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등학생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개발 및 적용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Teaching Model-based on the Flipped Classroom in Science for Fostering Secondary-School Student's Core Competenc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102283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강성주
연구수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계발의 강조
    최근 발표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의 강조이다. 즉,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의 개발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고, 이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하여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학생의 학습 부담을 줄이고 배움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을 위하여 별도의 교과를 준비하거나 핵심역량을 기존 교과 내용에 또 다른 내용 기준으로 포함시켜 교과 내용과 대치되는 구조가 아닌 교과 내용과 핵심역량을 서로 관련지어 교과 내용 지식을 좀 더 깊이 있게 가르칠 수 있는 방편으로서 핵심역량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학 교육에서는 과학 교과 내용 지식과 과학과 핵심역량을 긴밀히 연계시키면서, 이를 동시에 계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전략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2. 교육부, 2018년 거꾸로 교실 과학 과목에 도입 발표
    핵심역량은 지식의 습득이 아닌 소통과 협력에 기반한 지식의 활용을 통해 계발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사 중심 수업 방법으로부터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재와 같은 학습자 소극적 교실 활동의 형태를 바꾸거나 혁신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의 모색이 절실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은 학습자 의사소통의 증가, 배운 지식의 활성화 활동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즉, 거꾸로 교실은 역량중심의 교육과정을 교과에서 담아내기에 적합한 교수법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최근 교육부는 ‘2016년에 거꾸로 교실 모델을 개발한 후, 2017년에 시범학교를 운영하고, 2018년부터 일선학교에 도입한 뒤 점차 확대한다.’는 내용의 ‘과학교육종합계획’을 마련하여 발표하였다.

    3.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개발 및 적용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현장과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 모델이나 관련 지침이 없는 상태이고, 학생들에게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 모델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본 연구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해외 교육 선진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사 주도성이 강한 우리나라의 교실 상황에서 학습자 주도성을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돕기 위하여, 거꾸로 교실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관련 교육 모델을 구축하는 연구는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현재 거꾸로 교실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높은 관심을 고려할 때, 이 연구에서 개발할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4. 과학교과 내용을 배우는 과정 속에서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거꾸로 교실의 적용 방안 모색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업 내용과 방법에 대한 부정을 전제로 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의 양성을 위해, 이에 적합한 수업 방식의 틀을 마련하고, 새로운 실천 전략을 개발한다는 의미이다. 새로운 수업 방식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일은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을 고려할 때 어려움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오랫동안 우리의 학교와 교사, 학생들에게 습관처럼 익숙해져 있는 수업의 틀을 새로운 시대의 요구와 흐름에 맞추기 위한 시도는 계속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모색하기 위하여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에 적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 및 적용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시대 흐름에 상응하는 학문 및 사회적 기여
    첫째, 거꾸로 교실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도모하는 연구를 계획 및 진행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거꾸로 교실 모델은 과학 교과 뿐 아니라 모든 교과에 적용 가능하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직업 교육 등 제반 교육 영역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될 전략과 자료들은 과학 교과 이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관련 연구를 계획 및 진행하고자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는데 관련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고자 할 때, 이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거꾸로 교실 모델은 핵심역량과 교과 내용의 두 영역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방안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 환경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특히 거꾸로 교실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관한 실증적 데이터는 교사와 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보다 성숙한 접근을 하고, 관련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의 교육 브랜드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한국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적개발자금의 지원으로 개발도상국 과학교사의 국내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제적으로 실시한다면, 개발도상국 과학교사 및 그들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한국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2. 교육적 기여
    첫째,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할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의 실천적 지침은 교사들이 거꾸로 교실을 자신들의 수업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는 교사 중심의 수업으로부터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이 실제로 가능하며, 이와 같은 수업 환경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높이고,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거꾸로 교실에 대한 수업 전문가나 학습자 중심 수업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될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사례들은 현장교사의 연수나 워크숍 및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거나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연구요약
  • 1.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랑 계발을 도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 등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내용
    1차년도는 탐색 연구로서,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않은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중등 과학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요소, 교사의 전문성, 학습 환경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그리고 2차년도에는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 즉,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과학과 수업 모델 12종을 개발하고(과학 교실 수업 활용 가능 자료 6종,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 전문가 협의회나 예비적용 등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는 적용 연구로서, 2차년도에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중등 과학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개발된 모델의 효과와 그 원인을 양적·질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고자 한다.

    3. 차년도 별 세부 연구 목표 및 연구 방법
    1차년도에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수업 활동의 특징과 유형, 유용성 탐색’(연구 1-1) 연구와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 수업에서 중등학생과 현장교사의 거꾸로 교실 활용 과정 분석’(연구 1-2)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1-1)에서는 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중등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의 기본 모델을 도출하고, 추출한 모델의 유용성을 예비 적용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1-2)에서는 거꾸로 교실을 통해 과학과 핵심역량을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방법과 요소를 문헌을 통해 조사하고, 전문가 검토 및 예비 적용을 통해 거꾸로 교실 수업 모델 개발 과정에서의 타당성과 적합성을 검증받는다.
    2차년도에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구체적으로 개발할 계획인데, ‘과학 교실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 6종’(연구 2-1),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연구 2-2)을 1차년도에 조사된 연구 결과와 전문가들 간의 심도 깊은 논의를 통해 개발하고자 한다. 그리고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수정 및 보완’(연구 2-3)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중등 현장교사, 과학교육전문가, 교육행정가 등으로부터 개발된 모델의 타당성 점검을 받고, 현장에 예비 적용을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수정 및 보완할 계획이다.
    3차년도에는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이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조사’(연구 3-1),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적용한 중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연구 3-2),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에 대한 중등학생, 현장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3-3) 연구를 수행할 계획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3-1)에서는 실험 연구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통계 분석을 통해 확인할 계획이다. 또한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변화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도 함께 실시할 계획이다. (연구 3-2)에서는 과학과 핵심역량 측면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살펴볼 수 있는 분석틀을 바탕으로,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과 특징 등을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한다. (연구 3-3)에서는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검사 문항을 중등학생과 교사의 수준 및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할 계획이다. 그런 다음, 항목별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필요한 경우 독립표본 t-검정이나 변량 분석, 상관 분석 등을 실시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랑 계발을 도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 등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차년도는 탐색 연구로서,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않은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중등 과학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요소, 교사의 전문성, 학습 환경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내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개선 방향 등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었으며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강좌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에 대한 연구 결과를 학진 등재 저널에 논문 투고 및 게재하였다. 그리고 2차년도는 개발연구로서,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과 관련 자료들을 개발하였다. 즉,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과학과 수업 모델 12종을 개발하고(과학 교실 수업 활용 가능 자료 6종,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 전문가 협의회나 예비적용 등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2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학습의 교실수업을 위한 과학과 탐구 수업모형의 탐색적 연구’의 연구논문을 학진 등재 저널에 투고하고 게재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는 적용 연구로서, 2차년도에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중등 과학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개발된 모델의 효과와 그 원인을 양적·질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 중 일부를 투입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학생들의 핵심역량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또한 투입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여 현장교사들의 교육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평가를 확인하였다. 3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RSP(Reverse Science Principle)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의 연구논문을 투고하고 이를 게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거꾸로 교실 모델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도모하는 연구의 계획 및 진행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는데 관련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이 연구가 학습자 중심의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개발된 거꾸로 교실 모델이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연수가 가능하다면 우리나라의 교육 브랜드 상승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에서 개발할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의 실천적 지침은 교사들이 거꾸로 교실을 자신들의 수업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어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될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사례들은 현장교사의 연수나 워크숍 및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거꾸로 교실에 대한 수업 전문가나 학습자 중심 수업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 flipped classroom-based science and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used directly in science classroom instruction and free semesters, to build a learner-centered educational system that can assist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developing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The first year is an exploratory study, which aims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lassroom-based science and flipped instructional model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by investigating the actual situation of science teaching applying the flipped classroom which has not yet been systematically explored. To this end, this study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he class design elements,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for the development of flipped-based science class models suitable for the Korean secondary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variou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flipped-based science course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study, the effectiveness and possibility of the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class applying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bmitted to the journals and published. The second year is a developmental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year, we developed flipped classroom science and instructional models and related materials to help secondary students develop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In other words, we developed 12 kinds of science classes that can help the secondary science students to cultivate their science and core competencies (6 types of materials for science classroom use, 6 kinds of material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ree time use),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s was reviewed by expert councils or preliminary ap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ond year's study, a research paper entitled 'The Exploratory Study of Science and Exploration Model for Classroom Education in Flipped Learning' was submitted and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 Finally, the third year is an applied study. We apply the inverse classroom-based science classroom model developed in the second year directly to the secondary science education field,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model and its cause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I tried to draw the implications. Some of the programs developed for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inputted,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were analyzed in terms of students'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an expert group was formed on the program,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were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3rd year of research, the research paper of `` Exploring the Effects and Possibility of Reverse Science Principle (RSP) -based Chemistry Inquiry Program '' was submitted and published.
    The flipped classroom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suggest implications for various areas of planning and progressing research to promot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t can also suggest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carrying out support projects for vitalizing core competencies. This trend could contribute to the research's establishment of a learner-centered teaching culture. As a result, if the developed flipped classroom model can be train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will contribute to the rise of Korean education brands. And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practical guidance of the flipped classroom-based classes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help teachers apply the flipped classrooms to their own classes and contribute to spreading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learner-centered classes. In addition, examples of the flipped classroom science and instructional models to be developed are effectively used in on-the-job teacher training, workshops and pre-teacher curriculum, and can contribute to fostering class experts and learner-centered class experts in flipped classroom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랑 계발을 도울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과학 교실 수업과 자유학기제 등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차년도는 탐색 연구로서,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탐색되지 않은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실태를 조사함으로서,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 개발 방향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중등 과학 교육 상황에 적합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개발을 위한 수업 설계 요소, 교사의 전문성, 학습 환경의 특징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국내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개선 방향 등에 대한 다각적인 정보를 제공해주었으며 1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교실을 적용한 일반화학실험 강좌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에 대한 연구 결과를 학진 등재 저널에 논문 투고 및 게재하였다. 그리고 2차년도는 개발연구로서,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과 관련 자료들을 개발하였다. 즉, 중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의 함양을 도울 수 있는 과학과 수업 모델 12종을 개발하고(과학 교실 수업 활용 가능 자료 6종, 창의적 체험 활동 및 자유학기제 활용 가능 자료 6종), 전문가 협의회나 예비적용 등을 통해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2차년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거꾸로 학습의 교실수업을 위한 과학과 탐구 수업모형의 탐색적 연구’의 연구논문을 학진 등재 저널에 투고하고 게재하였다. 마지막으로, 3차년도는 적용 연구로서, 2차년도에 개발된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을 중등 과학 교육 현장에 직접 적용하고, 개발된 모델의 효과와 그 원인을 양적·질적 접근을 통해 조사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 중 일부를 투입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학생들의 핵심역량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도 함께 실시하였다. 또한 투입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문가집단을 구성하여 현장교사들의 교육 자료에 대한 인식 및 평가를 확인하였다. 3차년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RSP(Reverse Science Principle)기반 화학 탐구 프로그램의 효과 및 가능성 탐색‘의 연구논문을 투고하고 이를 게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거꾸로 교실 모델은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도모하는 연구의 계획 및 진행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는데 관련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이 연구가 학습자 중심의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개발된 거꾸로 교실 모델이 국내 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연수가 가능하다면 우리나라의 교육 브랜드 상승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이 연구에서 개발할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의 실천적 지침은 교사들이 거꾸로 교실을 자신들의 수업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주어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될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사례들은 현장교사의 연수나 워크숍 및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거꾸로 교실에 대한 수업 전문가나 학습자 중심 수업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거꾸로 교실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도모하는 연구를 계획 및 진행하고자 하는 여러 분야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거꾸로 교실 모델은 과학 교과 뿐 아니라 모든 교과에 적용 가능하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직업 교육 등 제반 교육 영역에도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는데 관련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통한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학생들의 핵심역량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계획 및 수행하고자 할 때, 이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거꾸로 교실 모델은 핵심역량과 교과 내용의 두 영역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방안과 학습자 중심의 수업 환경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특히 거꾸로 교실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관한 실증적 데이터는 교사와 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보다 성숙한 접근을 하고, 관련 수업 문화를 정착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우리나라의 교육 브랜드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최근 한국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공적개발자금의 지원으로 개발도상국 과학교사의 국내 연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제적으로 실시한다면, 개발도상국 과학교사 및 그들이 가르치는 학생들이 한국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교육적인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할 거꾸로 교실 기반 수업의 실천적 지침은 교사들이 거꾸로 교실을 자신들의 수업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는 교사 중심의 수업으로부터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이 실제로 가능하며, 이와 같은 수업 환경에서 핵심역량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교사들의 긍정적 인식을 높이고, 확산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거꾸로 교실에 대한 수업 전문가나 학습자 중심 수업 전문가 등을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될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과 수업 모델의 사례들은 현장교사의 연수나 워크숍 및 예비교사의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거꾸로 교실 기반 과학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높이거나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색인어
  • 핵심역량, 거꾸로 교실, 학습자 중심 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