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또래 협력활동에서 집단구성방법에 따른 유아-유아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 분석
Analyzing difference on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p composition method in peer collaborati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우수논문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A2A02926658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11월 01일 ~ 2017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정언
연구수행기관 국립부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그 동안 많은 학자들이 유아 또래 협력활동의 이점을 강조해왔다.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또래 협력과정에서 유아 간에 주고받는 도움과 지지가 유아의 인지 및 사회·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권혜진, 2006; 박정언, 2013; Fawcett & Garton, 2005). 그러나 또래 협력의 결과를 확인하는 연구물에 비하면 또래 협력의 과정에 관심을 두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협력활동 내용이나 협력집단의 형태에 따른 또래 간 지지와 도움 등의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사실, 유아들을 단순히 짝 혹은 집단을 이루어 함께 활동하게 하는 것만으로 협력활동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다는 보장은 없다. 따라서 협력활동에 관한 연구들은 협력적 상호작용이 일어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원리나 방법에 관심을 두어 왔다. 그 일환으로 협력집단의 구성에 관한 연구물들이 있다. 즉, 어떤 기준으로 집단을 구성하면 보다 많은 상호작용이 유발될 것이며 그로 인해 보다 더 많은 긍정적 효과를 담보할 수 있는 것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들이다. 예를 들어, 협력집단 구성을 유아의 성, 능력, 성향이 비슷하게 동질적 구성을 하는 것이 좋은지 서로 다르게 이질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은지를 검증한다. 동질집단구성과 이질집단 구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존재하나 최근 다수의 연구자들은 이질집단 구성이 유아의 과제수행에 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특히, 학습자의 인지적 능력 면에서의 이질집단 구성이 효과적임을 보고하는 연구들이 많았다(김덕건, 고광태, 정상녀, 1999; 김덕근, 김판희, 1998; 송희정, 2007; 윤재희, 1995; Gauvain & Rogoff, 1989; Tudge, 1992).
    그런데 최근 들어 이질적 협력집단 구성의 기준으로 인지적 수준 및 성 이외에 유아의 사회적 기술 혹은 사회성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는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 연구들은 또래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시 인지적 수준 이외에 사회적 발달 수준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보다 세부적인 차원에서의 또래간 상호작용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인지적 발달수준에 따른 이질집단 구성과 사회적 발달수준에 따른 이질집단 구성의 협력활동을 통한 상호작용은 같은 양상을 보일 것인지 혹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것인지 예측하기 어렵다. 또한 협력집단 구성에 따른 상호작용을 연구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양적인 데이터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깊이있고 세부적인 질적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는 유아-유아간 상호작용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가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유아의 인지적 발달수준 및 사회적 발달수준에 따른 이질집단을 각각 구성하여 두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아들간의 상호작용 빈도와 상호작용 양상의 차이를 심도 있게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는 유아들의 또래협력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힘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또래협력 집단 구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첫째, 인력양성, 교육과의 연계 및 활용 측면에서의 기대효과이다.
    협력활동이 유아발달 및 교육의 다양한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증가함에 따라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협력활동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나희주, 1998), 협력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교사들은 어떤 기준으로 협력 집단을 구성해야 하는지 그 기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추후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협력활동을 실시하기 위한 집단구성방법의 준거 및 각 준거에 따른 유아 상호작용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는 협력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교사 연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문적 기여도 측면에서 후속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그 동안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방법에 대한 연구들은 집단구성 조건으로 유아의 인지적 발달 수준을 중점적으로 탐색해 왔다. 최근 들어 유아의 사회성이 집단구성 조건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그 양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좀 더 다양한 연구설계로 축적된 연구물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뿐만 아니라 그간 유아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방법의 탐색 연구들은 양적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유아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방법이 유아의 과제 수행력이나 제 발달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검증해 주고 있지만 기제에 대한 과정을 탐색하기에는 부족했다. 따라서 추후 연구는 또래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방법의 기준에 대한 고민 뿐만 아니라 협력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유아간 상호작용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를 더욱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현대 사회에서 개인주의가 팽배해지고 핵가족화로 인한 생활구조로 유아들은 함께 어울려 생활하는 공동체의 미덕을 배울 기회가 적고, 유아는 자기 중심적인 발달 특성상 협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유아는 사회 속에 살면서 사회성은 반드시 배워야 할 기술이다. 협력활동을 통해 유아는 또래를 경쟁자로 생각하지 않고 함께 활동하고 과제를 수행해야하는 협력자로 생각하게 되면서 또래 간 유대감과 친밀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는 협동활동 과정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돕고 배려하는 등의 다양한 사회적 기술을 익히게 된다. 따라서 또래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구성방법의 조건으로 사회성을 고려해야 함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은 유아 협력활동을 위한 실천적인 시사점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 참여자

    추후 연구는 B 도시의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 중 10명은 사회적 수준을 통제한 후 인지적 수준을 근거로, 나머지 10명은 인지적 수준을 통제한 후 사회성 수준을 근거로 각 5쌍의 이질집단을 구성할 것이다.

    2) 연구도구

    (1) 집단구성을 위한 유아의 인지능력 및 사회성 확인 검사 도구
    ① 유아의 인지능력 확인을 위한 검사 도구
    유아의 인지적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유아의 수학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도 인지능력을 근거로 집단을 구성하고자 할 때 인지검사 혹은 수학능력 검사를 사용하여 집단을 구성하는 연구들이 많았기에 추후 연구에서도 유아의 수학능력 검사도구를 사용여 개별 유아의 인지적 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② 유아의 사회성 확인을 위한 검사 도구
    유아의 사회성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유아의 사회적 기술 검사 도구를 사용하고자 한다. 기존의 사회성을 근거로 쌍 집단을 구성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나 사회적 능력 검사 등을 토대로 쌍 집단을 구성한 바 이에 근거하여 개별 유아의 사회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 또래 협력활동 중에 나타나는 상호작용 양상 분석 준거
    또래 협력활동 중에 일어나는 유아-유아 상호작용 양상은 두 가지 측면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추후 연구는 인지적 수준과 사회성 수준을 근거로 각각의 협력활동 집단을 구성하여 두 집단의 유아-유아 상호작용 양상의 빈도와 질적 차이를 분석할 것이기에 상호작용 양상의 분석 준거도 인지적 요소에 초점을 맞춘 과제초점 행동의 상호작용 양상과 사회성 요소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행동의 상호작용 양상 분석 준거를 토대로 내용을 정리하고 분석범주를 추출하고자 한다.

    3) 연구절차

    (1) IRB 심의
    실험에 앞서 B 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과 교사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연구에 참여를 허락하는 만 5세 유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유아의 연구 참여 동의서에 서명을 받은 뒤 IRB 심의 및 승인을 받을 것이다.

    (2) 검사자 훈련 및 예비연구
    검사자는 연구자와 연구대상 담당학급 교사 2인과 연구보조 2인으로 예상된다. 연구자는 검사자에게 검사 도구의 구성과 내용, 방법 및 채점 기준을 안내한 후, 최종 연구참여자가 아닌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녹화할 것이다.

    (3) 집단구성을 위한 개별검사 실시 및 집단 구성
    또래 협력활동의 집단구성을 위해 연구 참여자 유아를 대상으로 개별 인지 능력 검사와 사회성 검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측정된 검사 점수 결과에 따라 한 학급은 인지능력 검사 점수를 토대로, 다른 한 학급은 사회성 검사 점수를 토대로 상위 30% 집단과 하위 30% 집단에서 임의로 한명씩 추출하여 이질집단을 구성할 것이다.

    (4) 또래 협력활동 실시 및 동영상 촬영
    각 학급별로 인지적 수준과 사회성 수준을 근거로 이질집단이 구성되면 또래 협력활동을 실시하는데 이 또한 독립된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 쌍의 유아는 독립된 공간으로 안내를 받은 다음 나란히 앉아 협력활동을 실시하게 될 것이다. 또래 협력활동은 10회 정도 실시할 예정이고, 모든 또래 협력활동의 과정은 동영상 촬영으로 녹화 및 녹음을 실시할 것이다.

    4) 자료분석

    (1) 상호작용 양상의 빈도 분석
    또래 협력활동을 통해 인지적 수준 및 사회적 수준에 따른 집단별 유아-유아 상호작용 양상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2) 상호작용 양상의 질적 분석
    유아-유아 상호작용 양상을 최대한 반영하고 그들의 상호작용을 심도 깊게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벼행하고자 한다. 수집된 동영상 자료들을 전사한 다음, 반복적으로 정독하면서 줄 단위 분석을 하여 범주를 만들어 나가고 각 내용에 따라 다시 하위 범주를 만들 것이다. 하위 범주가 구성되면 이를 토대로 동영상과 전사본을 함께 보며 상호작용 사례를 해석하는 작업을 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이질집단구성으로 쌍 구성을 하여 유아 또래 협력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B시에 거주하고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이다. 쌍 집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아의 상호 작용 행동 검사와 유아의 수학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수준을 상-하로 나누어 인지적 수준의 상-하, 사회성 수준의 상-하로 각기 다른 성질의 이질적 쌍 집단을 구성한 다음 색종이 접기 활동을 실시하게 히였다. 연구 결과 각 집단에서 또래 상호 작용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 characteristics on peer interactions during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two kinds of group composition.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five-year-olds and attended kindergarten in B city,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for dyad pairing were peer interaction behavior test and children matheatics ability test. After dyad composition, each dyads attended peer collaborative activity which is folding colored pap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dyad groups of peer intera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두 종류의 이질집단구성으로 쌍 구성을 하여 유아 또래 협력활동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또래 상호작용의 양상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B시에 거주하고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 5세 유아이다. 쌍 집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유아의 상호 작용 행동 검사와 유아의 수학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토대로 유아의 수준을 상-하로 나누어 인지적 수준의 상-하, 사회성 수준의 상-하로 각기 다른 성질의 이질적 쌍 집단을 구성한 다음 색종이 접기 활동을 실시하게 히였다. 연구 결과 각 집단에서 또래 상호 작용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분석 막바지 단계에 있으나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활용계획을 살펴보면 우선 인지적 수준의 집단과 사회적 수준의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아-유아 상호작용의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이로서 유아교사가 현장에서 유아의 협력활동을 위한 집단을 구성할 때 그간 중점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유아의 인지적 수준만이 아니라 사회적 수준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 협력활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어떤 기준으로 협력집단을 구성해야 하는지의 다양한 기준에 대한 안내를 제시하는 교사연수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집단구성방법으로 사회적 기준의 긍정적 영향을 통해 유아들의 사회성 발달에 대한 중요성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 및 사회정서적 발달에 대한 교육적 시사를 제안하며, 협력을 위한 사회성 발달 관련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협력집단구성방법으로 사회성이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여 서로 다른 기준의 협력집단을 비교하여 각 집단의 효과를 비교하거나, 서로 다른 집단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심도있게 탐색하는 질적 연구를 실시하는 향후 연구의 이론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또래 협력활동, 또래 상호작용, 쌍집단구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