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수주산업 회계정보의 가치관련성
The Value Relevance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Contract Industrie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20622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하순금
연구수행기관 동아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세계적인 경기침체와 유가하락은 국내의 조선, 건설을 포함한 수주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하고 있으며 수주산업의 부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주산업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회계학이 명실상부하게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사회과학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 회계실무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가 있을 것이다.
    첫째, 학술적 측면에서 현재 세간에서 뜨거운 관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수주산업의 회계문제를 다룸으로써 회계학이 실사구시하는 학문이자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임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소홀했던 주제를 본 연구에서 처음 다룸으로써 가치관련성 연구주제를 풍부히 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문제를 미래 연구의 나침반으로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둘째, 회계실무적 측면에서 수주산업 경영자와 회계담당자, 그리고 회계감사인에게 미청구공사가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계정과목임을 실증적으로 증명함으로써 이들의 회계처리와 회계감사에 대한 업무민감도를 높이고 회계윤리의식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논리적 근거로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미청구공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 예상손실의 신뢰성 있는 추정을 가능케하는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의 개선을 위한 근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회계정책적인 측면에서 금융감독원이 투자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2016.01.01.부터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의무화한 정책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이 입증된다면 정책당국의 조치는 정보비대칭과 회계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이었음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미청구공사를 재무제표 및 주석에 공시한 비금융업을 대상으로 수주산업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방법은 Ohlson 모형(1995)을 기초로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한 모형이다. 가치관련성 연구에서는 회계정보가 주가 등으로 측정된 기업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되면 해당 회계정보가 가치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Barth et. al. 1998).
    선행연구는 지분법평가손익, 연구개발비, 자산재평가차액, 수주산업의 파생상품평가손익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주산업의 미청구공사가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매출채권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치관련성 선행연구와 동일한 맥락에서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수주산업의 미청구공사는 일반매출채권보다 긴 회수기간, 불리한 대금결제 방식, 미래 예상손실 반영의 주관성, 공사대금청구 당시의 유가나 환율의 변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회수가능성의 불확실성이 높은 계정과목이다. 따라서 미청구공사는 회수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자산의 본질인 미래 경제적 효익, 즉 미래 현금창출능력이 다르게 평가될 수 있고 이는 곧 기업가치(주가)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가설 1: 회수가능성 정도에 따라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은 차이를 보일 것이다.

    Aboody et al.(1999)는 자산재평가차액의 가치관련성이 순자산의 가치관련성 보다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최종서·공경태(2014)는 K-IFRS 도입 이후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 기업의 가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감가상각정책을 변경한 기업의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은 저하되는 반면 순자산의 가치관련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이 낮아진 점은 회계변경을 통하여 감가상각비가 축소 혹은 증가되고 보고이익은 개선 혹은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나 이러한 변화에 상응하는 과세소득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아 조세부담에 따른 현금흐름효과와 보고수치 변화 사이에 괴리가 발생하여 이익수치의 가치관련성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미루어 보아 미청구공사는 직전년도보다 증가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사이에 가치관련성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왜냐하면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경우 순자산의 장부가치가 증가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지만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설2를 설정한다.

    가설 2: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순자산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과 차이를 보일 것이다.

    송인만, 최관(1992)은 회계처리방법의 변경으로 인한 당기순이익의 증감액은 주식수익률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윤순석(1997)은 특별상각을 실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주가반응을 검토한 결과 특별상각에 대한 정보는 주주총회일에 주가에 양의 방향으로 반영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앞서 언급한 최종서·공경태(2014)는 K-IFRS 도입 이후 감가상각방법을 변경한 기업의 가치관련성 분석에서 순이익의 가치관련성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가설2의 순자산의 가치관련성과 동일한 맥락에서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경우 순이익의 장부가치가 증가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지만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가설 3을 설정한다.

    가설3 : 직전년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순손익의 가치관련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과 차이를 보일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IFRS도입으로 수주산업의 재무제표에 신설된 계정인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청구공사는 발주처에서는 인식하지 않고 시공회사에서만 인식하므로 회수가능성 여부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 여부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다. 자료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비금융업 중 미청구공사를 재무제표 및 주석에 공시한 350개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주산업의 미청구공사는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이 높을수록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순자산장부가치는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순손익은 주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자산으로 인식한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회수가능성의 불확실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미청구공사 계정과목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므로 자산의 증가를 가져오는 부분에 대하여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경우 순자산장부가치가 증가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영문
  •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d the value relevance of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which was newly account in th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contract industrie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FRS.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is not recognized by ordering organization but is recognized only by the construction company. Therefore the value relevance will be different on the possibility of collect. In order to pursue, It empirically analyz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value relevance of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on the possibility of collect. The data are analyzed from 350 companies and years that have been disclosed in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in the annotations, among the non-financial businesse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and KOSDAQ market from 2010 to 201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ly,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of the contract industries has be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tock pric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collect on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is, the more significant it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stock price. Secondly, The BPS of a firm with an increase on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over the previous year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tock price, while the net profit/loss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stock price. These results show that only those parts of the capital market do not understand the uncertainty of the recoverability on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that is recognized as an asset or that do not understand on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account therefore it is positively recognition of only the portion of the increase of assets.
    In addition, firm with an increase construction in progress over billing over the previous year has a positive effect on enterprise value of increasing BPS. On the other hand, it is interpreted as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uncertainty about the recoverability of the construcion in progress over billing, causing negative effects on the actual business valu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IFRS도입으로 수주산업의 재무제표에 신설된 계정인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미청구공사는 발주처에서는 인식하지 않고 시공회사에서만 인식하므로 회수가능성 여부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 여부에 따라 가치관련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분석 한다. 자료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비금융업 중 미청구공사를 재무제표 및 주석에 공시한 350개 기업-연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주산업의 미청구공사는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이 높을수록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순자산장부가치는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순손익은 주가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자산으로 인식한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회수가능성의 불확실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미청구공사 계정과목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므로 자산의 증가를 가져오는 부분에 대하여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경우 순자산장부가치가 증가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IFRS도입 이후 수주산업에서 회수가능성이 불확실한 미청구공사가 주가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함으로써 회계학이 실시구시하는 학문이자 현실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임을 보여주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분석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수주산업 미청구공사의 가치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수주산업의 미청구공사는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이 높을수록 주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들이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회수가능성의 불확실성을 추정할 수 있는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기 때문에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자산으로 인식한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결과로 해석된다. 둘째,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순자산장부가치의 가치관련성은 증가한 반면 순손익의 가치관련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연도보다 미청구공사가 증가한 기업의 경우 순자산장부가치가 증가하여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미청구공사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 정도가 증가하여 실질적인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 회계실무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이 있다.
    첫째, 학술적인 측면에서 선행연구에서 다소 소홀했던 주제인데 본 연구에서 다룸으로써 가치관련성 연구주제를 풍부히 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문제를 학문의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해결하려고 시도함으로써 연구주제 선택에서 미래 연구의 나침반으로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둘째, 회계실무적 측면에서 수주산업 경영자와 회계담당자, 그리고 회계감사인에게 회계처리와 회계감사에 대한 업무민감도를 높이고 회계윤리의식을 제고하는데 필요한 논리적 근거로서 활용될 것이라고 본다. 또한 미청구공사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 예상손실의 신뢰성 있는 추정을 가능케하는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축과 운용의 개선을 위한 근거로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회계정책적인 측면에서 금융감독원이 투자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2016.01.01.부터 매출액 대비 5% 이상에 해당하는 수주계약에 대하여 개별공사별, 영업부문별로 진행률, 미청구공사 잔액, 공사미수금 등을 주석으로 공시하도록 의무화한 정책이 정보비대칭과 회계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이었음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수주산업, 미청구공사, 가치관련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