에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학습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강의식 과학 수업과 실험식 과학 수업에서 과학교사의 시선공감 특성을 밝혔다. 또한 컨설팅 준비, 교사 시선공감 측정 및 분석, 시선공감 교육 및 피드백, 시선공감 향상 훈련, 컨설팅 결과 평가, 컨설팅 종료로 구성된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컨설팅 전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실제 과학교사의 수업 중 시선공감 향상을 위한 컨설팅을 실시할 수 있다. 컨설팅을 통해 연구 성과의 확산과 실제 학생들의 학교 내 과학학습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과학교사의 수업 중 시선공감 진단 도구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울 것이다. 또한 시선추적 기반 교사 컨설팅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첨단 측정 장비와 창의적 발상을 통한 교육 혁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수업과 타 교과에서의 컨설팅 전략 개발 연구에 활용하여 과학 뿐 아니라 타 교과에서의 교사 전문성 신장과 관련 연구 성과의 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시선공감, 과학수업, 시선추적, 컨설팅전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