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건강한 생활여건 지향적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조와 작동: 광역과 기초자치단체의 보행관련 지역사회 시스템 사례
Structure and operation of community system for health and liveability: Walking at local and regional level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7S1A5A2A01026275
선정년도 2017 년
연구기간 2 년 (2017년 07월 01일 ~ 2019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유승현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연구배경
    1) 살기 좋음을 구현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역사회
    ● 살기 좋은 지역사회는 삶의 질, 안녕(well-being), 건강결정요인과 관련 있으며 개인차원에서부터 가족, 생활터, 정책차원까지 다차원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의 상충된 의견을 조율하고, 결정사항의 실행 및 결과를 성찰하는 시스템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지표개발에 집중하고 있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한국의 맥락에서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개념적, 구조적, 과정적 이해를 돕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2)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조건, 보행
    ●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구성영역 중 보행은 건강과 지역사회 통합, 교통, 안전 영역 등과 관련된 주제로 지속적으로 주목받아 왔다(AARP, 2017; Seetharam 등, 2010). 보행활동 증진에 대해 사회생태학 관점에서는 개인의 의지와 태도도 중요하지만 개인을 둘러싼 다차원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이들 요인은 서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또한 보행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도(needs)에도 다차원적 위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상위수준의 요구들은 지역사회의 구조 및 시스템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3) 보행활동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의 이해
    ●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속성으로 보행이 주목받음에 따라 보행활동을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시와 구청, 지역사회, 그리고 시민사회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의 걷기 실천율은 지난 8년간 소폭 감소 추세이며, 앞서 시도된 개입의 효과가 보행활동 증진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WHO에서는 지역사회의 개입과 활동이 효과적으로 가능하기 위한 작동기전을 강조하고 있다. 국외사례의 경우 시의 조직체계가 지역주민의 활동적인 삶을 위해 구조적, 기능적으로 재편성된 사례가 있으며, 실제로 지역사회 신체활동 실천율과 걷기실천율이 향상된 바 있다. 하지만 국외사례는 우리나라의 상황 특성과 맥락, 체계가 다르므로, 이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한국 맥락에 맞는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 보행활동 증진 주제의 한국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목표
    ● 1차년도: 보행활동 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개념 연구
    1) 국내 보행관련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한국 지역사회 시스템 차원에서 보행활동 증진의 핵심요소, 이와 관련 영향요인을 밝힌다.
    2) 보행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연구대상 사례를 선정한다.
    ● 2차년도: 보행활동 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구조 및 과정 연구
    1) 보행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성과 관계밀도, 역할에 대한 구조분석을 실시한다.
    2) 보행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의 운영기전과 그 배경에 있는 지역사회 맥락에 대해 탐색한다.
  • 기대효과
  • 1. 살기 좋은 지역사회,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현장 구현성 강화
    ● 본 연구에서는 보행활동 증진 관련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경험과 의견을 종합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현장 적용성과 진실성 높은 결과를 제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중사례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확인된 보행활동 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보행활동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다차원 요인에 대해 제언함으로써 단일 사례연구 결과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와 지역사회 건강증진 구현 시 적용 가능한 시스템 구축에 실용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2. 지역사회 시스템 분석에 대한 방법론적 기여
    ● 지역사회 시스템을 다각적인 측면에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자료원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양적조사 방법을 조합한 다중방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였고, 향후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연구자에게 연구 방법론적 예시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3. 보행에 대한 다차원적 결정요인 자료 구축
    ● 사회생태학 관점에서 보행에 대한 다차원 결정요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적, 시스템적 맥락이 반영된 보행관련 기초자료 구축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료는 추후 지역사회 보행활동 증진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4. 관련 연구분야 대한 기여
    ●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한 전략으로 지역사회 시스템 연구에 대한 관심은 높아질 것이며, 본 연구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사례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연구 설계과정의 초기단계에서부터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 기전을 구축한다면, 지역사회 시스템의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실천적 연구(action research), 지역사회 참여형 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로의 확장가능성도 있다.
  • 연구요약
  •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여러 구성영역에 걸쳐 해당하는 조건인 보행을 주제로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1) 1) 첫째,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개념과 사회생태학 관점 안에서 보행활동 증진과 관련된 지역사회 시스템 차원의 핵심요소 및 이와 관련된 다차원적 영향요인을 밝혀낸다.
    2) 둘째, 보행활동 증진을 위해 작동하고 있는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성과 그리고 관련 지역사회 이해관계자의 역할에 대해 구조분석을 실시한다.
    3) 셋째, 보행활동 증진을 위해 구축된 지역사회 시스템에서 독특하게 형성되어 있는 한국 지역사회 시스템의 맥락 및 작동기전을 확인한다.
    연구내용
    ● 본 연구는 보행증진과 관련된 국내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2년에 걸쳐 연계적, 체계적으로 수행된다. 1년차에서는 개념 연구로서 보행활동 증진과 관련된 지역사회 시스템 차원의 핵심 요소를 확인한다. 2년차에서는 구조 및 과정 연구로서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보행활동 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 구조와 작동기전을 분석한다.
    연구방법
    1. 보행활동 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
    ●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체계적 문헌고찰 지침을 따라 수행하여, 보행활동 증진과 관련된 지역사회 시스템의 핵심요소와 이와 관련된 다차원적 결정요인을 확인한다. 체계적 문헌고찰의 보고지침에서는 점검표와 연구흐름도를 제시하고 있고, 점검표 이용을 위한 설명서를 병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어, 이를 준수하여 수행하며,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전문가와의 자문을 실시한다.
    2.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조이해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 연구대상 사례별로 보행관련 지역사회 시스템 구성과 역할, 네트워킹 구조의 이해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시스템 내 보행관련 이해관계자 중 누가 핵심 역할자인지, 어떠한 이해관계자가 다른 주요 이해관계자와 관계가 있는지 등 시스템 전반의 연결 패턴(patterns of connectivity)과 밀도, 구조형태 파악이 가능하다.
    3. 지역사회 시스템의 과정이해를 위한 포커스 그룹(Focus Groups)
    ● 포커스 그룹은 참여자로 구성된 그룹이 특정 주제에 대한 인식, 의견, 경험 등을 구체적으로 토의하고, 그 과정에서 참여자 간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어 심층적이고, 세부적인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Krueger & Casey, 2014).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에 참여한 주요 관계자들과 대한 포커스 그룹을 실시하여 해당 지역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참여자들의 생각과 구조 내에 숨겨진 맥락을 확인한다. 또한 이와 관련된 시스템 운영상의 특징과 그러한 특징들이 보행활동 증진사업 기획에 미치는 영향, 보행활동 증진방안 등에 대해 논의와 분석을 진행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배경 및 목적]
    보행은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핵심 요소이다. 보행의 결정요인은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어 보행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적 노력과 시스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행을 증진하기 조직 네트워크의 구조와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근거는 불충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차원의 보행 결정요인을 탐색하고, 보행증진과 관련된 조직 간 관계 및 네트워크 구조와 지역사회 시스템의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행증진과 관련된 한국 지역사회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2년에 걸쳐 연계적, 체계적으로 수행되었다. 1년차는 개념 연구로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보행을 다루고 있는 한국의 법체계, 정부 보고서, 연구를 분석하여 보행과 관련된 지역사회 차원의 결정요인과 시스템 상황을 확인하였다. 2년차는 구조 및 과정 연구로서 서울시청과 서울시 1개 지자체 사례를 선정하고, 사회네트워크분석과 포커스그룹을 적용하여 보행증진 관련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와 지역사회 시스템의 맥락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법』에서는 보행 및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공중보건 부문의 역할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정부 부처의 보행증진 사업은 주로 환경, 교통 및 안전 분야에서 담당하고 있고, 다 부문 전략을 위한 예산 및 성과 공유 시스템이 미흡했다. 지역사회 수준의 보행 결정요인은 토지이용, 거리 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공원 및 녹지공간, 근린생활시설로 도출되었고,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조직 간의 네트워킹과 협력이 필요했다. 서울의 보행증진 관련 조직 네트워크의 구조는 공공조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민간조직, 시민조직의 역할과 영향력은 공공조직에 비해 미흡했고, 환경 분야의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에게 다수의 역할과 권한이 부여되어 있었다. 포커스 그룹을 통해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의 작동기전은 크게 3가지로 나타났다. "조직"을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가 보행증진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구조에서 시민조직은 재정적 독립을 기반으로 활동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자발적으로 협력관계를 확장하였다. 반면, 공공조직은 사업의 필요에 따라 단기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는 경향이 강하고 구조적 갈등으로 인해 자발적인 협력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법적 조문을 정비하여 구조적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교통-안전 분야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보행증진 관련 조직의 네트워크 구조를 확장하기 위한 예산체계, 성과공유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또한, 보행증진과 관련된 시민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민조직의 권한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사회 기반 전략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보행 결정요인을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조직 간의 네트워크 연결성을 평가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권한과 역할을 효율적으로 분배해야 할 것이다.
  • 영문
  • [Background and purpose]
    Walking is a core element of healthy and liveable communities. The determinants of walking are multidimensional and complexly related. They require organizational efforts and systems approach to promote walking.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on the 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and community systems for promoting walking. This study aimed to explore 1) community-level determinants of walking, 2)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nd network structures, and 3) the context of community systems to promote walking.
    [Methods]
    In the first year, we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Korean laws, government reports, and studies on walking. In the second year, we selecte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ne district in Seoul as study cases, and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and focus group with working-level staff in organizations with projects to promote walking.
    [Results]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does not specify the role of the public health sector for walking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Walking promotion projects of the government departments were carried out mainly in the areas of environment, traffic, and safety, and there was a lack of budget and performance sharing system for multi-sectoral approaches. The determinants of walking at the community-level were related to multi-sectors, including land use, street environment, public transport infrastructure, parks and green spaces, and neighborhood facilities.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between multisectoral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promote walking. The 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for promoting walking in Seoul was centralized around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rol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as found to be less than that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environmental organizations were given more role and authority in the network structure for the promotion of walking. Three mechanisms of community systems for walking promotion were reveal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civic and public organizations hav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networks for promoting walking. In the network structure, civic organizations voluntarily expanded their relationships by securing autonomy of activities based on financial independence. Collaboration for walking promotion in public organizations is short-term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project, and voluntary collaboration is hardly formed due to structural conflicts.
    [Conclusion]
    To build a community system for promoting walking, it is necessary to amend legal texts to resolve structural conflicts. A budget system and a performance sharing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expan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walking promotion projects that is being carried out mainly in the areas of environment, traffic, and safety. Community-based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civic empowerment are needed to increase civic engagement for promoting urban walking. To comprehensively address with the determinants of walking, it is necessary to assess the connectivity of networks between organizations and to efficiently distribute the authority and role within the network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건강하고 살기 좋은 지역사회’의 여러 구성영역에 걸쳐 해당하는 조건인 보행을 주제로 지역사회 시스템 관련 연구를 수행하였다. 1년차는 개념 연구로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 보행연구를 검토하고, 보행과 관련된 지역사회 시스템 차원의 결정요인을 확인하였다. 2년차는 구조 및 과정 연구로서 서울시와 일개 지자체 사례를 선정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과 포커스 그룹을 통해 보행증진 관련 지역사회 시스템 구조와 작동기전을 분석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지역사회 시스템 차원의 보행 결정요인은 토지이용, 가로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공원 및 녹지, 근린생활시설이었다. 서울시 보행증진 관련 조직현황은 34개 조직으로 확인되었고, 네트워크 구조는 보행증진 사업의 유형에 따라 4개의 하위 구조로 구분되었다. 서울시 보행증진 관련 조직 간 네트워크는 구조적으로 서울시청 내 환경-교통-안전 분야 관련 조직들에게 영향력과 역할이 집중되어 있고, 민간, 시민단체의 역할이나 영향력이 미흡하였다. 지자체 보행증진 관련 조직현황은 64개 조직으로 확인되었고, 네트워크 구조는 협력의 유형에 따라 4개의 하위 구조로 구분되었다. 지자체 보행증진 관련 조직 간 네트워크는 보건소와 지역사회에서 유명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영향력과 역할이 편중된 구조였다. 포커스 그룹을 통해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의 작동기전은 크게 3가지로 드러났다. 시민조직과 공공조직의 조직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보행증진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구조에서 시민조직은 재정적 독립을 기반으로 활동의 자율성을 확보하여 자발적으로 협력관계를 확장하였다. 공공조직에서 보행증진을 위한 협력관계는 사업의 필요에 따라 단기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적인 갈등으로 인해 자발적인 협력은 발생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보행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법적 조문을 정비하여 구조적 갈등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행증진 사업 및 정책 관련하여 환경-교통-안전 분야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부문 간 네트워크 구조를 확장하는 노력이 요구되며, 다부문 접근에 대한 예산체계, 성과공유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국내외 학술지 게재,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연구방법과 결과를 확산한다. 살기 좋은 지역사회, 보행, 활동적 생활에 관해 보건, 환경, 도시계획, 교통 등 다양한 분야와 논의하는 가시적 도구, 다학제적 계기로 활용한다. 서울시 보행증진 정책 및 사업 개발에 협력체계를 제시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도시건강 추진에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과제와 이후 활용에 참여한 연구진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역량이 함양되어 향후 연구에서의 활용, 확산이 기대되고 석사‧박사학위 논문 배출이 기대된다.
  • 색인어
  • 지역사회 시스템, 보행, 살기 좋음, 건강증진, 사회네트워크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