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지식보다는 역량의 학습을 강조하기 위해서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을 새로운 교육과정 및 수업의 설계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백워드 설계모형은 성취기준의 달성을 위해 목표와 평가를 중시하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으로, 학습을 한 ...
2015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지식보다는 역량의 학습을 강조하기 위해서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을 새로운 교육과정 및 수업의 설계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백워드 설계모형은 성취기준의 달성을 위해 목표와 평가를 중시하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으로, 학습을 한 후에 성취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 성취기준을 확인하고 그것에 도달하기 위해 학습내용을 거꾸로 설계(backward)하는 교육과정의 모형을 말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종래의 전달식 수업에서 참여형 수업으로 전환할 것을 주문하고 있는데 이를 실질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전략으로 백워드 설계모형을 활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적게 가르치되 철저하게 가르치면 오히려 학생들이 더 잘 이해한다는 ‘less is more’의 원리에 근거하여 교과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내용뿐만 아니라 학습활동을 구조화할 수 있는 전략으로 제시된 것이다. 그러나 연구자는 여기에는 몇 가지 검토해야할 문제가 있다고 보았다. 첫째,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이 어떻게 동시에 추구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새 개정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수업을 ‘지식의 전달’이 아닌 ‘지식을 자유자재로 사용하고 적용하는 능력의 배양’이라고 했을 때, ‘거꾸로’ 설계에서는 학생의 참여를 중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정교육과정의 일환으로 확산된 백워드 설계모형은 이해중심의 설계 또는 성취결과 중심의 설계로도 알려져 있다. 역량을 강조하는 새 개정교육과정에서 백워드 설계가 지향하고 있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은 사실상 ‘학문중심교육과정과 역량기반교육과정의 어정쩡한 동거‘(강현석, 2016)라는 모순을 불러일으킨다는 지적 또한 찾아볼 수 있다. 둘째, 목표모형과 동일시되기도 하는 결과중심의 교육과정이 어떻게 과정중심의 수업을 구현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이 모형에 따르면 학습자들의 경험은 백워드 설계의 단계로서 제시되는 (1)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2)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3)학습경험과 수업 계획하기라는 절차로 반영된다. 즉, ‘목표-평가-수업’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학습자들의 활동을 짜임새 있게 조직하도록 한 것이다. 학생의 활동을 강조하는 참여형 수업에서 특히 목표중심의 백워드 설계모형이 강조되는 것은 학생중심의 활동이 자칫 성취기준으로부터 벗어나 학습목표를 잃기 쉽다는 우려에서다. 교육과정에서 전통적으로 타일러의 목표모형과 브루너의 내용모형은 서로 접점을 발견하기 어려운 교육과정 모형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인 관점으로 본다면 백워드 설계모형에서는 상반된 두 교육과정 모형을 동시에 반영하고자 한다. 여기서 제기될 수 있는 의문은 서로 다른 결을 가진 설계모형이 실제 수업에서 얼마나 그 의도대로 구현가능하겠는가 하는 점이다. 셋째, 교수자중심의 설계 논리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백워드 설계모형이 의도한 학습자중심의 수업을 과연 얼마나 구현할 수 있는가에 의문이 있다. 백워드 설계 모형은 그것의 애초 설계자인 Wiggins McTighe(2005) 주장대로 학습자중심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해 제시된 것이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을 유의미한 맥락에서 적용하고 수행을 통해 학습을 전이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 알려져 있는 백워드 설계모형에서 ‘학습자’의 주도적인 역할과 이해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것이 가지고 있는 기본 전제인 전달로서의 교수모형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은 것이다. 전달과 참여로서의 학습관이 어정쩡하게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시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이 종전에 알려진 교육과정의 모형들과 차별성을 갖는 모형으로서 재구조화하기 위한 비판적 검토를 수행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현장에서 실효성을 갖을 수 있는 모형으로서 보완하고 개선해야할 점들에 대하여 논의해보고자 한다.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의 역량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백워드 설계모형이 학습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학습의 순서와 지식의 계열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그리고 내적인 학습동기를 어떻게 유발시킬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의 역량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 백워드 설계모형이 학습목표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학습의 순서와 지식의 계열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그리고 내적인 학습동기를 어떻게 유발시킬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이해중심 설계모형에서 벗어나 역량중심 설계모형으로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과 경험 또는 활동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서 통합적인 경험, 즉 역량의 성장이라는,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와 관련한 문헌 검토 과정에서 교육학 안팎에서 빈번히 활용되고 있는 개념이나 이슈들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융합적 활용방안들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예컨대, 디자인 씽킹에 관한 연구, 전문가의 수행과정과 실천지에 관한 연구, 맥락주의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참여형 학습에 관한 연구와 학습자중심 학습설계에 관한 연구들은 백워드 설계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그 성과와 의미, 활용방안들을 정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는 다음의 다섯 가지로 구체화할 수 있다. 첫째,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설계 모형으로서 백워드 설계 모형의 원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중심의 교수설계가 어떻게 교육과정의 재구성을 위한 원리가 될 수 있는지 보여줄 것이다. 셋째,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참여형 수업을 구현하기 위해 수업전략의 차원을 넘어서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재구성해야 하는지 정합적이고 실질적인 모형을 제시해 줄 것이다. 넷째,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재구성을 위한 원리가 무엇인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전통적인 교육과정 모형에서 벗어나 최근 동향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소개하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요약
본 연구는 이해중심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역량중심으로 재구조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워드 설계의 이론적 배경에 관해 맥락주의 관점에서 면밀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살펴본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현행 백워드 ...
본 연구는 이해중심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를 역량중심으로 재구조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워드 설계의 이론적 배경에 관해 맥락주의 관점에서 면밀히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살펴본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현행 백워드 설계모형에 관해 비판적으로 재검토한다. 설정해야 할 성취기준 즉 학습목표가 어떤 성격이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지, 학습의 과정은 어떤 성격이며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셋째, 일상적인 교육과정 실행, 즉 수업의 과정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중심의 역량을 지향하는 백워드 설계모형의 원리가 무엇인지 탐색한다. 넷째, 백워드 설계모형이 기존의 교육과정과는 차별화될 수 있는지, 특히 어떻게 역량중심교육과정으로 재구조화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연구방법은 크게 이론적 검토와 질적 사례 분석으로 나뉜다. 첫째, 선행연구에 관한 이론적 검토이다. 먼저 이론적 검토에서는 학습과학(Sawyer, 2014) 연구 성과에 힘입어 학습자의 학습 맥락을 바라보는 패러다임적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백워드 설계는 최근 국내외에서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형의 기반이 되는 관련 연구 동향이나 이론적 전제들에 대해서는 다소 부실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론적 검토를 통해서 그러한 점들을 보완해보고자 한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 즉 수업의 과정에 관한 참여관찰이다. 수업의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분석을 통하여 이론적으로 검토된 내용을 재검토하고 구체화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맥락주의 관점에서의 백워드 설계의 비판적 재검토를 위한 문헌 리뷰에서는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전문가의 실제 수행과정(authentic practice)에서의 백워드 추론, 맥락주의 교수학습설계, 참여로서의 학습관과 학습자중심 학습 설계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백워드 설계에 관한 비판적 재검토를 위한 질적 사례 분석에서는 중학교 수학과의 사례 분석을 실시한 파일럿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국어과 수업에서의 문제해결과정(학습)에 관한 학교 학습 장면에서의 질적 사례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사례에 대한 연구방법으로는 현상학적 사회학의 질적연구방법인 민속방법론을 중심으로 일상적 실천의 시계열적(moment by moment) 구성 과정을 중심으로 기술 분석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Recent, learner - centered learning have become more emphasized a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has become a core task of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idea of 'learner-centered' has various intentions and viewpoints, it is a key issue to learn ho ...
Recent, learner - centered learning have become more emphasized as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has become a core task of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idea of 'learner-centered' has various intentions and viewpoints, it is a key issue to learn how to organize and operate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as strategies for bringing the learner's contex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context of the teacher. However, some of the teachers implement in the participatory class have expressed their doubts as to whether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gives them sufficient experience of the knowledge teachers intend to convey. Therefore,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everyday lessons of learners, and tried to reflect on what learners experience through them and how it becomes a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context of learners and teacher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nalysis of the class participation scenes showed in a deeper way why all the learners in the class were unable to reach the learning outcome expected by the teacher, or the learners were creating different learning contexts unexpected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other interpretation of participation will expand the meaning of learning and participation and suggest new implications for learner - 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영문
최근 역량의 함양이 학교교육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능동적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가중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아이디어에는 다양한 의도와 관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학습자의 맥락 ...
최근 역량의 함양이 학교교육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능동적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가중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아이디어에는 다양한 의도와 관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학습자의 맥락을 교수자의 맥락으로 최대한 가깝게 이끌어 오기 위한 전략들로서 학습자들의 참여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할 것인가를 핵심적인 사안으로 다룬다. 그러나 참여식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 가운데 학생들의 참여가 교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제공하는지 의구심을 표명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일상적 수업 사례에서 참여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들을 통해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학습자 중심의 학습 경험이 되는지를 학습자와 교수자의 맥락을 통해 되짚어보고자 하였다. 수업 참여 장면에 대한 상세한 기술·분석은 수업에서 왜 모든 학습자들이 교수자가 기대하고 있는 학습 결과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기대치 않은 다른 학습의 맥락들을 창출해내는지 등을 비교적 심층적으로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참여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은 학습과 참여에 대한 의미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최근 역량의 함양이 학교교육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능동적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가중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아이디어에는 다양한 의도와 관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학습자의 맥락 ...
최근 역량의 함양이 학교교육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학습자들의 참여와 능동적 학습이 강조됨에 따라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들이 가중되고 있다. ‘학습자 중심’이라는 아이디어에는 다양한 의도와 관점이 존재하지만 공통적으로는 학습자의 맥락을 교수자의 맥락으로 최대한 가깝게 이끌어 오기 위한 전략들로서 학습자들의 참여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할 것인가를 핵심적인 사안으로 다룬다. 그러나 참여식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 가운데 학생들의 참여가 교사가 전달하고자 하는 지식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제공하는지 의구심을 표명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일상적 수업 사례에서 참여의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들을 통해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학습자 중심의 학습 경험이 되는지를 학습자와 교수자의 맥락을 통해 되짚어보고자 하였다. 수업 참여 장면에 대한 상세한 기술·분석은 수업에서 왜 모든 학습자들이 교수자가 기대하고 있는 학습 결과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기대치 않은 다른 학습의 맥락들을 창출해내는지 등을 비교적 심층적으로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참여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은 학습과 참여에 대한 의미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를 위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맥락이 무엇인지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참여형 수업의 의미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 제시한 중학교 수학 수업의 학생 참여 상황은 학습의 일상적 속성에 대한 한 가지 해석적 관점을 보여준다. 학습자들의 ...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맥락이 무엇인지에 관한 이해를 기반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참여형 수업의 의미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로 제시한 중학교 수학 수업의 학생 참여 상황은 학습의 일상적 속성에 대한 한 가지 해석적 관점을 보여준다.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 장면에 대한 상세한 기술·분석은 수업에서 왜 모든 학습자들이 교수자가 기대하고 있는 학습 결과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기대치 않은 다른 학습의 맥락들을 창출해내는지 등을 비교적 심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해석 관점이 참여형 수업 설계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 몇 가지 논의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체로 참여형 수업 설계에서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참여 활동을 학습의 목표와 부합시키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어려움을 표명한다. 최근 백워드 디자인과 거꾸로 학습 등을 통해 학습의 결과와 과정을 일치시키기 위한 노력들도 이러한 고민들에서 시작된 논의들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참여 경험에 대한 심층적 해석을 통해 학습 맥락의 다양한 층위들을 살펴봄으로써 학습과 참여에 대한 의미를 확장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참여를 통한 학습의 결과는 교사에 의해 제시되고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무언가가 아닌, 학습자와 교사, 맥락적 조건들의 조율을 통해 성취되어야 할 과정적 합의체라는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