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어리스트피케이션 (Touristification)과 삶의 질(Quality of Life)영향관계 규명: 상향확산이론(Bottom-up Spillover)을 바탕으로 Examining the impacts of Touristification on Quality of Life (QOL): Application of the Bottom-up Spillover theory
삶의 질 (Quality of Life)은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의 행복지수를 포함하는 삶의 질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 ...
삶의 질 (Quality of Life)은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의 행복지수를 포함하는 삶의 질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협력기구 (OECD)의 ‘2015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34개 회원국 중에서 우리나라의 삶의 질은 하위권인 27위 (5.8/ 10점 만점)로써 삶의 만족도가 전체 평균(6.5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인과 사회전체가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역들은 소득, 건강, 주거형태, 가족관계, 일, 문화활동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이들 중, 주거의 형태는 일상생활의 휴식을 주는 기능으로 누구에게나 중요하게 인식되어져 왔다. 최근 들어 나타나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 (Touristification)현상은 관광지 지역주민의 주거를 침해하고 삶의 터전을 관광지화 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은 높아져가고 있으나 현상학적인 이해만 있을 뿐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터전이 관광지화 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주민의 삶의 질과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계량화 할 수 있는 측정변수의 도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결정요인을 전문가와 해당 지역주민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서 이해하고 (질적연구)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설문을 통해 투어리스트피케이션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관여도의 조절변수 효과를 살펴보는 (양적연구)것을 목표로 한다.
기대효과
1. 학문적 기대효과 학문적인 기여도는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이해하게 되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현상학적인 보도만 있을 뿐 이와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는 ...
1. 학문적 기대효과 학문적인 기여도는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첫째,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이해하게 되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현상학적인 보도만 있을 뿐 이와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특히,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다룬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계량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변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의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학문적 활용에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심리학에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상향 확산 이론의 관광분야의 적용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다. 관광학 분야에서 삶의 질을 관찰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이론의 바탕이 아닌 단일 항목의 측정으로 삶의 질을 이해하였다, 이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이해하고 측정하는데 상향 확산이론의 적용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학문적인 이해를 돕는다. 세 번째 학문적인 기여로는 질적 연구 (Qualitative method)와 양적 연구(Quantitative method)를 모두 적용한 혼합 방법론 (Mixed method)의 사용이다. 질적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적인 존재론을 바탕으로 현상을 최대한 있는 그대로 이해가 가능하여서 전체적인 상황연구에 적합한 반면, 양적 연구는 실증주의적 인식론에 바탕을 둔 방법론으로써 이론고찰을 통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미리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는데 적합한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를 통하여서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측정변수를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며 양적연구를 통해, 그들의 행동론을 확률의 논리에 규명하여 일반성을 확보하여 실증주의적인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연구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일반성을 확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시 할 것이다.
2. 실무적 활용방안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 분야의 관점에서 실무론적 활용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현상을 계량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관광객에게도 만족하지 못하는 관광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다면 관광지 지역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만족할 수 있는 관광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이전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일항목으로 측정을 하였으며, 삶의 어떠한 분야의 만족도가 전반적인 만족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삶의 다양한 분야와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통하여 관광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정교하게 측정할 수 있는 삶의 질 지표를 개발하여, 국민들을 위한 관광 및 복지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3. 교육적 활용방안 최근 교육 분야에서 전공의 융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관광 및 호스피탈리티 전공 학생들이 관광학의 개념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개별학문으로 관광학을 이해하기보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사례처럼 관광에 대한 현상을 관광학 이외의 지역학 (Geographic), 도시학 (Urban studies),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과 연결하려는 교육적 도모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처럼 학제간 전문지식을 상호 교환하고 융합연구를 통하여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1.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크게 질적 방법론 (Qualitative method)과 양적 방법론(Quantitative method)으로 진행된다. 질적 방법론의 목적은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측정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반면, 양적 방법론의 목적은 1) 질적 연구를 통하여서 추출된 측 ...
1.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크게 질적 방법론 (Qualitative method)과 양적 방법론(Quantitative method)으로 진행된다. 질적 방법론의 목적은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측정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반면, 양적 방법론의 목적은 1) 질적 연구를 통하여서 추출된 측정변수를 바탕으로 지역주민의 투어리스트피케이션에 대한 인식 이해 2)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라이프 도메인을 이용하여 측정 3)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여도의 정도에 따라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이 삶의 도메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연구모형 을 검증하고 일반화를 위한 적합성을 아래의 가설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H1: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경제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커뮤니티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정서적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4: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건강/안전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경제적인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6: 커뮤니티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7: 정서적인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8: 건강/안전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9: 관여도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현상과 경제적인 만족도간의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 H10: 관여도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현상과 커뮤니티 만족도간의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 H11: 관여도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현상과 정서적인 만족도간의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 H12: 관여도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현상과 건강/안전 만족도간의 유의미한 조절 효과로 작용한다
2. 연구 방법 및 절차 본 연구는 5단계의 연구과정을 수행한다. 첫 번째는, 연구 설계 단계로 이 과정에서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 그리고 삶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가 시행될 연구 대상지가 선정 될 것이다. 두 번째는 인터뷰 단계로써 투어리스트피케이션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주민과 관련분야의 전문가들과의 심층 인터뷰가 진행되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선행조사, 전문가 집단 자문 그리고 지역주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서 도출된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설문지가 완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조사가 실시 될 것이다. 네 번째로 본 조사 단계로서 앞선 예비설문을 통해 보완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1단계에서 선정된 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가 시작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결과보고 단계로 수집된 데이터를 정제하여 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최종보고서가 작성 될 것이다.
3. 분석방법 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설문자료의 분석에는 SPSS와 AMOS를 이용한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측정변수는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통하여서 요인구조를 살펴보며 또한 모든 설문항목을 대상으로 요인을 추출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도 실시한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의 신뢰도분석, 구성타성성 검증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후, AVE검증과 상관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수렴타당성, 판별타당성을 검증할 것이다.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추출된 변수들 사이에 구조적인 영향관계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연구가설 검증을 통해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조절변수의 효과 검정은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고자 한다(Hair et al., 2009).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의 목표는 최근 이슈가 되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이해 하는것이다. 즉,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의 다양한 삶의 분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보는것이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인 북 ...
본 연구의 목표는 최근 이슈가 되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이해 하는것이다. 즉,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의 다양한 삶의 분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보는것이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관련 현상이 나타나는 지역인 북촌한옥마을과 이화벽화마을을 방문하여 지역주민 15명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분석되었다.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광의적인 상위 범주로 주거 환경과 도시문제 그리고 지역 정부에 대한 불만의 하위 범주로 구성된 커뮤니티 라이프(community life), 경제적인 피해를 포함하는 경제적인 삶의 분야(economic life), 지역주민의 건강과 안전 관련된 하위 범주를 내포한 건강과 안전 삶의 분야(health & safety life) 로 구성되었다.
영문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rstly understand Touristification phenomenon.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ouristification phenomenon affects community residents'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rstly understand Touristification phenomenon.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tried to investigate how Touristification phenomenon affects community residents'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5 community residents who have liveed in Bukchon Hanok village or Ihwa Mural Village in Seoul, South Korea.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Findings from interviews indicated that Touristification phenomenon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categories: Community life, Economic life domain, and Health/Safe life domain. The study findings showed that Touristification phenomenon negatively affects residents’ community life, emotional life and health/safety life. The majo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useful data for future Touristification studie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삶의 질 (Quality of Life)은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의 행복지수를 포함하는 삶의 질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 ...
삶의 질 (Quality of Life)은 인간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삶의 목표이다. 따라서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상당히 높아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국가들은 국민의 행복지수를 포함하는 삶의 질을 계량적으로 측정하고 증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경제협력기구 (OECD)의 ‘2015 삶의 질’ 보고서에 따르면, 34개 회원국 중에서 우리나라의 삶의 질은 하위권인 27위 (5.8/ 10점 만점)로써 삶의 만족도가 전체 평균(6.58)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개인과 사회전체가 삶의 질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전개되고 있다. 개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역들은 소득, 건강, 주거형태, 가족관계, 일, 문화활동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이들 중, 주거의 형태는 일상생활의 휴식을 주는 기능으로 누구에게나 중요하게 인식되어져 왔다. 최근 들어 나타나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 (Touristification)현상은 관광지 지역주민의 주거를 침해하고 삶의 터전을 관광지화 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이러한 현상에 대한 관심은 높아져가고 있으나 현상학적인 이해만 있을 뿐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삶의 터전이 관광지화 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주민의 삶의 질과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계량화 할 수 있는 측정변수의 도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의 결정요인을 전문가와 해당 지역주민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하여서 이해하고 (질적연구)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설문을 통해 투어리스트피케이션과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것을 (양적연구) 목표로 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학문적인 기여도는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이해하게 되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현상학적인 보도만 있을 뿐 이와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특히,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으로 인 ...
학문적인 기여도는 현재까지 연구가 미흡한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이해하게 되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현상학적인 보도만 있을 뿐 이와 관련된 실증적인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특히,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다룬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어리스트피케이션을 계량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변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이 지역주민의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학문적 활용에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광산업 분야의 관점에서 실무론적 활용방안을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현상을 계량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는 다시 관광객에게도 만족하지 못하는 관광경험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투어리스트피케이션 현상을 체계적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 한다면 관광지 지역주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만족할 수 있는 관광개발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을 보다 체계적으로 측정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이전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단일항목으로 측정을 하였으며, 삶의 어떠한 분야의 만족도가 전반적인 만족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삶의 다양한 분야와 그리고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