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유아 숲교육 기관의 평가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forest-education institution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8018507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2 년 (2016년 05월 01일 ~ 2018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허우정
연구수행기관 동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숲은 21세기 유아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의 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현대의 유아들이 처한 실상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지속가능한 발전을 꿈꾸는 현재의 교육의 지향점이기도 하다. 미래를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주역은 바로 어린이들이다. 이들이 건강한 몸과 마음과 영혼으로 ‘사람과 자연을 존중하고 사랑하는 가치’를 가지고 성장하지 않는 한 우리사회의 미래는 없다.
    왜냐하면 자연을 경험하지 못한 유아들은 자연세계를 이해하거나 활용하는 방법을 알 수 가 없으며, 자연과의 상생의 가치를 깨닫지 못한 유아는 자연을 이용하고 훼손하는 성인으로 자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숲교육이란 숲과 자연에서 마음껏 뛰어 놀면서 계절의 변화와 숲의 다양한 생태적 요소들을 오감으로 체험하며 전인발달을 이루고자 하는 자연과 하나됨을 느끼게 되는 산교육이라 할 수 있다. 교실 문을 열고 숲으로 나왔을 때, 아이들 앞에는 또 다른 배움의 장이 펼쳐진다. 숲은 다양한 생명들이 살아가고, 숲과 자연을 가까이 느끼고, 교감하고 신체 감각과 인성교육의 장이다. 숲교육이 표방하는 좋은 교육은 ‘교사 없는 유치원, 교육 과정이 없는 유치원’이다. 교사, 교육과정이 없다는 것은 실제로 없다는 것이 아니라, 계획을 전하고 그대로 따라오라고 강요하는 교사가 없고, 주어지는 교육과정이 없다는 뜻이다(장희정, 박인기, 2014).
    숲은 다양한 생명들이 살아가고, 숲과 자연을 가까이 느끼고, 교감하고 신체 감각과 인성발달에도 도움이 된다. 숲교육은 현재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특색 사업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며, 교육청에서는 숲해설가 지원 및 숲체험장 지원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숲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경우 2008년도 산림청 주도로 전국의 휴양림 등에서 주말이나 방학중에 숲 해설가에 의해 체험형으로 시작되었던 숲 유치원 운동이 이제 전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정기적인 숲의 날이나 숲반 형식으로 적용되어 실험단계를 거치고 있다(임재택, 이송영, 김은주, 2012). 한국숲유치원 연합회는 2010년부터 시작 되었으며, 서울지회, 강원지회, 인천지회 등 전국지회가 17곳의 지회로 구성되어있으며, 숲교육을 보급하고 활성화하고 있다(http://forestkid.or.kr).
    이처럼 유아 숲교육 기관들은 활성화되고 있고, 연구들도 인식조사연구(김보라, 2014; 오송희, 2014)), 사례연구(조규성, 2010; 최성희, 2013: 탁광일, 2006), 효과 및 영향에 관한 연구( 산림청,2013; 신지연, 2012; 조은제, 2011;) 등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유아 숲교육에 대한 평가영역의 연구는 거의 없다. 이제는 숲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자기 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이들이 바르게 잘 크고 있는지, 아이들이 행복한지, 아이들이 다니기에 숲 환경이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 숲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 숲교육 기관에서 숲을 교육의 장으로서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아이들은 숲에서 자유롭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고 생활하고 있는지에 대해 관찰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평가를 해서 잘하고 못하고의 관점이 아니라 숲교육을 하기위해서는 어떤 환경과 교육을 지향해야하는지에 대해 방향을 제시할 것이며, 평가지표의 개발을 통해 숲교육의 매뉴얼로서 숲교육의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
  • 숲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실제 숲교육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숲교육에 대해 인식이나 효과검증에 관한 연구에서 새로운 교육의 틀로서 장으로서 숲교육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지속 가능한 실천적 교육으로서의 숲교육은 몸, 마음, 정신에 대해 중시하고 인성교육을 중심에 두고 있다. 현재 교육은 뛰어난 아이, 똑똑한 아이 키우기에 열광하여, 우리가 꼭 실천해야 할 것들이 사라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건강한 아이교육을 위해 숲교육 평가지표는 교육의 기본을 안내하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고 본다. 숲교육 기관 평가지표는 교육기관으로서 평가의 잣대가 기존의 평가와는 다른 차이가 있다. 숲에서 얼마나 자유롭고, 행복하고, 즐거운가가 그 기준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는 현재 숲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숲교육에 대한 메뉴얼이 될 것이며, 숲교육에서 교육평가의 영역에 대한 연구로 확대됨으로서 21세기 교육의 장으로서의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는 기본적인 안전, 교수방법 및 숲의 환경에 대해 안내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숲을 보내는 학부모들에게는 안전한 환경으로서 믿음과 신뢰를 줄 것으로 기대 된다.
    셋째,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는 유아교육기관평가의 한 영역으로 새로운 관점의 평가를 제시할 것이다. 기존의 유아교육기관평가와 유아 숲교육기관 평가의 관점과 방향은 차이가 있다. 유아교육기관평가의 세부내용으로 환경, 교육과정, 안전, 시설설비를 비교해 보면, 숲교육 기관 평가는 환경은 숲이며, 교육과정은 놀이가 될 것이다.
    넷째, 숲교육은 배려, 존중, 인성교육의 중시하고 있다. 이는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에서도 그 내용을 포함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배려와 존중, 관계를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째, 숲교육은 아이들을 행복하게 자유롭게 생활하도록 도와 줄 것이다. 이에 평가지표의 개발은 숲교육으로 아이들에게 더 안정된 행복감을 줄 것이다.
    여섯째,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는 현재 17지역의 한국 숲유치원 협회, 산림청 등에서 평가지표로서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국가 지원으로 숲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 좀 더 공정성과 지원체계의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본다.
  • 연구요약
  •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 개발연구는 1단계는 숲교육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평가의 준거 및 구성요인을 추출해 내는 연구로서 이루어지며, 2단계는 숲교육 평가지표 시안을 개발하는 연구로서 전문가들의 적절성 검토를 통해 시안을 확정하고자 한다. 3단계는 최종시안을 예비검사, 본검사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구하고 요인분석을 통해 숲교육 기관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것으로 연차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년도의 연구내용은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 개발의 기초연구로서 문헌연구, 숲교육기관 참여관찰, 면담(FGI, BEL) 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유아 숲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평가준거 및 평가체제를 개발한다. 두차례에 걸친 FGI는 크게 사전 준비와 구체적 시행, 사후 분석으로 나누어 시행되며,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진으로 구성된 회의를 통하여 면담의 목적, 절차, 핵심 질문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로 진행된 FGI는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 필요성’,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 개념’,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 효과’에 대하여 질문할 것이며, 2차는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 구성’,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 체제’, ‘유아 숲교육 활용방안’ 등으로 구성한다. 자료분석은 녹음 및 촬영 자료는 전사된 자료를 2명의 기록자가 바꾸어서 검토하며, 최종적으로 연구자가 녹음자료를 다시 들으며 전사자료를 비교하여 내용을 확인한다. 전사본은 연속적 비교법을 활용하여 연구와 관련된 절과 문장을 부호화 한다. 상호관련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부호집을 재정리하여 도출해 낸다.
    2차년도의 연구내용은 숲교육 평가준거를 근거로 평가지표의 1차 시안을 개발하여, 전문가 20인을 선정하고 적절성을 검토한다. 수정 보완 과정을 거쳐 2차, 3차의 적절성을 검토한다. FGI 면담으로 최종 숲교육 평가지표 시안을 확정한다. 개발된 숲교육 평가지표는 예비검사 20곳 본검사 숲교육기관 100곳의 자료분석을 실시한다.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의구인 타당도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 주축 분해법(Principal axis factoring)을 통해 추정하며, 요인 수효 결정은 스크린검사, 누적분산비율, 해석가능성 등 최종요인 산출한다. 문항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량으로 평균 및 표준편차, 신뢰도 검증 Cronbach's α를 산출한다. 최종 유아 숲교육 평가지표를 선정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역량지표의 정의, 기본요소로서 교사역량, 놀이역량, 환경역량을 살펴보았다. 사전연구를 토대로 1차 시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역량지표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의 자문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종 교사역량 21문항, 놀이역량 10문항, 환경역량 16문항, 총 47문항으로 완성되었다.
  • 영문
  • This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educational competency indicators for early childhood forest education institutions. To that end, the study identified the definition of education competency indicators through previous prior studies and examined basic factors such as teacher competency, play competency, and environmental competency. The first draft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stud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by twice consultations with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developing the education competency indicators. We looked at the validation of questions and validation of inspections for developed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As a result, a total of 47 questions were finalized by 21 questions about teacher competency, 10 questions about the play competency and 16 questions about environmental competenc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역량지표의 정의, 기본요소로서 교사역량, 놀이역량, 환경역량을 살펴보았다. 사전연구를 토대로 1차 시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역량지표에 대해 유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의 자문을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문항에 대해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문항양호도와 검사양호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종 교사역량 21문항, 놀이역량 10문항, 환경역량 16문항, 총 47문항으로 완성되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관찰을 통한 선행연구에 따라 개발된 숲 교육역량 1차 시안에 대해 유아교육 및 숲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및 적절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1차, 2차, 3차의 문항 추출과정을 통하여 개발된 교육역량지표의 예비문항은 놀이역량에는 27문항, 교사역량은 35문항, 환경역량은 21문항, 총 83문항이다.
    둘째, 예비검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척도는 상ㆍ하집단간 차이를 잘 변별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된 척도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본검사에서 검사양호도를 확인하기 위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먼저, 구인타당도를 확인한 결과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교육역량의 3개의 요인구조로 전체변량은 53.52%의 설명력이 나타났다. 총점과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양호하게 나타났다.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숲교육역량은 놀이역량 10문항, 교사역량 21문항, 환경역량 16문항으로 3개 하위요인, 총 47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는 구인타당도, 준거관련타당도, 공인타당도 뿐만 아니라 신뢰도 전체에서 통계적으로 검증을 통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 숲 교육기관에서의 교육역량을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본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 개발로 인한 학문적, 경제적, 사회적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전무한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역량 기반의 유아 숲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지표를 활용함으로써 숲 교육기관을 규명하고, 추후 유아 숲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 될 것이다.
    셋째, 유아 숲 교육기관을 분석을 통해 자유와 행복을 지향하는 교육환경으로서의 역할을 제시할 것이다.
    넷째, 교사 및 원장은 유아 숲 교육기관의 교육역량 지표를 활용함으로서 유아 숲 교육을 실천하고 수행하는 길잡이가 될 수 있다.
  • 색인어
  • - 교육역량지표 - 교사역량 - 놀이역량 - 환경역량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