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저발전 복지국가의 현재와 미래: 변화하는 사회적 위험과 복지정치
Present and Future of the Underdeveloped Welfare State: Changing Social Risks and Welfare Politic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의 비전은 한국, 미국, 남부유럽 등 저발전 복지국가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저발전 복지국가론 분야에서 새로운 이론을 창출하고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소형과 중형에서 설정한 연구목표가 심화 발전되었다. 즉, i) 저발전복지국가의 사회적 위험구조 분석, ii)저발전 복지국가의 복지정치 비교연구, iii) 디지털 자본주의화 등 변화하는 사회적 위험구조와 복지정치에 대한 이해,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iv)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이 연구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고 그 성과를 널리 확산시키기 위해 국제적인 위상을 갖춘 복지국가연구소(IWSR, Institute for Welfare State Research)를 설립하고 이를 국제경쟁력을 갖춘 자생적 연구소로 성장시키는 것 또한 주요한 목표이다. 이중 위 4가지 연구목표는 다시 각기 세 가지 중점 연구 목표로 세분화된다.

    첫 번째 연구목표인 “저발전복지국가 사회적 위험구조 분석 연구‘는 1)한국 노동시장 구조변화 심화 연구, 2)복합적 사회적 위험의 동학 연구, 3)사회적 위험에 대응하는 거버넌스 비교 연구로 구성된다.
    두 번째 연구목표인 “저발전 복지국가의 복지정치 비교연구”는 1)영미 자유주의와 동아시아 복지정치 비교연구, 2)EITC 같은 자유주의형 복지정책 비교 연구, 3) 한국, 일본 그리고 미국을 대상으로한 저부담 조세체제의 형성과 복지증세 연구로 구성된다.
    세 번째 연구목표인 “디지털 자본주의화 등 변화하는 사회적 위험구조와 복지정치에 대한 이해”는 1)디지털 자본주의/4차 산업혁명의 복지국가적 함의, 2)노동시장의 변화 및 프리케리아트화와 新복지정치 양상, 3) 기본소득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복지국가’ 타당성 검토로 구성된다.
    네 번째 중점 연구목표인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의 형성”은 1)거대 비공식 부문의 근로빈곤과 청년문제 대응 정책 연구, 2) 저출산 시대, 일·가정양립을 위한 양성평등 정책 연구, 그리고 “사회적 상향이동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 재구조화”로 구성된다.

    이렇듯, 본 연구단은 그동안 소형과 중형단계에서 축적된 연구역량과 국제 연구협력 네크워크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심층적 연구를 진행하며, 나아가 디지털 자본주의화에 따른 미래 사회적 위험과 복지정치에 대한 사회과학적 전망을 연구목표로 삼고 있다. 그리고 현 단계 저발전 복지국가의 사회적 위험구조와 복지정치에 대한 이해, 나아가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우리사회에 적실한 정책적 대안을 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대형단계 4년을 통한 핵심적 기대효과는 두 가지로 제시될 수 있다.

    1) 본 연구단은 동아시아, 남부유럽, 그리고 영미국가들로 대표되는 저발전 복지국가에 대한 세계 수준의 이론 및 학술 연구의 생산기지가 될 것이다. 세부적 기대효과로는 세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주제에 대한 국제적 연구 허브가 될 것이다. 중형단계의 국제협력을 더욱 발전시켜 대형단계에서도 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최고 수준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영국 바스대학의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프랑스의 Sciences Po의 Centre d'études européennes, 이태리의 Collegio Carlo Alberto, 런던정경대학 사회정책학과, 대만의 Academia Sinica 등과 함께 협력하면서 세계수준의 연구를 생산하는 거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둘째, 이러한 협력활동을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결과물들을 생산할 것이다. 대형단계에서는 세 가지 중점 연구주제인 사회적 위험 연구, 복지정치 연구, 디지털 자본주의 연구에 대해서 국제적 연구협력 하에 매년 공동 연구 워크샾 및 학술대회 개최(‘지식기반사회와 디지털 자본주의 그리고 복지국가’ 학술대회 등), 저서 발간(Political Economy of the Underdeveloped Welfare State: Theory and Reality 등), 특집호(Social Investment in Europe and East Asia 등)를 포함하는 논문 발간을 진행하게 될 예정이다. 세 번째는 한국 복지국가 연구에 대한 국제적 거점연구기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복지국가와 사회정책 관련 기존 데이터셋의 오류를 수정하고, 한국이 누락되어 있는 국제비교데이터셋에 한국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한국이 포함된 국제비교연구의 가능성을 높이게 될 것이다. 또한, 우리 연구단의 연구결과물 뿐만 아니라 국내의 사회정책/복지국가 분야 우수 연구논문을 국제학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국문으로 작성되었지만 국제학계의 큰 관심을 받을 우수한 복지관련 국문 논문들이 많다. 본 연구단은 우수 국문논문을 영문으로 소개하는 영문 웹저널을 창간하여 우수 국문논문의 영역본이 국제 학계에 널리 알려지도록 노력할 것이다.

    2) 본 연구팀은 엄밀하고 이론적인 학술연구에 기반하여 현재 및 미래에 진행될 사회 변화를 예측하면서 새로운 시각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연구의 요람이 될 것이다. 한국사회는 중첩된 신·구 사회적 위험으로 저출산, 노인빈곤, 고용불안, 근로빈곤, 양극화 등의 사회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장기화되는 저성장 기조와 디지털 자본주의로의 진입은 개인과 사회의 불안정성을 더욱 증폭시킴으로써, 현재의 사회문제들을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위험을 진단·설명하고 대안을 제시하려는 본 연구단의 연구주제는 직접적으로 한국의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고 있다. 서구 경험에 대한 단순한 벤치마킹으로는 한국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일정한 시사점을 얻을 수는 있어도 타당한 해법을 얻기는 어렵다. 본 연구단은 한국을 비롯한 저발전복지국가에 내재한 사회적 위험의 구조와 복지정치 동학을 규명하고 이론화함으로써, 한국의 사회문제 해결에 보다 적실성 있는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단순히 학술적 연구를 넘어 산학협력을 통해 현실에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연구 결과와 정책제언을 제시할 것이다. 연 2회 있을 산학연구협력 심포지엄이나 사회정책 이슈브리핑 그리고 연구간담회 및 연구용역 실시 등은 사회문제해결과 동시에 연구소의 미래 자생력 확보를 위해서 추진될 예정이다. 또한, 홈페이지, SNS, 유튜브, 뉴스레터 등을 통해서 국내외에 연구행사, 정책대안 및 성과를 적극적으로 알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단이 대형단계 진입을 위해 설정한 네 가지 연구 목표별로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첫 번째 연구목표인 “저발전복지국가 사회적 위험구조 분석 연구‘는 노동시장 구조변화 심화연구, 복합적 사회적 위험 동학에 대한 이론적 연구, 마지막으로 사회적 위험 대응 거버넌스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게 될 예정이다. 특수고용과 같은 ’가짜 자영업‘ 등 ‘탈정규고용’의 다변화 모습을 이해하고, 이들의 사회적 위험 생성과정과 대응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복잡계(complexity) 이론을 바탕으로 하나의 사회적 위험이 다른 사회적 위험과 연계가 되면서 새로운 형태의 사회적 위험으로 진화되거나 위험의 폭이 증폭되는 복합한 경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그리고 유사 제도이나 서비스 전달 과정에서 실질적 급부가 달라짐을 재량(discretion)과 거버넌스 차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2) 두 번째 연구목표인 “저발전 복지국가의 복지정치 비교연구”는 저발전 복지국가 복지정치의 연구의 대상을 영·미 자유주의 국가로 확장하고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의 비교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영미 국가들도 노동시장의 불안전성, 임금 및 노동조건의 큰 격차, 점증하는 소득/자산격차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실업 같은 구사회적 위험뿐만 아니라, 청년실업, 돌봄의 위기 등 신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공적 사회지출이 OECD국가 중 최저 수준이다. 이의 정치경제학적 원인과 복지정치의 양상,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복지정책의 변화를 비교연구를 통해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3) 세 번째 연구목표인 “디지털 자본주의화 등 변화하는 사회적 위험구조와 복지정치에 대한 이해는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급속한 기술변화에 따른 사회경제구조의 변화로 인해 새롭게 발생하는 사회적 위험에 대해 탐구하고, 이러한 변화가 가져올 복지정치적 함의에 대해 연구할 것이다. 디지털 자본주의에 대한 경제적이고 과학적인 논의를 바탕으로, 이러한 전환과 변화가 사회적 위험과 시민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어떠한 선제적인 사회정책적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4) 네 번째 중점 연구목표인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의 형성”은 시급성을 요하는 세 가지 정책주제에 대해서 연구이다. 먼저, 한국 노동시장 구조 분석과 사회적 위험의 복합성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해서 사각지대와 근로빈곤에 빠져있는 영세사업장 근로자와 청년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할 것이며, 사회보험의 재설계, 최저임금, 근로장려세제, 생활임금제, 청년수당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질 것이다. 다음으로 일·가정 양립 정책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한국의 근로관행, 기업문화, 연공형 보상체계, 노동시장의 이중성 등의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최근 금수저-흙수저 논란이 상징하듯, 약해져만 가는 사회적 상향이동성의 제고를 위해 이행노동시장(Transitional Labor Market)의 관점에서 교육의 중요성을 재검토하고, 아동기의 교육부터 성인기의 교육 및 직업훈련 시스템을 어떻게 재구축해야 사회적 이동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지난 단계를 거치며, 본 연구단은 스웨덴 중심의 서구 복지국가이론을 벗어나 한국사례를 바탕으로 제도와 행위자를 접목시켜 한국의 복지국가 발전을 설명하는 제도주의적 신권력자원모형(Institutional New Power-Resources Model)을 개발하였다. 해당 이론은 기존 복지국가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일본과 영미형, 남유럽형 복지국가의 기원과 성장 및 국가 간 차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양재진, 2014). 스웨덴 중심의 적극적 복지국가만을 대상으로 구축되었던 권력자원론의 헤게모니에서 벗어나, 개별 국가의 사회구조와 맥락에서 복지국가의 저발전을 설명할 수 있는 별도의 이론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본 연구팀에서는 연구원들의 연구역량과 국제 연구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저발전 복지국가의 연구대상을 영미자유주의국가와 동아시아로 확장해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유주의 국가들은 동아시아와 상당히 유사한 사회적 위험을 공유하고 있다(Yang, 2020).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분절성, 임금과 노동조건 및 소득・자산격차 등이 심각하나, 실업과 노령으로 인한 소득상실 외에도 청년실업과 돌봄의 위기 등 신사회적 위험에 대한 공적 사회지출 수준이 현저히 낮다. 그러나 복지증세에 대한 정치적 저항이 큰 국가들이기도 하다. 이에, 저발전 복지국가들의 위험구조와 이를 둘러싼 노동조합과 청년 계층 및 시민사회 등 새로운 행위자들을 중심으로 한 복지정치의 양상과 그 결과로 나타난 복지정책의 변화를 비교연구를 통해 설명하였다(Chung, 2020; Lee, 2019; 김영순, 2017). 본 연구단은 이를 통해 비교복지국가 연구에 있어서 저발전 복지국가이론의 현실 적용성을 높이는 한편,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새로운 복지국가 이론을 구축하였다.
  • 영문
  • Going through the last steps, the research team deviated from the Western welfare state theory centered on Sweden and combined institutions and actors based on Korean cases to explain the development of the welfare state in Korea. The Institutional New Power-Resources Model Was developed. This theory was of great help in understanding the origin and growth of welfare states of Japan, Anglo-American, and Southern Europe, an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which were not noted in previous studies of welfare states(Yang, 2014). It deviated from the hegemony of the power resource theory, which was built only for the active welfare state centered on Sweden, and built a separate theoretical system that could explain the underdevelopment of the welfare state in the context and social structure of individual states.
    Based on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the researchers and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network, this research team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y expanding the research subjects of low-development welfare countries to Anglo-American liberal countries and East Asia. Liberal countries share very similar social risks to East Asia(Yang, 2020). The instability and segmentation of the labor market,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income and asset gaps are serious, but the level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against new social risks such as youth unemployment and the crisis of care is remarkably low in addition to income loss due to unemployment and old age. However, they are also countries with great political resistance to welfare. Accordingly, the risk structure of low-developed welfare states, the pattern of welfare politics centered on new actors such as the labor union, youth class, and civil society surrounding it, and the resulting changes in welfare policy were explained through comparative studies (Chung, 2020; Lee, 2019; Kim, 2017). Through this, the research team improv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low-developed welfare state theory in the study of the comparative welfare state and established a new welfare state theory that is internationally recogniz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단의 연구목적은 선진 복지국가를 기반으로 형성된 주류 복지국가이론의 한계를 넘어서, 저발전 복지국가에 대한 보다 설명력 있는 이론과 적실성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소형과 중형단계 6년을 거쳐, 대형단계 4년 동안 본 연구단의 연구를 관통하는 연구 질문은 크게 세 가지로 아래와 같다.
    첫째, “영미자유주의 국가와 동아시아 국가는 왜 유사한 사회구조를 답습하며, 어떠한 사회정책과 복지정치를 통해 대응하는 양상을 보이는가?”이다. 본 연구는 지난 소형과 중형단계를 거치면서 ‘선진’복지국가를 중심으로 형성된 주류 복지국가이론을 보완하기 위해, ‘저발전’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적 연구를 통해 ‘저발전’ 복지국가이론을 형성하여 왔다. 대형단계 4년에는 저발전 복지국가의 연구대상을 영미자유주의 국가와 동아시아 국가에 집중함으로써, 저발전 복지국가이론을 적용하여 이론의 설명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둘째, “저발전 복지국가로서 한국은 어떠한 복합적 사회적 위험의 동학을 보이며, 이에 대한 적실성 있는 정책대안은 무엇인가, 그리고 대응을 위한 거버넌스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이다. 앞서 저발전 복지국가들의 복지정치를 비교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초점을 맞추어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른 복합적 사회적 위험을 연구하는 한편, 이에 대한 대안을 정책적 차원과 정책 및 행위자 거버넌스 차원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디지털 자본주의의 등장 이후 한국을 비롯한 저발전 복지국가들의 사회적 위험과 복지정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복지국가로서의 이론적 타당성과 정책적 대응의 적실성을 검토한다. 본 연구는 보다 현실적인 질문으로,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변화하기 시작한 노동의 형태와 함께 사회투자와 기본소득 등의 새로운 복지이슈의 실현 가능성을 이론적 차원에서 검토하고, 한국의 미래 복지국가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결과 발표

    한국 사회는 산업사회의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전통적인 복지제도가 체계를 갖추기도 전에 후기산업사회의 새로운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게다가 빠르게 자동화를 비롯한 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기술변화가 빠르게 진전되면서, 또 다른 형태의 사회적 위험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는 사회적 위험은 저출산 고령화, 노인 빈곤, 고용불안, 근로빈곤, 청년실업, 불평등 증가, 기술발전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 등의 사회문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장기화하는 저성장 기조와 디지털 자본주의로의 진입은 개인과 사회의 불안정성을 더욱 증폭시켜, 앞으로 현재의 사회문제들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한국 사회의 다양한 사회적 위험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본 연구단의 연구주제는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본 연구팀은 단순히 서구 복지국가의 사례를 검토하는 것을 넘어서, 한국의 사회적 위험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석하고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성과들은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한 근거기반 복지정책 추진의 기반 마련

    본 연구팀에서는 다양한 복지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양한 국, 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여 복지정책 연구에 활용함과 동시에 근거기반 복지정책 추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센터 홈페이지에 복지 관련 통계나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하는 페이지를 만들고, 연구자들이나 정책입안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팀 자체적으로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팀은 지방재정 365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전체 지방정부의 복지사업을 OECD SOCX 사업에 따라 재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지방정부의 복지지출액과 복지사업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의 결과는 ‘지방자치단체 복지재정 산출’ 보고서로 구체화 되었다. 이렇게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와 연구 보고서 등은 이후 지방정부의 복지지출을 분석하는 것은 물론 정책 집행에도 참고할만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그 외에 2020년에는 한국 시민들의 복지정책과 증세, 기본소득에 대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복지정책과 증세에 대한 태도, 기본소득에 대한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한국인의 복지 태도 전반에 대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최근 논의되고 있는 기본소득에 관한 내용은, 앞으로 연구나 정책 결정 등에 이용할만한 가치가 있다.

    3) 국내 우수 연구의 영문번역을 통한 국제적인 동아시아 연구 네트워크 구축

    본 연구팀은 한국의 복지 분야 우수논문을 번역하여 국제학계에 소개하고, 국제적인 동아시아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Journal of the Korean Welfare State and Social Policy (JKWS)라는 학술지를 발간하였다(ISSN 2586-0682).
    한국에는 국제적으로 알려지지 않았으나 번역만 잘 된다면 국제학계의 큰 관심을 받을 복지국가 및 사회정책에 관련된 우수한 국문 논문들이 많다. 이에 본 연구팀은 영문번역 웹 저널인 JKWS를 창간하여 우수 국문 논문이 국제학계에 널리 알려지도록 노력하였다. JKWS는 상반기(6월)/하반기(12월)로 나누어 연 2회 발간되며, 각각 논문 3편씩 수록된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연 2회씩 총 8편의 JKWS가 발간되었으며, 이를 통해 총 24편의 논문을 번역하여 소개하였다.
  • 색인어
  • 복지국가, 사회적 위험, 디지털 자본주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