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적장애 학생과 부모의 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for Enhancing Capac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7315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숙향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과 성공적인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일반교육과정 접근 및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최선의 실제로서 자기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인지적인 제한으로 자신의 의사나 흥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자기결정력의 증진은 그들의 존엄성과 삶의 질의 향상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Agran & Hughes, 2005). 자기결정력은 생애주기에 걸쳐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내에서 일상적인 기회를 통해 발달되므로 장애학생이 자기결정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장으로서의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가정에서의 지원과 부모의 역량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장애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가정에서 부모가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및 지원 방안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의 가장 중요한 학습의 장인 가정에서 부모들이 경험하는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고, 2)이를 토대로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부모들이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역량뿐 아니라 장애학생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지적장애의 특성 및 자기결정 교수전략에 대한 이론적 이해: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 이들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전략, 부모의 역량 강화 등 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 및 학생과 가족의 지원 요구를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 소외된 중도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관심 초래: 자기결정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중도 지적장애학생의 권리 및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기회제공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관심을 초래하고 중도 지적장애 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 부모의 양육효능감 강화: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통해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방안
    ○ 특수교사의 가족지원 역량 강화: 가정에서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적용방법과 사례를 교사들에게 연수함으로써 특수교사의 가족 지원 및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수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다.
    ○ 장애인 지원인력의 역량 강화: 성년후견인, 진술조력인, 활동보조인, 장애인 시설의 생활지원 담당자와 같이 장애인과 함께 긴밀히 생활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장애인 당사자들의 인권과 자기결정권을 위해 일하는 지원인력들에게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이해하고 이를 행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소개하는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장애인 지원인력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3. 교육·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 교육환경 및 직장에 확대 적용 가능: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쉽게 구성된 모델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가정뿐만 아니라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 등 다양한 교육환경에서 다양한 장애유형의 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본 중재를 적용할 수 있다.
    ○ 장애자녀의 자기결정에 대한 적절한 기대수준과 신체적 학대의 관계 연구: 발달장애아동의 자기결정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기대수준이 신체적 학대의 빈도를 높인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본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가 자녀의 자기결정에 대해 적절한 기대수준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신체적 학대가 예방되는지 그 관계를 확인하는 후속연구와 연계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부모들이 경험하는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부모들이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역량뿐 아니라 장애학생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년도에는 가정에서의 장애학생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며, 2차년도에는 이를 토대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적용 연구를 실시할 예정이다.

    1. 기초연구(1차년도):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 조사
    1) 문헌연구
    ○ 연구목표: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교수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 선행연구의 심층 분석: 국내외 문헌을 통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공통 핵심요소 및 전략,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적용 방안, 부모의 역량 강화 등을 분석
    2) 질적연구
    ○ 연구목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장애학생과 부모, 교사의 경험 및 지원요구 조사
    ○ 질문지 개발 및 예비면담:문헌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지원요구 면담 질문지를 개발하고 내용타당도 검토 후 특수교사 및 부모 대상의 예비면담을 실시하여 질문지를 수정․보완
    ○ 연구참여자 섭외 및 선정
    -특수교사: 서울시 초·중·고 특수교사를 학교급별로 각 4명씩 편의표집(총 12명 교사).
    -장애학생과 부모: 섭외된 특수교사를 통해 초·중·고 지적장애 학생과 부모를 각각 1쌍씩 추천받고, 성인자녀를 둔 부모 3명을 추가로 표집(학생 12명, 부모 15명).
    ○ 본 면담 실시
    -교사 대상 포커스 그룹 면담 실시: 2그룹으로 나누어 특수교사 대상 포커스 그룹면담을 진행
    -장애학생 대상 포토보이스 실시: 초·중·고 지적장애학생 12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적용
    -부모대상 개별면담 실시: 지적장애 학생 및 성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개별 전화면담을 실시
    ○ 전사본 작성 및 분석: 모든 면담 녹음파일을 전사하고 신뢰도를 확인한 후 연속적 비교분석을 실시하며 주제를 도출
    ○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분석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삼각검증, 연구참여자 재확인 실시

    2. 개발연구(2차년도) :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 프로그램 개발
    ○ 연구목표: 가정에서의 장애학생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
    ○ 문헌연구 및 질적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기본원칙 및 핵심 구성요소 파악
    ○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지원 프로그램 초안 개발 : 프로그램 기본원칙 및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의 초안을 구성하며, 개인적 역량, 환경 내 기회, 추가적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옵션 및 내용을 구체화
    ○ 프로그램의 타당도 검증
    -전문가 검증: 현장 전문가(3명) 대상 프로그램 초안 타당도 검토의뢰 및 수정의견 반영
    -장애학생 검증(자문형태의 참여연구): 포토보이스에 참여한 고등학생(4명) 대상 프로그램 학습지 및 자료의 난이도 및 적절성 검토의뢰 및 수정의견 반영
    -가정에서의 예비연구: 1차년도 연구 참여자 중 초등학교, 중학교 단계의 학생 및 부모를 각 1쌍의 지원자를 선정한 후 가정에서 3주간 적용하게 한 후 프로그램 적용상의 특이점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프로그램 수정·보완
    ○ 프로그램 최종 수정 및 확정: 전문가 자문위원들의 타당도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며, 적용 시 고려할 점과 교수적 지원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

    2) 프로그램 적용
    ○ 연구목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지원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로 실험을 진행
    ○ 연구참여자 선정 및 섭외: 서울시 초등학교 및 중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과 부모를 각 6명 쌍 총 12쌍의 학생과 부모를 실험집단으로 우선 배치한 후 장애정도, 연령 고려한 짝짓기 방법을 통해 통제집단을 구성
    ○ 부모 및 연구보조원 사전교육: 부모와 연구보조원을 대상으로 4회기에 걸쳐 사전교육을 실시
    ○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적용: 2018년 12월부터 5개월 동안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과 이를 지원하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진행
    ○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한 효과 검증: 중재 실시 전․후에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목표달성,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역량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고 실험집단 부모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의 질적영향을 확인
    ○ 중재충실도 및 사회적 타당도 확인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과 성공적인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일반교육과정 접근 및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최선의 실제로서 자기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인지적인 제한으로 자신의 의사나 흥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자기결정력의 증진은 그들의 존엄성과 삶의 질의 향상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자기결정력은 생애주기에 걸쳐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내에서 일상적인 기회를 통해 발달되므로 장애학생이 자기결정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장으로서의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가정에서의 지원과 부모의 역량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장애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가정에서 부모가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및 지원 방안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차년도에 걸쳐 우선 1)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의 가장 중요한 학습의 장인 가정에서 부모들이 경험하는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고, 2)이를 토대로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부모들이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역량뿐 아니라 장애학생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1차년도에는 문헌연구와 질적연구를 통해 가정에서의 장애학생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여 장애학생과 부모, 교사의 자기결정 관련 경험과 지원요구를 파악하였다. 2차년도에는 이를 토대로 자기결정의 다양한 영역과 가족지원 요소를 포함한 총 8회기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발달장애학생의 부모에게 적용하였다.
  • 영문
  • As inclusive education and successful transition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as a best practice for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ransition. Especially,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s critica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at it is an essential element to promote their dignity and quality of life. Given that self-determination is developed through daily routines at the most natural settings across life span, home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environment whe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promote self-determination by imitating self-determined behaviors of parents and family members. In spite of that it is important for parents to have capacity to support their children’s self-determination, little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instructional supports for parents, which they can use to promote their children’s self-determination at home.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which parents have experienced in teaching their children self-determined behaviors at home, and develop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year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ir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wa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eight sessions to address core components of self-determined behaviors in the second year. The program was also implemented for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과 성공적인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일반교육과정 접근 및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최선의 실제로서 자기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인지적인 제한으로 자신의 의사나 흥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자기결정력의 증진은 그들의 존엄성과 삶의 질의 향상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자기결정력은 생애주기에 걸쳐 가장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일상적인 기회를 통해 발달되므로 장애학생이 자기결정 행동을 모방하고 학습할 수 있는 가장 자연스러운 장으로서의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러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가정에서의 지원과 부모의 역량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장애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가정에서 부모가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및 지원 방안에 대한 국내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차년도에 걸쳐 우선 1)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의 가장 중요한 학습의 장인 가정에서 부모들이 경험하는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고, 2)이를 토대로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부모들이 적용할 수 있는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지적장애학생의 역량뿐 아니라 장애학생의 양육과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1차년도에는 가정에서의 장애학생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차년도에는 이를 토대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적용 연구를 실시하였다.

    1. 기초연구(1차년도):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 조사
    1) 문헌연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교수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교수모델의 공통 핵심요소 및 전략,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적용 방안, 부모의 역량 강화 등을 분석하였다.

    2) 질적연구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학생 및 성인 부모 총 19명과 초․중․고등학교 특수교사 총 1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모와는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교사들과는 각 학교급별로 포커스그룹 면담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삼각검증, 연구참여자 재확인을 실시하였다.
    -장애학생의 부모와 교사뿐만 아니라 지적장애학생 및 성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미치는 요인 및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수적 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지적장애학생 및 청년 총 19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2. 개발연구(2차년도):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적용

    1) 프로그램 개발
    -1차년도 연구결과(문헌연구 및 장애학생, 부모, 교사 대상 질적연구)와 자기결정 및 부모지원 관련 문헌분석을 토대로 자기결정 및 부모지원의 핵심요소를 분석한 후 자기결정의 핵심영역을 중심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초안에 대해 자기결정 및 부모지원 관련 연구참여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 3인에게 내용타당도를 의뢰하여 수정, 반영한 후 프로그램 최종안을 구상하였다. 이후 연구참여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최종프로그램을 보완하였다.

    2) 프로그램 적용
    -연구참여자: 실험집단, 통제집단에 각각 총 14명의 초등학교 장애학생 5-6학년 부모를 학년, 장애유형 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다.
    -사점검사: 본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에 실험집단, 통제집단 부모를 대상으로 자기결정,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관련 검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2019년 3월 2주부터 6월 3주까지 실험집단 부모를 대상으로 총 8회기 정규 프로그램과 특강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강의 및 소그룹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매주 가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가정과제를 제공하고, 보조연구원이 각 소그룹활동을 진행하며 각 가정에서 가정과제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개별 지원을 하였다.
    -사후검사 및 면담: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과 동일하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경우는 소그룹별로 FGI를 진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기초연구(1차년도):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 및 지원요구 조사
    (1) 문헌연구
    -문헌분석 결과, 10년 전에 비해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관련 연구가 2배 가까이 양적으로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자기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의 다양화, 일반학급에서의 연구 증가, 자기결정에 대한 장애학생 당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질적연구가 시도되는 등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2) 질적연구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 지원요구를 조사하기 위해 수집된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이해, 2)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의 실제, 3) 자기결정 관련 영향요인, 4)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지도, 5)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6) 자기결정 지도관련 지원요구, 7)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 관련 요구.
    -지적장애학생 및 성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 및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수집한 개별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4가지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a) 자기결정에 대한 인지도, (b) 자기결정 행동의 실제, (c) 성인기 전환을 위한 목표, (d) 성인기 전환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

    2) 개발연구(2차년도):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 개발/적용

    -중재충실도: 본 연구에서는 연구책임자와 연구 보조원들이 프로그램 계획서에 제시한 진행계획과 각 차시별 필수내용 및 절차를 정확하게 준수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해 매 차시마다 강의 및 소그룹활동에 대한 중재충실도를 평가하였다. 중재충실도 평가항목은 총 11개의 항목으로 평가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 99.14점의 높은 중재 충실도를 나타내었다
    -사회적 타당도: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를 배부하고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평가를 요청하였으며 모든 참여자가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에 응답하였다. 사회적 타당도 검사지는 프로그램의 적절성과 유용성, 만족도를 포함한 총 1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그 중 9문항은 5점 척도로 평정하였으며, 1문항은 개방형 질문으로 좋았던 점이나 개선사항을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사회적 타당도는 평균 4.69로 매우 높았다.
    -장애학생의 목표달성: 참여한 부모들이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자녀와 함께 수립한 목표에 대해 장애자녀 14명중 13명이 기대수준이나 그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1명만이 기대이하 목표를 달성하였다. 8명은 학업관련 목표를 6명은 전환관련 목표를 수립하였다.
    -최종 자료분석: 자기결정,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종속변인과 관련하여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평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적, 질적 자료에 대한 최종 분석은 현재 진행 중이다.

    2. 연구결과 활용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지적장애의 특성 및 자기결정 교수전략에 대한 이론적 이해: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 이들을 위한 자기결정 교수전략, 부모의 역량 강화 등 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 및 학생과 가족의 지원 요구를 보다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부모의 양육효능감 강화: 자녀의 자기결정 증진을 통해 장애학생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하고 양육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2) 인력양성 방안
    -특수교사의 가족지원 역량 강화: 가정에서의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 방안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적용방법과 사례를 교사들에게 연수함으로써 특수교사의 가족 지원 및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교수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다.
    -장애인 지원인력의 역량 강화: 성년후견인, 진술조력인, 활동보조인, 장애인 시설의 생활지원 담당자와 같이 장애인과 함께 긴밀히 생활하고 상호작용을 하며 장애인 당사자들의 인권과 자기결정권을 위해 일하는 지원인력들에게 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이해하고 이를 행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소개하는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장애인 지원인력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3) 교육·후속연구와의 연계 활용 방안
    -교육환경 및 직장에 확대 적용 가능: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쉽게 구성된 모델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가정뿐만 아니라 특수학급이나 특수학교 등 다양한 교육환경에서 다양한 장애유형의 학생들의 자기결정 증진을 위해 본 중재를 적용할 수 있다.
  • 색인어
  • 자기결정, 지적장애, 장애학생, 지원요구, 가족지원, 가정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