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 개발
Early intervention model for school absenteeism to prevent school-dropou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8-2017S1A5A8019900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05월 01일 ~ 2019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동하
연구수행기관 청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6-7만 명의 청소년들이 학교를 떠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학교로부터 이탈된 청소년들은 비행과 범죄의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교육기회를 상실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성인기의 경제적 어려움, 사회부적응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정부차원에서 학업중도탈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학업중단의 위험에 상당히 노출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적 개입에 치중되어 있으며, 예방 및 조기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과정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도탈락과 비행 및 범죄의 중요한 조기예측요인으로 학교결석에 주목하고, 국내의 학교결석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한편, 선진국의 학교결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형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의 학업중단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업중단으로 가는 발달경로의 출발점이자 청소년 문제의 중요한 예측요인인 학교결석에 대한 조기개입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학업중단을 예방하고 나아가 청소년 문제에 대한 보편적 예방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금까지 국내의 학업중단 관련 프로그램이 통제적·사후개입적 접근에 치중되어 있어 학업중단 예방에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될 학교결석에 대한 조기개입 모델은 우리나라 학업중단 및 기타 청소년 행동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결석에 대한 정확한 분석 자료도 갖추고 있지 못하며, 학교결석에 대한 정책적 접근도 학업중단정책, 부모 학대 및 방임 관련 정책, 교육정책 등에서 산발적이고 상이하게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학교결석 관련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나아가 통합적인 예방체계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될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은 학업중도 탈락 위험에 노출된 아동과 청소년에 대해 조기에 체계적인 예방적 개입을 할 수 있도록 준거틀을 제시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학업중도탈락율과 청소년 비행 및 범죄율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학교결석을 청소년의 학업중도탈락과 비행 및 범죄의 중요한 조기예측요인으로 보고, 국내의 학교결석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한편, 선진국의 학교결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형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학교결석에 관한 개념틀 구축
    -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제시된 학교결석 정의와 발달과정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수집
    - 선진국 주요 정책에서의 학교결석 정의와 적용범위에 대한 자료수집
    - 국내의 학교관계자, 청소년 정책 실무자, 기타 심리학, 교육학, 사회복지학 전문가들에 대한 전문가 의견조사 실시
    ② 생태체계적 관점에 의한 학교결석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파악
    - 국내·외 학교결석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각 체계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자료수집
    - 아동·청소년패널 자료를 통한 체계별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파악
    - 선행연구와 통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면접지를 작성하여 학교 교사 및 학교사회복지사, 학교결석 청소년에 대한 대면조사 실시
    ③ 국외 학교결석 모니터링 시스템 분석
    - 미국의 각 주와 유럽의 선진국에서 이루어지는 학교결석 모니터링 방법과 자료관리 및 활용방안 조사
    ④ 국내·외의 학교결석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 Dembo & Gulledge(2009)의 프로그램 평가 기준을 근거로 국내·외 학교결석 관련 프로그램 비교·분석
    - 학교기반, 지역사회기반, 법체계기반 프로그램 등 다양한 세팅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분석
    ⑤ 한국형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 개발
    -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을 구축하고 이에 대해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후,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수정과 보완 실시
    - 최종적으로 청소년 관련 전문가와 학생들이 참여한 세미나를 거쳐 학교결석 조기개입의 최종 모델을 확정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6-7만 명의 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학교로부터 이탈된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교육 및 기본적인 서비스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장·단기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사회부적응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이에 정부차원에서 학업중도탈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학업중단의 위험에 상당히 노출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적 개입에 치중되어 있으며, 예방 및 조기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과정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도탈락과 비행 및 범죄의 중요한 조기예측요인으로 학교결석에 주목하고, 국내의 학교결석과 관련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한편, 선진국의 학교결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형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청소년 초·중기에 최초의 무단결석이 발생하기 쉽고, 최초의 무단결석이 발생한 이후로 무단결석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집단의 경우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여러 보호요인과 위험요인들이 다차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업중단위기 조기개입 프로그램들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결석에 대한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은 전무하고 대부분 학교적응, 학교생활적응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들이며, 실질적으로 학업중단 위기를 예방했는지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결석 조기개입 서비스 및 정책을 분석하였는데, 특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조기경보체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3단계에 걸친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의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1차 예방단계에서는 출석율 90%이상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결석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예방교육, 학교의 학생지원체제 강화, 청소년 친화적 지역사회환경을 개선하는 보편적 개입을 실시하고, 2차예방단계에서는 출석율 80-90%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접근 실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개입, 멘토 연결, 가족상담, 부모교육, 심리사회적 상담 제공, 학교유대감 강화 전략 등의 표적화된 개입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3차예방단계는 출석율 80%이하의 학생들에게 대안교육지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대한 개입, 법적 서비스 제공 등의 집중개입을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교사, 지역사회 관계자, 지자체 공무원, 상담전문가, 데이터분석가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적 팀에 의해 평가, 분석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학교결석 관련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나아가 통합적인 예방체계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ixty to seventy thousand young people leave school each year. Young people who leave school are at high risk of being exposed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social maladjustment in short and long term by losing opportunities for basic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needed in adolescence. Therefore, at the government level, active approaches to school dropouts are being attempted. However, most of them are focused on post-intervention targeting young people who are significantly exposed to the risk of school dropout and preventive intervention for them is insufficient. This study focuses on school absence as an early predictor of school drop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tection and risk factors related to school absences, and to develop a model for the early intervention of school absences in Korea. As a result, the first truancy was more likely to occur in early and mid-adolescence. In addition, for those groups who the rate of truancy has increased since the first truancy, multidimensional protection and risk factors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s have been affected. We also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dropout prevention programs or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s a results, there are no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school absences and it was not clear whether most programs actually prevented school dropout.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intervention system or policies for preventing school dropout in other countries and specifically focused on the early warning system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dat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basic framework of the three stage early intervention model for school absences. In the 1st prevention phase, students with an attendance rate of more than 90% are targeted. This phase includes comprehensive interventions such as regular monitoring of school absences, preventive education, strengthening of student support system in school, and improving the youth-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 In the 2nd prevention phase, targeted interventions are provided for students with an attendance rate of 80-90%. This phase includes personalized approaches, assessment of protective and risk factors, mentor connections, family counseling, parent education, psychological support, an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school ties. Lately, in the 3rd prevention phase, intensive interventions such as for alternative education and provision of legal services are provided to students with attendance rate of 80% or less. This process should be carried out by a multidisciplinary team of school teachers, community officials, counselors, data analysts and so 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direction of school absenteeism policy in the future and contributes to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reventive system for school dropou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6-7만 명의 청소년들이 학업을 중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학교로부터 이탈된 청소년들은 청소년기에 꼭 필요한 교육 및 기본적인 서비스 기회를 상실함으로써 장·단기적으로 경제적 어려움, 사회부적응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이에 정부차원에서 학업중도탈락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와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학업중단의 위험에 상당히 노출된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사후적 개입에 치중되어 있으며, 예방 및 조기개입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과정이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도탈락과 비행 및 범죄의 중요한 조기예측요인으로 학교결석에 주목하고, 국내의 학교결석과 관련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한편, 선진국의 학교결석 모니터링 시스템과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한국형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우리나라에서는 청소년 초·중기에 최초의 무단결석이 발생하기 쉽고, 최초의 무단결석이 발생한 이후로 무단결석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집단의 경우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여러 요인들이 다차원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소년 개인의 공격성, 게임과다사용뿐만 아니라 부모구성, 방과후 부모의 부재정도, 부모의 관여와 통제, 학교유대감, 교사관계, 비행친구와의 교류 등이 무단결석의 발생 및 증가와 관련이 높았다. 아울러 무단결석이 학업중단까지 가는 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으로는 내적 성찰, 부모의 양육태도, 주변 사람들의 관여 및 관심, 친구관계, 학교의 의미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학업중단위기 조기개입 프로그램들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결석에 대한 예방적 개입 프로그램은 전무하고 대부분 학교적응, 학교생활적응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들이며, 실질적으로 학업중단 위기를 예방했는지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학교결석 조기개입 서비스 및 정책을 분석하였는데, 특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미국의 조기경보체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토대로 3단계에 걸친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의 기본틀을 제시하였다. 1차 예방단계에서는 출석율 90%이상 보이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결석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예방교육, 학교의 학생지원체제 강화, 청소년 친화적 지역사회환경을 개선하는 보편적 개입을 실시하고, 2차예방단계에서는 출석율 80-90%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화된 접근 실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개입, 멘토 연결, 가족상담, 부모교육, 심리사회적 상담 제공, 학교유대감 강화 전략 등의 표적화된 개입을 제공하고, 마지막으로 3차예방단계는 출석율 80%이하의 학생들에게 대안교육지원,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대한 개입, 법적 서비스 제공 등의 집중개입을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교사, 지역사회 관계자, 지자체 공무원, 상담전문가, 데이터분석가 등으로 구성된 다학제적 팀에 의해 평가, 분석 및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학교결석 관련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나아가 통합적인 예방체계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청소년의 학업중단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실에서 학업중단으로 가는 발달경로의 출발점이자 청소년 문제의 중요한 예측요인인 학교결석에 대한 조기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학업중단을 예방하고 나아가 청소년 문제에 대한 보편적 예방체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지금까지 국내의 학업중단 관련 프로그램이 통제적·사후개입적 접근에 치중되어 있어 학업중단 예방에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교결석에 관한 일련의 연구결과들은 우리나라 학업중단 및 기타 청소년 행동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학교결석에 대한 정확한 분석 자료도 갖추고 있지 못하며, 학교결석에 대한 정책적 접근도 학업중단정책, 부모 학대 및 방임 관련 정책, 교육정책 등에서 산발적이고 상이하게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학교결석 관련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한편, 나아가 통합적인 예방체계 구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학교결석 조기개입 모델은 학업중도 탈락 위험에 노출된 아동과 청소년에 대해 조기에 체계적인 예방적 개입을 할 수 있도록 준거틀을 제시함으로써 단기적으로는 학업중도탈락율과 청소년 비행 및 범죄율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구체적인 학교결석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세팅과 샘플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학교결석 조기개입을 위한 실행 매뉴얼을 만들어 현장에서 증거기반에 입각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학교결석, 학업중단, 조기개입 프로그램, 생태체계적 관점, 통합적 예방모델, 조기경보체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