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생산·지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혁신과 공생의 산업생태계 연구
The Study on the Production-Knowledge Network and Industrial Ecosystem of Innovation and Co-evolu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연구과제번호 2016S1A3A2924349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종호
연구수행기관 부경대학교 지역사회연구소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윤성민(부산대학교)
정재헌(부경대학교)
문영만
장지상(경북대학교)
정준호(강원대학교)
이기영(경기대학교)
남종석
황선웅(부경대학교)
최현정(부경대학교)
이근기(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배경: 산업생태계의 역동성 약화와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우리나라에서는 글로벌화의 진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기술혁신의 가속화와 수출주도 대기업 주도의 산업발전이 지속되면서 대·중소기업간 양극화(기술력, 자금력, 수익성, 임금 등 격차)가 사회경제적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저성장과 기업간 양극화가 지속되는 현 단계 한국경제에서 산업의 역동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에 의한 창조적 성장과 경제주체들이 공생 협력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제품구조가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외부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열린 혁신(open innovation)이 산업경쟁력의 원천이며,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혁신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자원, 브랜드가치, 제품개발을 지원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공생과 협력의 산업생태계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산업생태계는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촉진시키고 창업기업-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으로의 상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 연구목표: 생산-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DB 분석을 통한 혁신과 공생의 산업 생태계 연구
    산업생태계는 최종수요기업(flagship firm)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관계 속에 질서와 응집력이 위로부터 형성되는가 하면, 틈새시장 활용자(niche player) 사이의 수평적 상호작용 속에서 아래로부터 자생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생산-지식 네트워크는 주체와 시장환경 사이의 상호작용, 사회경제적 제도의 정합성에 따라 다르며 제도가 생태계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단은 저성장과 양극화의 이중고로 생태계의 역동성 약화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경제에서 기업의 생산-지식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공생발전과 창조적 혁신경제 구축을 지향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와 제도의 역할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태계에 관한 선행연구는 경제지리학적 접근, 비지니즈생태계적 접근, 글로벌 가치 사슬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경제지리학적 접근은 혁신클러스터와 지역혁신체제 등 지역단위의 로컬 네트워크 분석을 강조하는 반면 글로벌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글로벌 가치 사슬 접근은 국제 산업 연관표를 활용한 국가간 산업단위의 가치사슬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기업단위의 분석은 결여되어 있다. 비즈니스 생태계론적 접근은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가치사슬 분석에 강점이 있으나, 가치창출 및 배분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에 대한 분석은 취약한 편이다. 본 연구는 이 세 접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광의의 생태계 접근(Mileton-Kelly, 2003)에 따라 산업생태계를 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고 기업-산업-공간(글로벌/로컬) 단위의 네트워크의 파급효과와 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소형단계에서는 횡단면 DB를 활용한 네트워크의 구조와 생태계의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중대형단계에서는 시계열 네트워크 자료를 확보해 장기 패널 DB를 구축하고 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 산업생태계 진화와 제도의 역할을 분석한다.

    □ 3대 핵심 연구주제
    (1) 생산-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과 산업생태계 구조분석: 생산-지식네트워크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기 패널DB를 구축하여 생태계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한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의 3층위와 기업-산업-공간의 3차원으로 구분하고 네트워크의 유형과 구조를 파악한다.
    (2) 산업네트워크의 파급효과와 산업생태계의 변화 분석: 구축된 장기 패널 DB를 활용하여 기술투자, 혁신성과, 임금, 고용 등에 미치는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생태계의 진화과정을 분석한다.
    (3)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제도의 역할 분석: 산업생태계는 기업, 소비자, 공급자와 사회문화 제도로 구성되며 경제주체들은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작용 속에서 공진화한다. 본 연구는 구조-행위-성과의 분석틀에 따라 생태계의 성과를 분석하고 제도와 정책이 네트워크 파급효과와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기대효과
  •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대
    국내외 학계의 연구동향과 관련해서 본 연구단은 기업의 생산-지식 네트워크에 관한 장기 패널 DB를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기업연관표를 작성하고 기업연관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 연구의 지평을 확대한다. 그리고 경제학, 경영학, 사회학, 정보과학, 진화생물학 등 학제간 융복합 연구를 수행하고 네트워크와 산업생태계 연구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혁신과 공생의 글로벌 산업생태계 연구센터로의 성장을 지향한다.
    (1) 산업과 기업의 생산-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과 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패널 DB 구축으로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혁신형 경제 연구에 필수적인 기초 자료를 공급한다.
    (2) 소형단계의 ‘기업연관표’ 작성 및 기업연관분석에서 축적된 노하우를 활용하여 중대형단계에서는 다년도 ‘기업연관표’(2005년-2011년-2017년)를 작성하고 동태적 기업연관분석을 심화시키고 제도의 역할을 분석함으로써 한국형 산업생태계 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
    (3) 복잡계 이론에 기반한 네트워크 분석모형을 개발하고 기업의 글로벌 로컬 생산네트워크 분석에 적용함으로써 산업생태계 연구방법론을 심화시키고 분석도구 개발에 기여한다.

    □ 연구결과의 정책연계 활용
    (1) 기업연관표 작성과 기업연관분석 작업을 통해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국민경제 및 지역경제에 대한 생산, 부가가치, 고용유발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산업육성정책과 일자리창출 정책 수립에 기여한다.
    (2) 생산-지식 네트워크 패널 DB를 활용한 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 분석으로 산업생태계 건강성 지수를 개발·공급한다.
    (3) 기업단위 연구결과는 동반성장위원회의 대기업 동반성장지수 평가, 산업 단위 연구결과는 기술 융복합을 통한 창조형 신산업육성전략, 산업-지역단위 연구결과는 지역혁신지수 평가에 활용하도록 한다.

    □ 연구결과의 교육연계 활용
    ❍ 중형단계
    (1) DB구축 및 자료분석작업에 대학원 학생들을 참여시켜 빅데이터 분석 능력을 높이고 기업의 연구개발투자, 해외투자, 기술혁신이 국내 생산과 고용에 미치는 네트워크 파급효과 등 생산-지식 네트워크와 산업생태계를 주제로 학위논문을 작성하도록 한다.
    (2) 연구진과 대학원 학생들이 참여하는 공동 워크숍을 연 2회 정기 개최하고, 학술대회 참가 지원, 학술저널 논문 게재 지원으로 학문후속세대의 연구역량을 높이고 국내 및 국제 학술세미나 개최로 학술교류 기회를 제공한다.
    (3) 박사후 과정을 지원하여 산업생태계 연구에 독자적인 연구역량을 갖춘 전문연구인력으로 양성한다.
    (4) 중형단계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학술저서로 출간하여 대학생 및 일반 대중의 이해도를 높이고 산업조직론, 기업경제론 과목에서 특강 형태의 강의 시리즈로 운영한다.

    ❍ 대형단계
    (1) 해외 우수학자와 연구자들을 산업생태계 연구센터에 방문연구자로 초빙하고 대학원 학생들이 국제적 연구역량을 갖추도록 지원한다.
    (2) 대형 연구결과를 정리 출간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에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산업생태계 혁신과 성장패러다임 전환의 필요성과 주요 정책과제에 관한 대학생 및 일반 대중의 이해도를 높인다.
    (3) 10년간 SSK 연구결과를 집대성하여 주제별 산업생태계 연구시리즈를 출판하고, 경제학, 경영학 분야의 강의교재로 활용한다.
  • 연구요약

  • □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본 연구단은 경제주체-시장-제도 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복합체로 파악하는 광의의 산업생태계 접근에 따라 산업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산업생태계의 진화과정에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한다. 이에 따라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3층위, 기업-산업-공간 3차원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산업생태계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산업생태계의 성과(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를 평가하고 제도의 역할을 분석한다.
    (1) 생태계의 혁신성: 산업기술체제론적 접근에 따라 산업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과 기술혁신유형으로 구분하고 생산-지식 네트워크가 창조적 파괴형 기술혁신과 기술개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2) 생태계의 공생성: 네트워크 참가기업간 성과배분의 공정성(가치배분)과 네트워크의 시장확장성(틈새시장을 창출하는 능력)을 중심으로 산업생태계의 공생성을 분석한다.
    (3) 생태계의 지속가능성: 기술변화와 세계화(무역자유화, 자본자유화, 해외직접투자의 확대) 등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산업생태계가 정상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을 분석한다.

    □ 단계별 연구계획
    ❍ 중형단계: 생산-지식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와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
    (1) 1차 년도 연구계획(거래네트워크 패널 DB, 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패널DB 구축): ① 소형단계에서 구축된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의 시계열 자료를 확장하여 ‘거래네트워크 패널DB(2005-2017)’를 구축하고 주요 대기업과 협력기업간 기업연관표(2005년, 2011년, 2017년) 작성, ② 외감 이상 법인의 국내외 관계사 거래자료를 활용한 ‘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DB(2005-2017)’구축, ③ 기술혁신네트워크조사 실시로 지식네트워크 패널 DB(2014~2017) 구축
    (2) 2차 년도 연구계획(거래네트워크 패널DB를 활용한 네트워크의 동태적 변화와 파급효과 분석): ① 대기업과 중견기업, 독립계 중소기업 네트워크의 구조 변화 분석, ② 대기업의 지배구조(와 계열사 간 내부거래)가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분석, ③ 시장구조와 산업 내 및 산업 간 네트워크의 연관성 분석
    (3) 3차 년도 연구계획(글로벌·로컬 생산네트워크 DB를 활용한 한국기업의 글로벌(global) 로컬(local) 네트워크의 상호작용과 성과 분석): ① 글로벌 생산네트워크(Global Production Network)와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의 구조 분석, ② 해외직접투자(outbound FDI)와 외국인직접투자(inbound FDI)가 국내 산업생태계(산업 및 기업 간 연결망, 생산성,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③ 광역경제권별 클러스터와 가치사슬 분석, 네트워크와 지역산업기반의 상호작용 및 파급효과 분석, ④ 글로벌 네트워크와 로컬 네트워크의 상호작용 및 성과 분석, ⑤ 글로벌 금융네트워크와 실물네트워크의 관계 분석, ⑥ 금융네트워크의 성과분석(주식가격 네트워크와 경영성과의 관계 분석)

    ❍ 대형단계: 지속가능한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연구
    (1) 국내 및 해외 주요 지역의 산업생태계 사례 연구: 산업생산체계(생산물시장, 노동시장), 기업지원체계(금융시장), 지식체계(대학과 연구기관, 기술시장) 등의 3범주 분석
    (2) 산업생태계 건강성 지수 개발과 적합성 연구: 산업별 혁신성(생산성, 창조성), 지속가능성(상생성과 시장확장성),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 개발 및 생태계 적합성 분석
    (3)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연구: 산업생태계 지원체제, 국내외 사례연구와 생태계 지수 개발을 바탕으로 한국의 산업생태계 평가, 지속가능한 한국형 산업생태계 모델과 지역산업생태계 조성전략 제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공동연구원 및 전임연구인력 인원은 총 연구기간 중 평균인원으로 작성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 연구배경과 과제
    ○ 연구 배경: 산업생태계의 역동성 약화와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 우리나라에서는 글로벌화의 진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기술혁신의 가속화와 수출주도 대기업 주도의 산업발전의 지속으로 대·중소기업 간의 양극화(영업이익률 격차, 인적역량 격차, 기술력 및 혁신역량 격차)가 사회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 수출주도형 대기업 중심의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가운데 중간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군이 취약한 쌍봉형 구조가 형성됨. 1997년 외환금융위기 이후 대기업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되는 속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사업영역을 잠식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중소기업은 성장장벽에 직면
    ○ 정책과제: 기술 융복합화를 통한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혁신과 공생의 산업생태계 조성
    - 제품구조가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는 글로벌 경쟁 환경에서 외부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열린 혁신(open innovation)과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에서의 산업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의 원천이며,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혁신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대기업은 중소기업에 자원, 브랜드가치, 제품개발을 지원하고 이익을 공유하는 공생과 협력의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요(Love et al., 2011)
    - 대중소기업간 심화되는 양극화와 저성장을 배경으로 산업의 역동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혁신경제 창출과 주체들이 상생 협력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요구됨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은 기업의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공생발전과 창조경제를 창출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함
    ○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창조적 혁신경제 구축과 대기업-중견기업-지역 중소기업 공생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공생의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수요건이 됨

    □ 연구주제 : 생산ᐧ지식 네트워크를 활용한 산업생태계 연구
    ○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인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
    ○ 구축된 패널 DB를 활용한 경제학, 경영학, 지리학, 컴퓨터과학, 생물학 분야 전문연구자들의 학제 간 연구와 산업생태계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형성
    ○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화와 공진화가 창조경제의 핵심
    ○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을 위한 글로벌·로컬 단위의 가치사슬 연구

    □ 연구내용
    ○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을 통한 산업생태계 구조분석
    ○ 네트워크 파급효과 및 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 분석
    ○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제도의 역할 연구

    □ 연구방법
    세 가지 핵심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한국 산업생태계의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산업생태계 건강성 지수(혁신성, 공생성, 지속가능성)를 개발하여 산업생태계의 성과 평가
    - 산업의 기술체제론적(sectoral innovation system) 접근에 따라 산업의 지식기반(knowledge base)과 기술혁신유형으로 구분하고 암묵적 지식과 명목적 지식(산업의 지식기반)과 돌파형 기술혁신, 점진적 기술개량(혁신유형)을 분석
    - 기술변화와 세계화(무역자유화, 자본자유화, FDI의 확대) 등 외부 충격에 대응하여 산업생태계를 정상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회복력(resilience) 분석(Hudson, 2010)
    ○ 공생과 혁신의 산업생태계(industrial ecosystem) 조성과 중소기업 → 중견기업 → 대기업 상향 경로가 열려진 개방형 생태계를 지향하는 제도 연구

    Ⅱ. 연구목표 및 성과
    □ 1차년도 연구목표 및 성과
    ○ 연구목표 : 산업생태계의 글로벌-로컬 파급효과 분석을 위한 동태패널 DB구축 및 산업생태계 성과분석
    - 소형단계에서 한국기업데이터(주)의 2011년도 기업정보를 원자료로 54,114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DB를 구축. 이를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2006-2015년 패널 기업정보와 결합함.
    - 기업활동조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선도기업 및 협력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을 분석하였으며 해외직접투자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측정
    - 금융데이터 및 물리적 분석도구를 활용한 정보이전,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 장기패널 자료의 동태적 분석을 위한 분석도구 정교화

    □ 2차년도 연구목표 및 성과
    ○ 2차년도 목표 : 네트워크분석을 위한 DB구축 및 네트워크의 구조 변화 분석, 네트워크의 동태적 파급효과분석, 기술혁신네트워크 연구
    - 2015년 ㈜한국기업데이터 기업정보 DB를 활용하여 14개 업종의 거래네트워크를 추적한 후 이를 소형단계에서 구축한 2011년 거래네트워크와 결합함. 더 나아가 이를 2006-2016년 ㈜한국기업데이터 패널DB와 결합함으로써 한국 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듦.
    ※ 기술혁신네트워크 조사는 4,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430개 기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한 후 분석작업을 진행. 논문 1편 게재 및 연구서 1편 발간
    - 새롭게 구축된 거래네트워크와 2006-2016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생태계의 구조 및 동태적 변화, 성과,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 작업 진행.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서 선도기업이 중소기업의 성장을 유인하는 측면과 중소기업의 성과를 약탈하는 측면을 동시에 지니고 있음을 확인. 논문 8편 등재지 게재
    - 글로벌 산업 및 금융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국산업생태계의 성과측정 및 금융네트워크 파급효과 분석. SCI, SSCI 및 연구재단 등재지 5편 논문게재
    -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연구단 아젠다에 부응하여 산업생태계의 일자리 성과를 분석하는 논문 5편을 연구재단 등재지에 게재
    - 네트워크 구조 및 파급효과 분석에서 새로운 분석도구(wavelet cohesion, wavelet decomposition, Economic Policy Uncertainty(EPU) 지수)를 활용, 실증분석한 논문을 SSCI급 저널에 4편 게재

    □ 3차년도 연구목표 및 성과
    ○ 3차년도 목표 : 한국 산업생태계 성과분석, 산업 및 공간 단위 네트워크의 동태적 분석, 노동시장 격차 분석 및 정책 대안 마련, 글로벌 네트워크 분석
    - 2006-2016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 : 2008년 이후 세계경제의 침체 국면에서 한국 주력 제조업의 성과와 위기를 분석하고 새로운 혁신생태계의 필요성 제시
    - 지역별 거래네트워크에 토대를 둔 지역특화 클러스터 분석 및 지역 내 산업별 거래네트워크 분석 : 산업 및 공간단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지역산업의 현황을 분석한 것은 매우 큰 진전
    - 대중소기업간, 원하청 간 노동시장 격차 분석 및 정책 대안 마련.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을 결합시킨 노동시장 격차 분석, 결합노동시장지위별 임금 격차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격차 분석 및 정책 대안 마련
    - 산업생태계 연구를 위한 선도기업과 해외자회사 및 동반 진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구축. 또한 중소기업 기술혁신네트워크조사를 통해 DB를 구축했으며 이에 근거하여 새로운 연구 작업 진행
    - 정부 정책과 관련하여 제도개혁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학술연구와 정책연구의 연계성을 크게 높임 : 최저임금, 자영업 및 소상공인 경영성과 및 대책, 노동시장 격차 해소 방안, 지역별 혁신 산업생태계 구성 등 정부 어젠다와의 관련성을 높임
  • 영문
  • Ⅰ.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 Research Background and Objectives
    ○ Research Background: The weakening of the dynamism of the industrial ecosystem and polariz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 Policy tasks: Development of Innovation and Symbiotic Industrial Ecosystem for the Creation of a Creative Economy and Job Creation through Technology Convergence


    □ Research Objectives
    ○ The purpose of analyzing production knowledge network is to identify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industrial ecosystems and to study the role of system for creating a healthy industrial ecosystem that creates symbiotic development of large-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a creative economy.
    ○ Creating a healthy industrial ecosystem of innovation and symbiosis is a must for building a creative innovative economy through convergence of industry and technology and for symbiotic development of large-sized enterprises-medium and small-sized businesses in the region

    □ a subject of study : The Study on the Production-Knowledge Network and Industrial Ecosystem of Innovation and Co-evolution
    ○ Establishment of Production-Knowledge Network Long-Term Panel DB Essential to Industrial Ecosystem Research
    ○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Panel DB and Global Research Network of Industrial Ecosystem
    ○ Convergence and co-evolution of industry and technology are the key to the creative economy.
    ○ A Study on the Value chain of Global and Local Units for the Analysis of Job Creation Effects

    □ Research content
    ○ Structural Analysis of Industrial Ecosystems Using Production-Knowledge Network Long-Term Panel DB
    ○ A Dynamic Analysis of Network Effects and Industrial Ecosystem Changes
    ○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Ecosystem and the Role of System

    □ research method
    ○ An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 Ecosystem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Korean Industrial Ecosystem and Developing the Health Index of Industrial Ecosystem
    ○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of Symbiosis and Innovation and Small and Medium Business → Midsize Business → A Study on the System Toward an Open Ecosystem with Up-Road Path for Large Companies

    Ⅱ. Research Objectives and Achievements
    □ Goal and Performance of First Year Research
    ○ Research Objectives : Development of Dynamic Panel DB and Performance Analysis of Industrial Ecosystem for Global-Local Effects of Industrial Ecosystem
    - Combining 2011 Transaction Network DB with the corporate activity survey panel information of Statistics Korea.
    - Using data from the Corporate Activity Research Panel, we analyzed the global value chain of Korean leading and partner companies and measured their performance, such as job creation, by direct investment abroad.
    - Sophisticated analysis tools for dynamic analysis of long-term panel data of industrial ecosystem through information transfer and network effect analysis using financial data and physical analysis tools

    □ Goal and Performance of Second Year Research
    ○ Research Objectives : An Analysis on the Construction of DB for Network Analysis and the Structural Change of Network, Dynamic Effects of Network, A Study on the Technology Innovation Network
    - 2015 transaction network of 14 industries was tracked using corporate information DB and combined with the 2011 transaction network that was deployed at a small level.
    - Research of 4000 companies for innovation network i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 is collected from 430 companies and the analysis is carried out.
    - Research to analyze structural and dynamic changes,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ecosystem using 2006-2016 trading network and panel data.

    □ Goal and Performance of 3rd Year Research Year
    ○ Research Objectives : 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Industrial Ecosystems, Dynamic Analysis of Industrial and Space Unit Networks, Labor Market Gap Analysis and Policy Alternatives, Global Network Analysis
    - Performance Analysis of the Industrial Ecosystem Using 2006-2016 Panel Data : Analyze the Performance and Crisis of Korea's Major Manufacturing Industry and Present the Necessity of New Innovation Ecosystem
    - Analysis of Regional Specialized Clusters and Transaction Network by Regional Industry
    - Analysis of Labor Market Gap Between SMEs & Large Enterprises and Demanding companies and subcontracto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Ⅰ. 연구 목적 및 방법
    □ 연구배경과 과제
    ○ 연구 배경: 산업생태계의 역동성 약화와 대·중소기업간 양극화
    ○ 정책과제: 기술 융복합화를 통한 창조경제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혁신과 공생의 산업생태계 조성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은 기업의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 공생발전과 창조경제를 창출하는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함
    ○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을 통한 창조적 혁신경제 구축과 대기업-중견기업-지역 중소기업 공생발전을 위해서는 혁신과 공생의 건강한 산업생태계 조성이 필수요건이 됨
    □ 연구주제 : 생산ᐧ지식 네트워크를 활용한 산업생태계 연구
    ○ 산업생태계 연구에 필수적인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
    ○ 구축된 패널 DB를 활용한 경제학, 경영학, 지리학, 컴퓨터과학, 생물학 분야 전문연구자들의 학제 간 연구와 산업생태계 글로벌 연구네트워크 형성
    ○ 산업과 기술의 융복합화와 공진화가 창조경제의 핵심
    ○ 일자리 창출효과 분석을 위한 글로벌·로컬 단위의 가치사슬 연구
    □ 연구내용
    ○ 생산ᐧ지식 네트워크 장기 패널 DB 구축을 통한 산업생태계 구조분석
    ○ 네트워크 파급효과 및 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 분석
    ○ 산업생태계의 성과와 제도의 역할 연구

    Ⅱ. 연구성과
    ○ 소형단계에서 한국기업데이터(주)의 2011년도 기업정보를 원자료로 54,114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DB를 구축. 이를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2006-2015년 패널 기업정보와 결합함.
    ○ 기업활동조사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선도기업 및 협력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을 분석하였으며 해외직접투자로 인한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측정
    ○ 금융데이터 및 물리적 분석도구를 활용한 정보이전, 파급효과 분석을 통해 산업생태계 장기패널 자료의 동태적 분석을 위한 분석도구 정교화
    ○ 2015년 ㈜한국기업데이터 기업정보 DB를 활용하여 14개 업종의 거래네트워크를 추적한 후 이를 소형단계에서 구축한 2011년 거래네트워크와 결합함. 더 나아가 이를 2006-2016년 ㈜한국기업데이터 패널DB와 결합함으로써 한국 산업생태계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듦.
    ○ 새롭게 구축된 거래네트워크와 2006-2016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업생태계의 구조 및 동태적 변화, 성과,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 작업 진행.
    ○ 2006-2016 패널데이터를 활용한 산업생태계 성과 분석 : 2008년 이후 세계경제의 침체 국면에서 한국 주력 제조업의 성과와 위기를 분석하고 새로운 혁신생태계의 필요성 제시
    ○지역별 거래네트워크에 토대를 둔 지역특화 클러스터 분석 및 지역 내 산업별 거래네트워크 분석
    ○대중소기업간, 원하청 간 노동시장 격차 분석 및 정책 대안 마련.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을 결합시킨 노동시장 격차 분석, 결합노동시장지위별 임금 격차 분석 등 다양한 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격차 분석 및 정책 대안 마련
    ○산업생태계 연구를 위한 선도기업과 해외자회사 및 동반 진출 기업의 거래네트워크 구축
    ○ 정부 정책과 관련하여 제도개혁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연구결과 발표를 통해 학술연구와 정책연구의 연계성을 크게 높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연구성과 요약
    ○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2006-2016)와 부경대 SSK산업생태계 연구단에서 구축한 ‘기업 간 거래네트워크 DB’를 결합한 장기 패널 데이터 구축
    - 네트워크 구조 및 파급효과 분석에서 새로운 분석도구(wavelet cohesion, wavelet decomposition, Economic Policy Uncertainty(EPU) 지수)를 활용, 실증분석한 논문을 SSCI급 저널에 4편 게재함으로써 네트워크 분석을 풍부히 함
    ○ SCI, SSCI, SCOPUS급 논문에 15편 게재를 비롯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연구논문 64편 게재, 전문학술연구서 4권 발간
    - 네트워크 구조분석 및 적용사례 분석 : 10편의 논문을 국제학술저널에 투고함
    - 한국산업생태계의 구조적 특징 및 성과 분석 : 저서 2편 포함 14편의 논문을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투고함
    - 네트워크 상호작용 및 글로벌-로컬 파급효과 분석 : 11편의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투고함
    - 한국 산업생태계의 공생성 및 분배구조 분석 : 9편을 학술지에 게재함
    - 한국산업생태계의 성과 분석으로 일자리 창출 및 임금효과 분석 : 15편의 논문을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투고함
    -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한 중소기업 기술혁신 연구 : 저서 2편을 비롯하여 6편의 논문을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에 투고함
    □ 정책연구 활용 및 연계활동 요약
    ○ 본 연구단은 현대차글로벌경영연구소에 ‘한국 제조업 생태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중소기업 공생적 발전방안’ 정책보고서를 제출함.
    ○ 본 연구단은 국책연구기관 및 기타 기관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연구성과를 확산시킴
    - 2019년 중소기업연구원의 “자동차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내연기관 부품제조 중소기업 지원” 연구과제 관련 전문가 간담회에서 자문으로 참여하여 자동차산업 협력기업의 출구전략 마련을 위한 방안을 발표함
    - 2018년 부산상공회의소에 “르노삼성자동차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 심상정 의원실에 “자동차산업의 생태계 현황 및 위기 분석” 및 “전기자동차의 보급현황과 과제”를 제출하여 자동차산업의 현황과 미래자동차 산업을 위한 대응방안을 제시함.
    - 본 연구단은 2019년 경기연구원의 “경기도 제조업르네상스 추진전략 연구”에 참여하여 경기도 주요 산업의 거래네트워크 분석에 참여하고 있으며, 지역거래네트워크에 토대를 둔 “거래네트워크에 근거한 지역 클러스터 분석” 과제를 통해 정부의 지역특화 산업 선정 및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네트워크, 산업생태계, 기술혁신, 공생, 공급사슬, 가치사슬, 대기업, 중소기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