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랑 계발을 도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 등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 ...
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랑 계발을 도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 등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내용
1차년도는 탐색 연구로서,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않은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중등 과학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요소, 교사의 전문성, 학습 환경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2차년도에는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 즉,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과학과 수업 모델 12종을 개발하고(과학 교실 수업 활용 가능 자료 6종,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 전문가 협의회나 예비적용 등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는 적용 연구로서, 2차년도에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중등 과학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개발된 모델의 효과와 그 원인을 양적·질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3. 차년도 별 세부 연구 목표 및 연구 방법
1차년도에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활동의 특징과 유형, 유용성 탐색’(연구 1-1) 연구와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 수업에서 중등학생과 현장교사의 거꾸로 교실 활용 과정 분석’(연구 1-2)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1-1)에서는 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중등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의 기본 모델을 도출하고, 추출한 모델의 유용성을 예비 적용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1-2)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통해 과학과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방법과 요소를 문헌을 통해 조사하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 적용을 통해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개발 과정에서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받는다.
2차년도에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구체적으로 개발할 계획인데, ‘과학 교실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 6종’(연구 2-1),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연구 2-2)을 1차년도에 조사된 연구 결과와 전문가들 간의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수정 및 보완’(연구 2-3)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 등으로부터 개발된 모델의 타당성 점검을 받고, 현장에 예비 적용을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할 계획이다.
3차년도에는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이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조사’(연구 3-1),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적용한 중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연구 3-2),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에 대한 중등학생, 현장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3-3)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3-1)에서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통계 분석을 통해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변화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도 함께 실시할 계획이다. (연구 3-2)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 측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살펴볼 수 있는 분석틀을 바탕으로,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과 특징 등을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연구 3-3)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 문항을 중등학생과 교사의 수준 및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할 계획이다. 그런 다음, 항목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필요한 경우 독립표본 t-검정이나 변량 분석, 상관 분석 등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