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한 공유가치창출
Creating Shared Value through Smart Tourism Ecosystem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연구과제번호 2016S1A3A2925146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남호
연구수행기관 경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구철모(경희대학교)
양성병(경희대학교)
홍태호(부산대학교)
이팜
윤아영(경희대학교)
함주연(경희대학교)
이선영(경희대학교)
William C. Hunter(경희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단의 비전은『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한 新 성장동력 확보 및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중형단계의 목표는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한 공유가치창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 생태계의 구성요소, 평가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관광생태계 가치 창출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스마트관광생태계는 스마트 기기의 발전과 관광공급 사슬과 함께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다. 스마트관광생태계 이해라는 주제 하에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 증강현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온라인 리뷰와 콘텐츠 등의 UGC(User-Generated Contents) 등 특정 정보 기술, 온라인 플랫폼 및 콘텐츠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행동을 연구한 미시적 수준의 연구로, 생태계 관점에서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현재 본 연구소의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스마트관광에 대한 개념화와 모델 형성, 스마트관광 지수개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은 미시적 관점의 연구가 더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관광 콘텐츠와 정보기술 그리고 정부-지자체의 관광산업 분야의 이해당사자 생태계와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에 응용적 이론을 적용한 통합적 연구구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기반연구를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평가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경쟁력 개발 및 실증 연구와 스마트관광 경제성평가를 응용연구로 진행하여 스마트관광생태계 공동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선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단은 소형단계에서의 스마트관광생태계 개념 창출, 분석 등과 관련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학제 간 및 국제적 융합 연구를 진행하고 스마트관광생태계를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연구단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동가치를 창출하고 스마트관광을 이끄는 연구단으로 역할을 할 것이다.
    관광산업은 현 고용없는 저성장 시대에 주목을 받고 있으며, 국가 경제의 新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관광산업은 국가 또는 지역의 다양한 유․무형의 자원을 기반으로 서비스 생산체계를 구축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네트워크형 비즈니스 생태계이므로 다른 업종과 동반 성장이 가능하다(전효재, 2012). 또한 관광산업은 성장잠재력이 크고 타산업과 연계되어 고용창출과 경제적 효과가 크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유망 서비스 산업이다(주영민 등, 2011). 현재 한국의 관광산업은 관광객 수, 사업체 수의 증가 등 외형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나 그 경쟁력 수준은 높지 않다. 한국의 관광경쟁력은 141개국 중에서 29위,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6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ICT 준비성은 141개국 중 1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World Economic Forum, 2015), 스마트관광에 강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마트관광생태계는 각자의 이해관계를 가진 구성체들이 협력 및 협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관광생태계는 “지능적 관광 서비스나 경험의 창출, 관리, 전달에서 스마트 기술의 이점을 가진 관광 시스템이며 집약적 정보 공유와 공유 가치의 창출을 특징으로 한다” (Gretzel et al., 2015, p. 560). 이러한 공유가치 창출은 비즈니스 생태계 내의 다양한 사회적 니즈를 고찰한 후 기존의 가치사슬을 재규정하여 이를 새롭게 다시 편성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다(김세중 · 박의범, 2012). 이는 생태계 내 비즈니스의 형태 및 기술의 혁신을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 이익과 새로운 시장기회가 창출된다(김세중 · 박의범, 2012). 즉 스마트관광생태계 공유가치 창출은 스마트관광생태계 내 사회적 약자와 함께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해 공유가치를 창출하여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 먼저 각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단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경쟁력과 경제성을 평가할 수 있는 과학적 지수를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여 한국의 관광경쟁력 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을 구축하여 창조경제를 선도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기반연구, 응용연구, 정책마련연구의 총 세 단계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기대효과
  • □ 학술적 기대 효과
    ○ 스마트관광생태계 과학적 근거 제시: 본 연구는 기존에 명확히 이해되지 않았던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측정하고 활용하기 위한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은 그간 스마트관광에 대해 미시적이며 단편적으로 이루어진 기존 연구를 보완한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 진보한 연구로 여겨질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통해서 한국이 가진 스마트관광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한국의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방법론 융합 및 연구범위의 확장: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생태계를 구성하는 개인 및 조직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 빅데이터 분석, 소셜네트워크 분석, 설문조사 등 다양한 관점과 연구방법을 융합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단은 이들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 경쟁력 지수 및 비교연구, 경제성 평가 등의 평가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스마트관광생태계가 어떻게 평가되어야 되는지 고찰하고 이를 통해 공동가치 창출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기존 연구범위를 확장하고, 연구방법을 구축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 사회적, 정책적 기여
    스마트관광생태계는 과학기술 산업과 관광 산업의 융․복합적 관점에서 살펴봐야하며, 이에 정책 수립에 있어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와 기초자료가 필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단의 연구 성과는 스마트관광생태계를 구성하는 정부, 지자체, 관광 기업 등에게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 가치창출을 위한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 콘텐츠 개발 및 적용의 방향성 및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로써, 스마트관광객의 행동, 스마트관광 기술의 영향, 스마트관광의 조직적 영향 분석을 실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스마트관광 발전을 통한 글로벌 관광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선도국가로의 도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실현가능성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 창출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방법과 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구성요소 분석, 평가 메커니즘 구축을 하고자 하며, 이러한 과정에 탁월한 학술적 경험과 능력을 가지고 있는 문화관광산업, 경영전략, 관광 콘텐츠/미디어, 경영공학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연구단의 목표 실현의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이미 본 연구단은 소형단계에서도 우수한 연구 실적을 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 참가 및 자체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더불어 각종 스마트관광 관광 관련 정책 개발 및 사업 기획에도 능동적으로 참여해왔으며, 소형단계에서 설립한 ‘경희대학교 스마트관광연구소(Smart Tourism Research Center)’를 성공적으로 운영해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구 토대를 바탕으로 중형 단계의 연구 계획도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연구요약
  • 최근 정보 기술의 발달로 인해 관광 분야에서도 스마트폰, 비컨(beac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온라인 여행 사이트(Online Tourism Agency, OTA) 등 최첨단 정보통신기술과 온라인 플랫폼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관광객들과 관광 기업은 이러한 정보통신기술 및 온라인 플랫폼으로부터 적지 않은 이점을 누리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무분별한 정보통신기술 도입, 수수료 부과, 구매 취소로 인한 비용 증대와 상품 가치 소멸 등의 문제점 또한 겪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정보통신기술은 소비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도메인, 기술 간의 매칭에 대한 효과성 검증이나 깊은 탐색 없이 무분별하게 도입 및 적용되고 있으며, 관광 기업의 경우 OTA 사용으로 인한 최대 20%의 수수료 부과 의무 및 모바일을 통한 관광 상품 구매 취소 증가로 인한 비용 증가 및 상품 가치 소멸 등의 문제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기술의 이점을 바탕으로 지능적 관광 서비스나 경험을 창출·관리·전달하고, 집약적 정보 공유와 공동 가치 창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관광생태계(Gretzel et al., 2015)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관광객과 관광 기업이 스마트 기술 앞에서 직면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관광산업의 선순환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스마트관광생태계는 그 실체를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Gretzel et al., 2015), 그 구성요소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개발과 경제성을 평가하는 메커니즘 개발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한국 관광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고부가 가치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스마트관광 생태계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생태계를 평가하는 메커니즘을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동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즉, 본 연구는 단순히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연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평가 가이드라인을 적용 및 평가를 하여 한국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기반연구] 스마트관광생태계 구성요소 모형화
    스마트관광생태계 내 구성요소들을 이해하는 방법 중 하나는 온라인에 방대하게 축적된 데이터의 분석이다. 이러한 빅데이터 환경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객의 온라인 리뷰를 분석한다면 스마트관광객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이 아니라 스마트관광생태계를 구성하는 정부, 지자체, 타사업, 관광기업 등에 대한 조직적 관점에서 전략을 분석하고, 그들의 협력 네트워크를 분석한다면 스마트관광생태계에 어떻게 작동되고 공유가치가 어떻게 생산되며 전파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응용연구] 스마트관광생태계 평가 메커니즘
    스마트관광은 그 정의와 범위가 방대하고 복잡하다.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경쟁력과 가치, 전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 스마트관광의 수요를 과학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스마트관광과 관련된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정책적 제안 및 생태계 내 구성요소들의 사회적 니즈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 창출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단은 시계열 데이터, 산업연관표, 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여 스마트관광의 가치를 추정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며, 보다 면밀한 수요예측을 진행할 계획이다.

    [정책마련연구] 스마트관광을 통한 정책 개발
    기반연구와 응용연구로 확보한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그 평가 메커니즘의 구축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한 공유가치창출의 방안과 관련한 정책마련 연구는 국내관광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국가 경쟁력 구축을 위해 필요하다. 글로벌 스마트관광의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이를 한국에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 관광정책을 제시하는 것이 정책마련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소의 기반연구 및 응용연구에서 진행한 실제 데이터 기반의 연구 결과는 기존의 부정확한 예측 연구들과는 달리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책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최적화된 전략적인 관광 정책연구를 제안하여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스마트관광 생태계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협력 및 협동으로 이루어지며, 지능적 관광 서비스나 경험의 창출, 관리, 전달에서 스마트 기술의 이점을 가진 관광 시스템으로 집약적 정보 공유와 공유 가치의 창출을 특징으로 함(Gretzel et al., 2015, p. 560). 공유가치 창출은 생태계 내 비즈니스의 형태 및 기술의 혁신을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 이익과 새로운 시장기회를 창출함. 즉, 스마트관광생태계 공유가치 창출은 스마트관광생태계 내 사회적 약자와 함께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것임.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해 공유가치를 창출하여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 먼저 각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이에 본 연구단은 기존의 관광 콘텐츠와 정보기술 그리고 정부-지자체의 관광산업 분야의 이해당사자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에 응용적 이론을 적용한 통합적 연구구성의 필요성을 절감함.
    본 연구단의 중형단계 연구 목표는 스마트관광생태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유가치 창출을 실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구성요소 모형화 및 스마트관광생태계 평가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공유가치창출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하였음.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단은 경영정보학, 관광학, 사회학, 언론학 등 스마트관광생태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자들간의 공동연구를 진행하였음. 또한, 본 연구단은 정부기관(한국관광공사), 지자체(서울시, 제주도), 관광기업(이즈월드와이드), 대학(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Nankai University, 대구대학교 등), 협회((사)한국관광스타트업협회) 등과 연구협력을 맺고, 기반연구, 응용연구, 정책마련연구의 총 세 단계로 연구를 진행했음.
    기반연구에서는 오피니언 마이닝 기법과 이미지 마이닝 기법을 도입하여 온라인 리뷰를 분석하고, 에스노그라피를 기반으로 스마트 관광객을 분석하는 ‘스마트관광생태계 구성요소 모형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응용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 경쟁력을 개발할 수 있는 평가지수를 구축하고, 스마트관광의 경제성을 가치추정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통해 파악하는 ‘스마트관광생태계 평가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마지막으로, 기반연구와 응용연구의 결과를 토대로한 정책마련연구에서는 스마트관광생태계를 이론화하고, 공유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위한 ‘스마트관광 정책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음. 그 결과 중형단계 3년간 국제전문학술지 24편(SSCI급 22편, SCIE급 2편), 국내전문학술지 52편(연구재단등재지급), 전문학술도서 3권의 연구실적과 167건의 학회, 세미나, 포럼 등 네트워킹 실적을 달성하는 성과를 거두었음.
  • 영문
  • Smart tourism ecosystem is made up of the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and is characterized by intensive information sharing and the creation of shared value as tourism system that has the advantage of smart technology in the creation, management and delivery of intelligent tourism services or experiences. Creating shared value inevitably leads to innovations in business and technologies within the ecosystem, thereby creating social benefits and new market opportunities. In other words, creating shared value of smart tourism ecosystem is to create and share economic profits and social values together with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 the smart tourism ecosystem.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shared value through such smart tourism ecosystem and to build Korea’s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each component.
    The research goal of the past three years is to realize the creating of shared value through research on smart tourism ecosystem. For that, we conducted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the mechanism of evaluation of the smart tourism ecosystem, and proposed a policy for the shared value creation of the smart tourism ecosystem. We also conducted research with numerous professional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that make up the smart tourism ecosystem such a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tourism, sociology and journalism. We have signed MOUs with various institutions including Korea Tourism Organiz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Nankai University, Daegu University, and so on. Based on the research networking, we conducted the research in three stages: (1) basic research (2) applied research, and (3) policy research. In the basic research stage, we focused on ‘modeling of smart tourism ecosystem component’. Opinion analysis and image mining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online review, and Ethnography was used to analyze smart tourists. In the applied research stage, focusing on ‘smart tourism evaluation mechanism’, we tried to develop the smart tourism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and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of smart tourism and its’ economic ripple effect. In policy research sta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tried to theorize the smart tourism ecosystem and present policy suggestions to create shared value.
    As a result, we archived up to 139% superior to the research plan with 24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professional journals (22 in SSCI and 2 in SCIE), 52 in Korean professional journals and 3 boo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스마트관광 생태계는 각자의 이해관계를 가진 구성체들이 협력 및 협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능적 관광 서비스나 경험의 창출, 관리, 전달에서 스마트 기술의 이점을 가진 관광 시스템으로 집약적 정보 공유와 공유 가치의 창출을 특징으로 함(Gretzel et al., 2015, p. 560). 공유가치 창출은 생태계 내 비즈니스의 형태 및 기술의 혁신을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하고, 이를 통해서 사회적 이익과 새로운 시장기회를 창출함. 즉, 스마트관광생태계 공유가치 창출은 스마트관광생태계 내 사회적 약자와 함께 경제적 이윤과 사회적 가치를 함께 만들고 공유하는 것임.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통해 공유가치를 창출하여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서 먼저 각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이에 본 연구단은 기존의 관광 콘텐츠와 정보기술 그리고 정부-지자체의 관광산업 분야의 이해당사자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개념을 바탕으로 스마트관광에 응용적 이론을 적용한 통합적 연구구성의 필요성을 절감함.
    본 연구단은 스마트관광생태계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기반연구를 토대로, 스마트관광생태계를 평가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경쟁력 개발 및 스마트관광 경제성평가를 통해 스마트관광생태계 평가 매커니즘을 개발하는 응용연구, 그리고 스마트관광생태계 공동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선도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정책마련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음. 그 결과, 3년간의 중형단계 연구 기간 동안 국제전문학술지 24건(SSCI급 22편, SCIE급 2편), 국내전문학술지 52건(연구재단등재지급), 전문학술도서 3권의 성과를 달성함으로써 연구성과 계획대비 최대 139%의 우수한 성과를 달성함. 특히 SSCI급 국제전문학술지에 3년동안 연구계획대비 평균 125%의 성과를 달성함으로써 양적 및 질적으로도 연구 계획 이상의 성과를 달성함.
    구체적으로 중형 1년차에는 본 연구단의 취약점으로 지적받아온 스마트 관광의 이론화에 명확한 근거부재를 해결하고자 함. 데이터 크롤링(Data Crawling)을 활용한 온라인 리뷰 수집 및 분석, 스마트관광 기술의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들을 진행하여 호스피탈리티 및 관광 분야, 정보시스템 분야의 세계적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음. 또한, PACIS 2016, APTA 2017, ICEC 2017 등 다수의 국제 학회에서 연구를 발표하였음.
    중형 2년차에는 본 연구단의 취약점 중 하나인 ‘스마트관광 생태계를 통한 공유가치 창출’이라는 아젠다와의 약한 연결성과 구체적인 연구주제의 설정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관광생태계가 무엇이며, 공유가치 창출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한 연구를 진행함. 구체적으로, 스마트관광생태계와 공유가치창출에 대한 연구인 ‘스마트 관광 생태계 분석을 통한 공유가치 창출 방안’이라는 연구를 서비스경영학회지(KCI급)에 게재하였으며, 거시적인 생태계적 관점에서 스마트관광 생태계를 이해하기 위해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를 사용하여, 스마트관광 생태계의 구조적 특징과 구성요소들의 역할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봄. 또한, 관광분야 최고의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Journal of Travel Research에 논문을 게재함.
    중형 3년차에는 본 연구단이 설정한 아젠다 달성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이론화를 보강하고,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간의 융합을 통한 구체적인 결과물을 도출함. 특히, 스마트관광의 필요성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스마트관광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가상가치 평가 등 스마트관광의 경제성을 평가한 연구를 진행하여 결과를 발표함. 본 연구단의 연구성과는 연구계획을 크게 초과달성하였으며 정량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측면에서도 크게 성장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관광공사, 지자체(서울시, 제주도), 기업체(이즈월드와이드 등) 등 다양한 스마트관광생태계의 이해관계자들과 협약을 맺고 연구소의 자생력을 담보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수주·진행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센터는 중형단계 때의 연구 성과 및 연구 네트워크를 토대로 스마트 관광도시 관련 세계적 수준의 연구 허브로 대형 연구센터를 활용할 계획임. 구체적으로 스마트관광도시에 대한 다학제적인 이론적 접근과 이를 바탕으로 한 실천과 확산을 통해 스마트관광도시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를 선도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국내·외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여 본 연구단의 연구 성과의 국제적 확산을 도모하고자함.
    본 연구단은 소형과 중형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온 “스마트관광”이라는 연구주제를 통한 포괄적·실천적 성과를 내기 위해 “스마트관광도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실천과 확산”이라는 연구목표와 비전으로 확장· 발전시킴
    구체적으로 1년차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스마트관광도시 발전모델 개발을 큰 축으로하여 각 연구분야별로 SDGs 이행에 필요한 주요 특징들을 분석하고 해당 연구분야별로 기초 데이터베이스를 수집함. 또한 스마트관광 발전모델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성과측정, 문제진단, 모델 초안 개발 등을 수행할 예정임. 2년차에는 지속가능한 스마트관광도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표 도출을 위해 데스트베드를 선정하여 한국의 주요 현안인 스마트도시와의 접목가능성을 다룸. 이는 3년차 연구의 핵심인 국내적용과 포괄적 검증을 위한 토대연구로 활용할 예정이며, 한국형 스마트관광도시의 발전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 대형 4년차 연구는 스마트관광도시의 발전모델을 글로벌 확산하기 위해 연구분야별로 구체화시킴. 대형 1~3년간 연구결과들을 주요 SSCI 논문출간 및 해외학회를 통해 발표함으로써 한국형 스마트관광도시의 글로벌 확산을 제고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 스마트관광도시 발전모델의 국내외 이행과 스마트관광의 효과성을 확산시키고자 함.
    또한, 융합연구를 위한 ‘융합연구위원회’, 사업단의 성과를 소셜 미디어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홍보하는 ‘성과확산팀’, 그리고 차세대 학문세대 육성을 위한 ‘STRC Youth-Labs'를 활용할 계획임. 또한, ‘외부협력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본 사업단을 적극 활용할 계획임. 본 연구단은 지난 6년간 소형, 중형단계에서 국내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있으며, 이들과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대형단계에서 연구센터의 활용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색인어
  • 스마트관광생태계, 공유가치 창출, 경쟁력 강화, 지속가능발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