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저소득 노인을 위한 공공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ublic senior housing for low-income older adul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7420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1 년 (2017년 07월 01일 ~ 2018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유진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살고 있는 노인의 경험을 비롯하여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노년기 4중고를 겪는 저소득 독거노인이 우리 사회의 가장 열악한 주거취약 계층으로 밝혀지면서(천현숙·강미나, 2012; 한국토지주택공사, 2012), 이들의 주거 안정을 위한 대안 마련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노인 주거복지는 주로 극빈계층을 위주로 한 양로시설 또는 경제적 여유가 있는 노인을 위한 (유료)노인복지주택으로 양극화되어 있었다(이서영, 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으로 돌봄 및 치료가 필요한 고령자를 위한 요양시설은 급증했지만, 비교적 자립생활이 가능한 노인을 위한 주거관련 복지는 매우 미흡한 형편이었다. 급속한 인구 고령화, 그리고 가족기능 및 노인부양의식의 변화에 따라 앞으로 노인 1인가구의 증가가 더욱 예상되면서, 노인 주거보호 체계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저소득 노인의 열악한 주거 문제 해결을 위해 무료 노인복지주택의 제공과 운영이 시작되고 있다. 기존의 노인복지주택이 주택의 분양 또는 임대 비용 등 입소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노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라면, 이와 같은 것은 저소득 노인을 위한 공공형 노인복지주택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와 같은 공공형 노인복지주택을 2017년까지 총 16개 단지 1300가구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바야흐로 우리나라에서도 개별 주호를 갖춘 집합주택과 돌봄 지원 서비스가 결합된 노인주거 모델이 저소득 노인들에게 문을 연 것이다. 이러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은 군집 생활식의 양로시설 입소를 꺼리는 노인의 심리적 특성과 무상 임대 내지 저렴한 임대 비용의 경제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저소득 노인가구의 주거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천현숙·강미나, 2012).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노인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전에 본 과제와 같은 경험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노인거주 모델로 시행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고, 급속한 고령화와 독거노인 가구 증가에 따라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한 노인주거 대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먼저 그것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 노인복지주택, 즉 공공 실버주택의 역할모델인 「OOO 복지마을」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공공 노인복지주택 내의 역동적인 실제들, 그리고 공공 노인복지주택과 지역사회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aging in place)’를 넘어서 ‘지역공동체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aging in community)’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과 환경, 그리고 노인의 지역사회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여 줄 것이다. 사회복지는 사람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기본으로 하는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연구의 초점은 개인의 문제와 그에 대한 개입에 맞춰진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관점에 충실하고자 한다. 노화 경험을 형성하는 환경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노인의 생활터전으로서의 지역과 환경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며, 그에 대한 개입 방안을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식은 노인복지 실천 및 노인상담, 노인복지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저소득 노인을 위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은 아직 발달단계인 만큼 이에 관한 경험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이며, 고령친화도시 형성에 필요한 학문적·실천적 지식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거복지 차원에서 노인주거의 문제를 접근하는데 아직 개념 정의가 충분히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셋째, 고령자의 시각에서 공공 노인복지주택 거주의 유익함, 어려움, 그리고 욕구를 살펴보는 것을 통하여 내부자 시각에서 유용한 돌봄과 지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령자의 시각을 반영한 고령친화지역사회 형성을 위한 경험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사례연구는 연구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 사회적 구성단위들 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만큼, 사례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가설, 잠정적 질문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노인의 삶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고령친화 향상을 위해 필요한 후속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공공 노인복지주택 모델의 단기적 성과(예를 들면, 건강 증진, 고독과 소외 감소, 상호돌봄 효과 등), 중장기적 성과(노인 간병비 감소, 시설입소율 감소, 공공 예산 감소, 지역사회 소속감, 연령차별인식 개선,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 향상 등)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근거들을 도출할 수 있다.
    다섯 째,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심층 면담 자료, 참여관찰 자료 등의 자료를 사회과학연구의 중간결과물로 제출하면, 다른 연구자가 관련 연구를 수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의 기본적인 정보 등이 삭제된 면담 및 참여관찰 자료를 가지고 예비 질적 연구자들은 질적 자료분석의 학습 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여섯 째, 본 연구는 그동안 주거복지에 관한 연구가 매우 드물게 진행된 사회복지학계에 노인주거에 관한 담론의 장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베이비부머의 고령화에 따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주거모형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주거복지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관심은 사회복지 교육과 진로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살고 있는 노인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함께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공공 노인복지주택 사업은 ‘자신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계속 거주하기(aging in place)'를 지원하는 서구 노인 주거복지의 발전 동향과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서 급속하게 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 사회의 빈곤 노인들에게 얼마나 적합한 주거모델인지에 대해 많은 기대와 궁금증을 낳고 있다. 공공형 노인복지주택이 여러 가지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으로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것에 반해,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노인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전에 본 과제와 같은 경험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노인거주 모델로 시행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고, 급속한 고령화와 독거노인 가구 증가에 따라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한 노인주거 대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먼저 그것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지역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aging in place)를 위한 케어의 연속망(continuum of care)적 시각 및 환경노년학적 관점(environmental gerontology), 인간-환경 적합성 관점(person-environment fit perspective)을 바탕으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이러한 개념으로 비추어 볼 때, 저소득 노인의 삶에 어떤 모습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 거주자가 공공 노인복지주택을 어떻게 살 만한 환경으로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거주자들 간의 관계,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어떠한 역동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살펴볼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거주하게 된 요인은 무엇인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거주하는 노인은 그 곳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거주하는 유익한 점과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거주 이후 노인의 삶에 어떠한 변화들이 있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 거주 노인들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의 일상생활(식사준비, 청소, 여가활동 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예를 들어, 입소 당시 자립생활이 가능하였지만, 만약 노화 및 질병의 진전에 따라 독립생활이 어려워지는 경우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 아직까지 우리사회에 생소할 수 있는 이러한 거주형태는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과 지역사회(예를 들어, 공공 노인복지주택 운영기관, 구청 등 행정 담당자,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 가족, 이웃, 자원봉사자 등)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공공 노인복지주택, 즉 공공 실버주택의 역할모델인 「OOO 복지마을」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례연구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연구 대상이나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연구 방법으로 어떤 현상에 대해 다양한 자료의 출처(예, 면담과 관찰, 시청각 자료와 문서 등)를 활용하여 그것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사례연구는 연구 주제를 둘러싼 내·외부의 역동, 여러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경계 지어진 체계(bounded system)'가 어떻게 그러한 모습을 띄게 되었는지에 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살고 있는 노인의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함께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공공 노인복지주택 사업은 ‘자신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계속 거주하기(aging in place)'를 지원하는 서구 노인 주거복지의 발전 동향과 비슷한 행보를 보이는 것으로서 급속하게 고령사회에 접어든 우리 사회의 빈곤 노인들에게 얼마나 적합한 주거모델인지에 대해 많은 기대와 궁금증을 낳고 있다. 공공형 노인복지주택이 여러 가지 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으로서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는 것에 반해,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고 있다.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노인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자리매김하기 전에 본 과제와 같은 경험적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노인거주 모델로 시행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고, 급속한 고령화와 독거노인 가구 증가에 따라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한 노인주거 대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먼저 그것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2)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지역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aging in place)를 위한 케어의 연속망(continuum of care)적 시각 및 환경노년학적 관점(environmental gerontology), 인간-환경 적합성 관점(person-environment fit perspective)을 바탕으로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이러한 개념으로 비추어 볼 때, 저소득 노인의 삶에 어떤 모습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노인 거주자가 공공 노인복지주택을 어떻게 살 만한 환경으로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거주자들 간의 관계, 서비스 제공자들과의 관계 및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어떠한 역동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살펴볼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거주하게 된 요인은 무엇인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거주하는 노인은 그 곳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거주하는 유익한 점과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거주 이후 노인의 삶에 어떠한 변화들이 있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 거주 노인들 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의 일상생활(식사준비, 청소, 여가활동 등)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예를 들어, 입소 당시 자립생활이 가능하였지만, 만약 노화 및 질병의 진전에 따라 독립생활이 어려워지는 경우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가?
    - 아직까지 우리사회에 생소할 수 있는 이러한 거주형태는 지역사회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가?
    - 공공 노인복지주택과 지역사회(예를 들어, 공공 노인복지주택 운영기관, 구청 등 행정 담당자, 지역사회복지관련 기관, 가족, 이웃, 자원봉사자 등)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공공 노인복지주택, 즉 공공 실버주택의 역할모델인 「밀마루 복지마을」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사례연구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은 연구 대상이나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연구 방법으로 어떤 현상에 대해 다양한 자료의 출처(예, 면담과 관찰, 시청각 자료와 문서 등)를 활용하여 그것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사례연구는 연구 주제를 둘러싼 내·외부의 역동, 여러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며, ‘경계 지어진 체계(bounded system)'가 어떻게 그러한 모습을 띄게 되었는지에 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elderly welfare housing as an alternative to housing for low-income senior citizens, along with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senior citizens living in public welfare housing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 depth the life experience of low-income senior citizens in public welfare housing, based on the example of "밀마루 welfare village," a role model for public elderly housing,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case study method has the advantage of using various sources of data for a phenomenon (e.g., interviews and observations, visuals and documents), as appropriate to show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different factors surrounding a subject or subject, to make it more understood. Case studies show the dynamics of internal and externalities surrounding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various factors, and provide insight into how the 'bounded system' has emerged.
    The public welfare housing project is similar to the development of housing welfare for the Western elderly, which supports "aging in place," and raises many expectations and questions about how suitable the model is for the poor and elderly in our society, which is rapidly aging. While public-style elderly homes are receiving social attention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low-income elderly people with various difficulties in living, academic research on them has not yet been conducted.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welfare housing as a way to solve problems for low-income elderly citizens, empirical studies such as this project need to be systematically conduct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 살고 있는 노인의 경험을 비롯하여 저소득 노인을 위한 주거대안으로서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저소득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노인거주 모델로 시행되고 있는 초기 단계이고, 급속한 고령화와 독거노인 가구 증가에 따라 앞으로 더욱 더 다양한 노인주거 대안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먼저 그것에 대해 자세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공공 노인복지주택, 즉 공공 실버주택의 역할모델인 「밀마루 복지마을」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공공 노인복지주택 내의 역동적인 실제들, 그리고 공공 노인복지주택과 지역사회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노인 거주자 76명에 대한 설문조사, 참여관찰, 심층면담, 그리고 관리자 대상 면담을 중심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결과는 현재 분석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저소득 노인의 공공 노인복지주택에서의 삶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공공 노인복지주택 내의 역동적인 실제들, 그리고 공공 노인복지주택과 지역사회간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신의 집에서 계속 거주하기(aging in place)’를 넘어서 ‘지역공동체 내에서 나이 들어가기(aging in community)’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의 활용방안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과 환경, 그리고 노인의 지역사회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여 줄 것이다. 사회복지는 사람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기본으로 하는 학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연구의 초점은 개인의 문제와 그에 대한 개입에 맞춰진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관점에 충실하고자 한다. 노화 경험을 형성하는 환경의 역할을 살펴보면서 노인의 생활터전으로서의 지역과 환경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며, 그에 대한 개입 방안을 한 단계 높이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식은 노인복지 실천 및 노인상담, 노인복지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저소득 노인을 위한 공공 노인복지주택은 아직 발달단계인 만큼 이에 관한 경험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공공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높이며, 고령친화도시 형성에 필요한 학문적·실천적 지식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거복지 차원에서 노인주거의 문제를 접근하는데 아직 개념 정의가 충분히 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일이다.
    셋째, 고령자의 시각에서 공공 노인복지주택 거주의 유익함, 어려움, 그리고 욕구를 살펴보는 것을 통하여 내부자 시각에서 유용한 돌봄과 지지는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령자의 시각을 반영한 고령친화지역사회 형성을 위한 경험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사례연구는 연구 주제를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 사회적 구성단위들 간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만큼, 사례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가설, 잠정적 질문들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 노인복지주택이 노인의 삶 뿐 아니라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고령친화 향상을 위해 필요한 후속 작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연구를 통해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반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공공 노인복지주택 모델의 단기적 성과(예를 들면, 건강 증진, 고독과 소외 감소, 상호돌봄 효과 등), 중장기적 성과(노인 간병비 감소, 시설입소율 감소, 공공 예산 감소, 지역사회 소속감, 연령차별인식 개선, 지역사회의 고령친화도 향상 등)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근거들을 도출할 수 있다.
    다섯 째,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심층 면담 자료, 참여관찰 자료 등의 자료를 사회과학연구의 중간결과물로 제출하면, 다른 연구자가 관련 연구를 수행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참여자의 기본적인 정보 등이 삭제된 면담 및 참여관찰 자료를 가지고 예비 질적 연구자들은 질적 자료분석의 학습 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여섯 째, 본 연구는 그동안 주거복지에 관한 연구가 매우 드물게 진행된 사회복지학계에 노인주거에 관한 담론의 장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며, 나아가 베이비부머의 고령화에 따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주거모형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주거복지에 대한 학문적·실천적 관심은 사회복지 교육과 진로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 색인어
  • 저소득 노인, 노인 주거복지, 공공 노인복지주택, 질적 사례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