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과 중국 강남지역 전통 사찰의 문화경관 연구
A Study on Cultural Landscape of Traditional Temple in Korea and China’s JiangNan A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글로벌연구네트워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6S1A2A291225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권석환
연구수행기관 상명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과제진행현황 진행중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국의 전통 사찰(traditional temple) 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지만 중국과도 다른 고유한 문화경관을 가지고 있다. 그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한국의 전통 사찰과 중국 사찰의 공간배치와 미학적 관점의 차이가 무엇인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의 강남지역(JiangNan -江蘇省JiangSu Province, 浙江省 Zhejiang Province)의 사찰은 고려(高麗Goryeo dynasty)시대 이후 불교 교류가 매우 빈번했고, 한국 전통 사찰의 창건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강남 지역 사찰과 관련성이 깊은 한국의 화엄십찰(avatamsaka Shicha 華嚴十刹), 관음도량(觀音道場Goddess of Mercy temple : Bodhimanda), 그리고 최치원(崔致遠)의 사산비명(四山碑銘 Four Mountains inscription)사찰에서 10대 사찰을 설정하고, 중국 강남지역 10대 사찰과 그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의 특징을 비교 연구하려고 한다. 한국과 중국 사찰의 문화경관은 물리경관(物理景觀 physical landscape)과 심상경관(心象景觀 mental imagery landscape)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사찰의 건축물과 부속 유물 등의 구조와 배치를 통하여 그 물리경관을 파악하고, 이어서 건축제기(Building Inscription), 편액(Horizontal inscribed boards), 주련(Couplets), 석각(石刻 stone inscription), 탑명(The epitaph) 비문(碑文 Epigraphs),설화(Folktale), 팔경시(八景詩 Eight landscape Poems), 유람시문(遊覽詩文 Tour Poems and prose) 등의 텍스트를 통해 그 심상경관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것을 통하여 한국 전통 사찰의 문화경관의 특징이 무엇인가를 밝히려고 한다.
  • 기대효과
  • 한국 전통 사찰의 문화경관 분야의 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 발굴
    한국 전통 사찰의 문화경관적 가치해석을 위한 주요경관요소 발굴과Creteria 제공
    한국의 7개의 전통산사의 2018년 세계유산에 등재를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
    한국 전통 사찰의 문화경관과 생태환경 복원의 이론적 기초 제공
    한국 전통 사찰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관광자원화의 토대 마련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강남 지역 전통 사찰의 심상경관과 물리경관을 고찰하려고 한다. 그 구체적인 연구는 다음과 같다.
    연구1: 한국과 중국 강남 사찰의 심상경관 연구
    한국과 중국 강남의 사찰의 편액, 주련, 석각 ,비문의 비교 고찰
    한국과 중국 강남의 사찰의 건축제기, 설화의 비교 고찰
    한국과 중국의 강남 사찰의 유람시문의 비교 고찰
    연구2: 한국과 중국 강남사찰의 물리경관 연구
    한국과 중국 강남사찰의 자연환경의 비교 분석
    한국과 중국 강남사찰의 공간배치 및 조성기법의 비교 고찰
    한국과 중국 강남사찰의 경관 조성의 비교 고찰
    한국과 중국 강남사찰의 풍수지리의 비교 고찰
    연구3: 한국의 전통사찰의 문화 경관의 특징 연구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전통사찰의 입지 특성
    사찰의 교리적 특성과 배치의 상호관계
    사찰의 장소성이 사찰의 다양한 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찰의 중정공간(Courtyards)의 위요감(D/H ratio)과 시각적 특성 분석
    사찰의 공간 구성 요소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